•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values

검색결과 3,094건 처리시간 0.031초

최적의 기본마찰각 측정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Optimal Method in Measuring the Basic Friction Angle of Rock)

  • 이국현;장현식;장보안
    • 지질공학
    • /
    • 제29권4호
    • /
    • pp.565-578
    • /
    • 2019
  • 황등 화강암, Berea 사암, 정선 대리암, 홍천 편마암, 풍암 셰일 및 음성 사질 셰일의 여섯 종류의 암석에 대하여 직접전단시험, 기울임시험 그리고 당김시험을 이용하여 기본마찰각을 측정하고, 암종에 따른 기본마찰각의 특성, 시험방법의 정확성을 비교, 검토하여 기본마찰각 측정에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인 시험방법을 제시하였다. 기본마찰각은 직접전단시험을 이용하면 정확하게 측정되지만, 비싼 장비와 복잡한 시험절차가 필요하다. 국제암반역학회에서 표준시험법으로 제안한 기울임시험은 직접전단시험에서 측정된 기본마찰각과 유사한 값을 제시하나, 동일한 암석으로 제작된 3개의 시료에서 측정된 기본마찰각은 최대 7° 이상의 오차를 보이고, 1개의 시료에서 5회 측정된 미끄러짐 각 또한 시료에 따라서 증가하거나, 감소하거나, 유사한 값을 보이는 등 일정한 패턴을 보이지 않고 변할 뿐만 아니라, 편마암에서는 최대 12°의 오차를 보여 시험의 신뢰성에 상당한 의문이 든다. 간단한 시험장비와 비교적 낮은 수직응력하에서 실시되는 당김시험은 직접전단시험에서 구한 기본마찰각과 매우 유사한 값을 제공하고, 측정된 값들이 일관성을 보이고 시험절차 또한 매우 간단하여 기본마찰각 측정에 가장 유용한 시험 방법으로 판단된다.

사료벼 5 품종의 발아와 유묘 내염성 및 간척지 이모작 논에서의 생육 평가 (Evaluation of Five Forage Rice Cultivars for Salinity Tolerance at the Seedling Stage and Cultural Practice in a Double-cropping Reclaimed Paddy)

  • 성필모;윤선웅;송은지;이수환;조진웅;정남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255-263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에 육성된 사료용 벼 5 품종(목우, 목양, 미우, 조우, 영우)의 염농도에 따른 발아와 초기생육 특성, 그리고 간척지 논에서의 생산성 및 사료가치를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사료벼 종자의 발아율과 유묘 생장량은 목양 품종을 제외한 목우, 미우, 조우, 영우 품종은 0.1~0.5% 염수에서도 정상적인 범위에 있었다. 수경과 사경재배로 시험한 염농도에 따른 사료벼의 초기 생육은 목우벼와 영우벼가 다른 3품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생장량을 보였다. 그리고 초기 염농도가 0.3%인 무안 간척지 논에서 사료벼 5 품종을 재배한 결과, 사료벼 5품종 중 영우벼가 수량과 사료가치 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영우벼가 높은 염농도에서의 발아율과 초기 생육이 양호하였고, 간척지 논에서의 수량과 사료가치도 다른 품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하고초, 감국, 갈근 약침이 비만쥐의 지질강하, 항산화 효과, TNF-${\alpha}$, IL-6 및 Leptin의 농도와 각종 장기의 해부조직학적 소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gocho(prunella vulgaris L.), Gamgook(chrysanthemum indicum L.) and Galgeun(pueraria Radix) aqua-acupuncture at gokji(LI-11) and Joksamri(ST-36) on lowering lipid effect, oxidative capacity, concentration of TNF-Effects of Hagocho(prunella vulgaris L.), Gamgook(chrysanthemum indicum L.) and Galgeun(pueraria Radix) aqua-acupuncture at gokji(LI-11) and Joksamri(ST-36) on lowering lipid effect, oxidative capacity, concentration of TNF-${\alpha}$, IL-6, Leptin and histological consideration in hyperlipidemic rat, IL-6, Leptin and histological consideration in hyperlipidemic rat)

  • 장현준;이향숙;이준무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4호
    • /
    • pp.201-219
    • /
    • 2007
  • Objectives : We studied Effects of Hagocho(prunella vulgaris L.), Gamgook(chrysanthemum indicum L.) and Galgeun(pueraria Radix) aqua-acupuncture on the hyperlipidemic rat. methods : We investigated lowering lipid effect, oxidative capacity, concentration of TNF-${\alpha}$, IL-6, Leptin and histological consideration in hyperlipidemic rat.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bout 400g were divided into 5 groups of control, Ⅰ: Hagocho (prunella vulgaris L.)+Gamgook (chrysanthemum indicum L.) and Gokji aqua-acupuncture, Ⅱ: Hagocho(prunella vulgaris L.)+Gamgook (chrysanthemum indicum L.) and Joksamri aqua-acupuncture, Ⅲ: Hagocho(prunella vulgaris L.)+Galgeun(pueraria Radix)and Gokji aqua-acupuncture and Ⅳ: Hagocho (prunella vulgaris L.)+Galgeun(pueraria Radix) and Joksamri aqua-acupuncture. Results : Contents of plasma ${\beta}$-lipoprotein, contents of IL-6, TNF-${\alpha}$ and leptin, Plasma triglyceride and glucose,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iver total cholesterol, liver triglyceride, plasma and liver TBARS, free fatty acid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in the aqua-acupuncture groups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group. The activities of GOT and GPT showed no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 groups. Values of super 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aqua-acupuncture groups. Histological consideration of heart, kidney and liver in the aqua-acupuncture groups showed slight vasodilation and fat accumulation compared to those of normal rat. Conclusions :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runella vulgaris L., chrysanthemum indicum L. and pueraria Radix aqua-acupuncture at gokji(LI11) and Joksamri(ST36) suppressed adipose tissue mass and lipid peroxidation and increased antioxidant system in hyperlipidemic rat.

  • PDF

체형 불만족군과 만족군 여고생의 체중조절 실태와 식행동의 차이 (Difference in Weight Control Status and Eating Behavior between Dissatisfied and Satisfie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ir Own Body Shape)

  • 서윤석;강혜진;정영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4-363
    • /
    • 2011
  •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differences in weight control status and eating behavior of satisfied and dissatisfie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ir own body shape.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238 students at two female high schools in Nonsan-si, Chungnam-do in May of 2008. Self-assessment evaluated present body shape and ideal body shape they would like to have by providing silhouette drawing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atisfied' and 'dissatisfied',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present body shape and ideal body shape. In the distribution of subject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100% of overweight, 97.0% of normal weight and 48.7% of underweight belonged to the dissatisfied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control and eating behavior between dissatisfied and satisfied groups in terms of frequency and reasons of conducting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weight return after weight reduction, skipping breakfast and consuming fast food. The satisfied group was two times more likely to not conduct weight control behaviors compared to the dissatisfied group. The main reason for trying to control weight differed according to the group; the reason was feeling fat in the dissatisfied group and desiring to be healthy in the satisfied group. The percentage of subjects that returned to their original weights after weight reduction was 5 times higher in the dissatisfied group. The percentages of subjects that regularly skip breakfast and consume fast food were both higher in the dissatisfied group than in the satisfied group. The dissatisfied group responded 'eating alone' more frequently among nine binge eating behaviors compared to the satisfied group. Both groups, however,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overeating of meals, eating speed, intake frequency of regular meals, food preference, preferred cooking method, carbonated beverage intake and snack eating behavior. In summary, the dissatisfied group tried more unnecessary body weight reduction and had poor eating behavior. Accordingly, to correct the biased perception of body shape by the majority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values of our society should change toward the pursuit of beauty of health.

감초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지원;지영주;유미희;임효권;황보미향;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6-4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그 항균효과를 천연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비교해보고 천연항균제의 개발에 우선하여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병원내감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은 여러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에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해 잠재적인 내성균을 보유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에 대해 천연 약용 식물 중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감초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동일농도의 생육저해비교 실험에서 대부분의 내성균주에 대해 대조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 penicillin에 비해 감초분획물이 대수기를 넘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T-PCR을 통하여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의 내성 정도와 내성 유전자를 관찰해본 결과 KCCM 40510은 내성획득유전자인 mecA, mecRI, mecI, femA에 발현이 높게 나타나 고도내성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이용하여 감초의 chloroform 분획물을 농도별로($50,\;100,\;250\;{\mu}/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고도내성균주인 KCCM 40510은 메티실린 내성을 상승시키는 mec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mecRI 유전자의 pathway와 상응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감초가 이러한 고도내성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감초추출물을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내성 균주에 대한 억제 효과도 확인한 결과 추출물 200mg/100mL 농도에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Interleukin-12와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의 치료 전후의 변화 (Changes of Interleukin-12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1 before and after Antipsychotic Treatments in Schizophrenic Patients)

  • 김성재;이분희;김용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12권2호
    • /
    • pp.143-150
    • /
    • 2005
  • 목 적: 많은 연구에서 정신분열병에서 염증반응체계의 활성화와 사이토카인의 변화가 병태생리학적 및 원인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으며, 여기에는 type 1 Thelper cell(Th1), type 2 T helper cell(Th2), type 3 T helper cell(Th3)의 조절 이상이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항정신병 약물 치료 전후로 Th1 사이토카인인 interleukin-12(IL-12), Th3 사이토카인인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1$(TGF-${\beta}1$)의 혈장 농도를 측정하였다. 방 법: 23명의 정신분열병 환자군과 31명의 정상대조군에서 IL-12와 TGF-${\beta}1$ 농도를 측정하였고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는 8주간 항정신병 약물로 치료 후 다시 IL-12와 TGF-${\beta}1$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치료전과 8주간 치료 후, 2차례에 걸쳐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BPRS)를 측정하였다. 결 과: 치료전 IL-12 농도와 TGF-${\beta}1$ 농도 모두 정상대조군보다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8주간의 치료 후 TGF-${\beta}1$ 농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대조군의 농도와 차이를 보이지 않게 된 반면, IL-12의 농도는 유의하지 않은 감소를 보였다. BPRS 점수의 변화 및 IL-12 및 TGF-${\beta}1$의 농도의 변화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정신분열병의 병태생리학에 사이토카인의 이상이 관여할 수 있으며, TGF-${\beta}1$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강박 장애의 정량화 뇌파 소견 (Quantitative Electroencephalographic Finding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윤탁;권준수;조맹제;김용식;이부영
    • 생물정신의학
    • /
    • 제3권2호
    • /
    • pp.216-221
    • /
    • 1996
  •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 외래를 방문한 강박 장애 환자 19명(남자 14명, 여자 5명)과 연령과 성별을 맞춘 정상 대조군 19명을 내상으로 뇌파를 측정하고, 스펙트럼 분석하여 절대력, 상대력, 양반구간 비대칭도 등의 지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뇌 영상화 방법을 사용한 기존의 강박 장애의 이상 소견과 비교하고, 강박 장애 환자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지표를 발견하고자 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절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T3-T4 부위에서 theta파의 절대력이 감소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2) 상대력은 환자군의 Fp1-Fp2, F3-F4 부위에서 delta파의 증가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관찰되었다. 3) 양반구간 비대칭도의 경우 환자군에서 alpha파와 beta파의 F7/T3-F8/T4의 전극에서 비대칭도가 유의미하게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상에서 강박장애에서 나타나는 정량화 뇌파의 각 지표의 소견이 기존의 여러 뇌 영상화 방법을 이용한 강박 장애의 소견과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올 알 수 있고, 이는 강박 장애의 발병 기전과 전두엽과 기저핵의 이상이 서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가성을 뒷받침해주는 소견이다.

  • PDF

항당뇨 한약추출고형물의 Spra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단회 및 4주 반복투여 독성시험 (Single and Four-Week Repeated Oral Toxicity Study of Antidiabetic Herb Extract Microcapsule in Sprague-Dawley Rats)

  • 김영철;김혜정;공민규;임애경;권미화;김길수;이기동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87-96
    • /
    • 2007
  • Single and repeated-dose toxicity of anti-diabetic herb extract microcapsule (ADHEM)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oxicity Test Guidelines of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ing Sprague-Dawley rats. For single-dose toxicity test, kneading ADHEM with sterilized water were administered orally once at dose levels of 0 and 2,000 mg/kg and examined for 14 days. No dead animals, clinical signs and abnormal necropsy findings were observed and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s was found. Therefore, the $LD_{50}$ of ADHEM was considered to be higher than 2,000 mg/kg in both male and female rats. For repeated-dose toxicity test, ADHEM were mixed with powder fodder and administerd orally for 28 days at dose levels of 0, 500, 1000 and 2000 mg/kg/day. No dead animals, clinical signs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s were found. In hematology and serum biochemistry, all values were included within the normal ranges. In relative organ weights, kidney or liver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500, 1000 or 2000 mg/kg/day male groups, uteru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500 mg/kg/day female group and left adrenal gland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2000 mg/kg/day female group. In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s, vacuolation and microgranuloma in the liver, chronic progressive nephropathy and inflammation in the kidney were observed in the 500, 1000 or 2000 mg/kg/day both male and female groups. Therefore,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of ADHEM was considered to be lower than 500 mg/kg/day in both male and female rats.

직립식 산란계사 내의 소음 진동 발생 현황 조사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oise/Vibration in the Upright Laying Hen House)

  • 이승주;장동일;장홍희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28
    • /
    • 2006
  • 국민의 소득 증대로 인해 육류 및 계란의 소비량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로 인해 산란계사의 규모가 대형화됨에 따라 기계화되었고, 이 연구에서는 고단 직립식 케이지를 사용하는 무창계사에서 기계시설이 작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이 산란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산란계사내의 소음/진동 수준을 측정 분석하였다. 전국의 13개 산란계 농장을 대상으로 하여 평상시 및 기계시설(사료급이기, 사료분배기, 집란시스템, 환기장치, 계분벨트)의 작동시에 발생되는 소음/진동을 측정하였다. (1) 평상시 소음 최대 82dB, 진동 최대 0.2072 cm/s, (2) 사료급이기 작동 시 소음 최대 90dB, 최대 진동 2.8560cm/s, (3) 사료분배기 작동시 소음 최대 90dB, 최대 진동 2.022cm/s, (4) 집란시스템 작동 시 최대 소음 87dB, 최대 진동 0.1865cm/s, (5) 환기장치 작동 시 케이지에 미치는 최대 88dB, 계사 후면 벽면에 미치는 최대 진동 2.5364cm/s, (6) 계분벨트 작동 시 최대 소음 88dB, 최대 진동 0.2387cm/s 이었다. 따라서 산란계에게 직접적이고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장치는 급이 시스템이였다. 이 때의 소음은 최대 90dB로 가장 높게 발생하였으며, 진동은 최대 2.8560 cm/s 발생하였다.

  • PDF

교애사물탕이 랫드의 모체와 태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s of the Administration on Gyoaesamultang in the Pregnant Rat and Their Fetuses)

  • 김창석;박해모;신헌태;이장우;김경태;김판기;이선동;한상백;한용주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1-49
    • /
    • 2006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yoaesamultang in pregnant rats and their fetuses. Female Sprague-Dawley rats were orally administered with the Gyoaesamultang at dose of 5mg/kg/day for 20 days. Pregnant rats were sacrificed at 20th day of gestation, and observed internal and reproductive organs. Approximately, live fetuses in the 20th day of gestation were randomly selected and fixed in 95% ethanol. To observe skeletal malformations, fetuses were stained with alcian blue and alizarin red S. Maternal body weight of Gyoaesamultang treated group has a tendency to increase compar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nal and reproductive organ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between two groups in blood chemistry and hematological valu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number of corpus luteum, implantation, live fetuses and implantation rate, delivery rate, late resorption rate and sex ratio. But Gyoaesamultang administered group showed lower early resorption rate than the control group. Neonatal body weight and number of fetus of Gyoaesamultang group were increased to that of control group. The fetuses of dams treated with Gyoaesamultang didn't showed external malformation. Vertebral and sternal variations were observed in Gyoaesamultang group but, compared to the control, those variations were insignificant. The number of ribs, cervical, thoracic, and lumber were normal. The number of sacral and caudal vertebrae were increased. Fetuses treated with Gyoaesamulta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caudal vertebra(P<0.01).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Gyoaesamultang showed no toxicity effects on maternal body weight, early resorption rate, and number of live fetu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organ weight, hematological data, reproductive organs. Although skeletal variations were showed in vertebrate and sternum, Gyoaesamultang were shown insignificant changes in bone malform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