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l Direction

검색결과 1,131건 처리시간 0.022초

이중몰입유형별 직무태도와 성격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융복합적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Job Attitude, Personality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Types of Dual Commitment)

  • 강영석;전상길;이미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135-144
    • /
    • 2016
  • 노동조합의 영향력이 강한 기업 내 구성원들이 조직과 조합에 몰입하는 여러 형태에 따라 어떤 직무태도를 가지는지에 대한 연구는 실무적으로도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은 노동조합과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융복합적 몰입 관점에서 몰입유형군별 직무태도와 성격을 포함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현대기아자동차 388명의 응답을 활용하였고, 조직과 노조에 모두 몰입하는 '고도 이중몰입군', '보통의 이중몰입군', 양 집단에 모두 몰입하지 않는 '몰입거부군', 조직에만 몰입하는 '조직몰입군', 노조에만 몰입하는 '노조몰입군'의 5가지 유형 중 '고도 이중몰입군'과 '조직몰입군'이 '몰입거부군'이나 '노조몰입군'에 비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이 가장 높음을 밝혀내었다. 조직몰입과 노조몰입의 하위개념까지 고려하여 군집을 세분화한 본 연구는 이중몰입유형에 따른 성격과 인구통계학적 특성까지 고려하여, 회사와의 거래적 관계 인식이 강화되는 분위기 가운데 인적자원 관리 방향 등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SCR 기반 양방향성 ESD보호회로의 설계 변수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of SCR-based Dual-Directional ESD Protection Circuit According to Change of Design Parameters)

  • 김현영;이충광;남종호;곽재창;구용서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65-27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높은 홀딩 전압을 갖는 SCR(silicon-controlled rectifier)기반 양 방향성 ESD 보호회로를 제안하였다. 일반적인 ESD 보호회로와 달리 양방향의 ESD Stress mode의 방전경로를 제공하며 높은 홀딩전압으로 latch-up면역 특성을 갖어 효과적인 ESD보호를 제공한다. 또한, 높은 홀딩전압을 위한 설계변수인 Gate Length와 N+bridge Length의 길이 변화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Synopsys사의 TCAD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확인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2.1V에서 6.5V까지 홀딩 전압의 증가로 latch-up 면역 특성을 개선 하였으며, 기존 SCR보다 6.5V의 낮은 트리거 전압특성을 갖고 있어 제안된 ESD 보호 회로는 5V 이상의 공급전압을 갖는 application에 적용 가능하다.

비정질 Sm-Fe계 합금 박막의 유도자기이방성 형성 (Formation of Induced Anisotropy in Amorphous Sm-Fe Based Alloy Thin Films)

  • 송상훈;이덕열;한석희;김희중;임상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61-269
    • /
    • 1998
  • 스퍼터링 중 500~600 Oe의 자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조된 비정징 Sm-Fe 합금 박막에서 6$\times$104 J/m3 크기의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었다. 자장 증착에 이해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된 합금 박막은 이방성이 형성되지 않은 합금 박막에 비해 자구 구조에 무관한 "포화" 자기변형은 유사하지만, 측정 방향에 따른 자기변형의 이방성 비는 최대 35 정도로서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자기변형 박막의 디바이스 응용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므로,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스퍼터링 중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고 통상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된 비정질 Sm-Fe 합금 박막을 넓은 조성 범위에 걸쳐서 체계적으로 소자한 결과, 이러한 합금 박막에서도 미약하나마 스퍼터링 중의 누설 자계에 의해 증착 도중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최대의 유도자기이방성은 Sm 함량 25~30 원자%에서 얻어졌다. 또한 본 합금 박막의 유도자기이방성은 자장 중 열처리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형성된 이방성의 크기는 자장 증착에 의해 제조된 시료보다 매우 작게 나타났다. 이는 자장 증착의 경우 원자의 표면 확산을 통한 원자의 이동에 의해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나, 증착 후 자장 열처리에 의한 경우는 체적 확산에 의해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때문으로 생각된다.

  • PDF

펄스형 레이저 증착법으로 제조된 에피탁시 BST 박막의 구조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properties of epitaxial BST thin films prepared by pulsed laser deposition)

  • 김상섭;제정호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55-360
    • /
    • 1998
  • 250$\AA$과 1340$\AA$두께의 에피탁시($Ba_{0.5}Sr_{0.5}$)$TiO_3$(혹은 BST)박막을 MgO(001)단결정기 판에 펄스형 레이저 증착법(pulsed laser deposition)으로 제조한 후 방사광 X선 산란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박막은 초기에 MgO(001)단결정 기판과cube-on-cube관계로 증착되며, 박막이 성장함에 따라 이 관계를 계속 유지하면서 성장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박막이 성장함에 따라 박막의 표면은 급격하게 거칠어지는 반면 기판과 박막 사이의 계면의 거칠기 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에피탁시 BST박막의 초기상태에서는 c축이 기판과 수직한 방향으 로 배향된 정방정구조를 지녔으며, 아울러 기판의 수직(out-of-plane) 및 평형(in-plane)방향 으로의 모자익(mosaic)분포가 좁아짐을 확인하였다.

  • PDF

초고층 주상복합 아파트의 에너지 소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 이병희;이재혁;제해성;강동호
    • KIEAE Journal
    • /
    • 제10권5호
    • /
    • pp.63-69
    • /
    • 2010
  • Recently, by the increase of demand on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and it's advanced quality, the interest on it has been raised socially. In accordance with it, the matter of resident's health and energy efficiency has been controversial in terms of living in super high-rise housing. This study started from the idea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an objective data which that has many residents in narrow space with high den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ith the quantitative data analysis on energy, it will confirm the objective information on the unclear negative idea of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Secondly, it will establish the fundamental data on the energy of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by examining the characteristic of energy consumption of the complex which was built more than 5 years ago. There are 4 methods of this study. Firstly, it follows the steps of theoretical view, and defines concept to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Secondl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y, it provides better understanding on th stream of this research and the limit as well to guide the direction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Thirdly, it evaluates the characteristic of monthly consumption by researching the use of electricity energy and heating energy of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The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eating use of apartment complex is same, which is not influenced by the type of the building. Secondly, the electricity use of super high-rise mixed-use housing is from 1,2 to 1.5 as high as the normal apartment.

PSE를 이용한 익형 위 경계층 안정성 해석 (Stability Analysis of Boundary Layers on Airfoils by using PSE)

  • 박동훈;박승오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055-1065
    • /
    • 2009
  • 경계층 안정성 방정식인 PSE를 이용하여 익형 표면에 형성되는 경계층의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였다. 압축성 비점성 유동 해석으로 경계층 가장자리 조건을 얻고, 일반좌표계에서의 압축성 경계층 방정식을 4차 정확도로 계산하여 층류 경계층 유동장을 얻었다. 층류 경계층 데이터를 PSE의 입력으로 하여 안정성 해석을 수행하고 교란의 증폭률을 얻어 안정성 특성을 고찰 하였다. 마하수 0.5의 NACA0012 및 HSNLF(1)-0213 익형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여 교란 주파수에 따른 증폭률 및 위치에 따른 교란의 진폭 분포 특성을 파악하였다. 익형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받음각에 따른 안정성 특성을 각각 증폭률의 크기와 주파수 범위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중립안정성 곡선, 마하수에 따른 안정성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익형의 종류에 따른 안정성 특성 차이를 분석하였다.

세계선도 중소기업의 혁신 성공요인 분석 (Analysis of Success Factors for Innovation of Global Leading SMEs)

  • 이기은;윤병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6-104
    • /
    • 2012
  • 중소기업의 성장은 국가혁신체제(National Innovation System: NIS)에서 핵심적인 요소로서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최근, 작지만 강한 기업인 히든챔피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이에 대한 성공모델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 성공을 도모하려는 연구들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히든챔피언에 대한 정성적인 연구는 많은 반면, 정량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미흡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그와 유사한 세계선도 중소기업을 선정하여 기술혁신활동조사 자료를 통해 정량적인 방법으로 다른 유형의 중소기업과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혁신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들을 통해 세계선도 중소기업의 혁신 성공요인 변수를 도출하고, 둘째, t검정, 카이스퀘어검정, 그리고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통해 정량적인 성공요인을 도출한다. 결과적으로, 중소기업은 정부기관과 박람회 같은 외부정보를 활용하여 시장추세와 비즈니스 기회를 파악하고, 정부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을 활발히 하여 세계선도 중소기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복합레진 인레이의 내면처리와 합착용 시멘트의 종류에 따른 인장접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INLAYS ACCORDING TO THEIR INTERNAL SURFACE TREATMENT AND TYPES OF LUTING CEMENT)

  • 김진철;조영곤;황호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1호
    • /
    • pp.103-113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ensile bond strength of composite resin inlays according to the their internal surface treatment and types of luting cement and compared them with the conventional direct resin filling thchnique. Class II cavities were prepared in 50 extracted human molar teeth, and then equally divided into five groups. Group 1 : Cavities of control group were directly filled with P-50. Group 2 : Cavities of resin inlay group were luted with resin cement. Group 3 : Cavities of resin inlay group were luted with luting G-I cement. Group 4 : Cavities of resin inlay group were luted with resin cement after sandblasting. Group 5 : Cavities of resin inlay group were luted with luting G-I cement after sandblasting. All specimens were polished with same method and stored in normal saline for 24 hours before testing. An Universal Testing machine(Model No. AGS-100A, Shimadzu, Japan) was used to apply tensile loa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force required for separation was recorded with a cross-head speed of 5mm/min and 100kg in full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tensile bond strength was lowest in group luted with luting G-I cement, with measurements of $14.45{\pm}0.78(kg/cm^2)$ and highest in group luted with resin cement after sandblasting, with measurements of $49.6{\pm}2.74(kg/cm^2)$. 2.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greater in resin inlay groups luted with resin cement than in control group and resin inlay groups luted with luting G-I cement(P<0.05). 3.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lower in resin inlay groups luted with luting G-I cement than in control group(P<0.05). 4. The tensile bond strength was greater in resin inlay groups luted with resin cement or luting G-I cement after sandblasting than without that(P<0.05).

  • PDF

보행 시 지지 기반 급변에 대한 하지 근신경의 반응 (Leg Muscle Activity from the Perturbation of the Support during Gait)

  • 신인식;천영진;서정석;최치선;남기정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7-154
    • /
    • 2007
  •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leg muscle activity caused by perturbation, using a trapdoor system during the support phase of gait for healthy adults (n = 6, height $177.5{\pm}5.5cm$, weight $81.0{\pm}9.5kg$, age $30.0{\pm}3.3yrs$). The trapdoor had the functional ability of causing inversion or eversion. The release time for the trapdoor was specified for two times, 0.3 and 0.5 seconds after heel contact. While altering these variables, EMG was recorded for the leg muscles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vastus laterali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soleu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The steptime was longer for the 0.5s eversion than 0.3s inversion condition. So in order to regain stability after the perturbation the unsupporting leg reached forward rapidly. This quick reflex can be observed through the center of pressure (COP) and its rapid change in direction. The gastrocnemius was activated throughout the total experiment. There was a low amount of activity recorded in the rectus femoris, vastus lateralis and tibialis anterior except for the condition of inversion 0.3s. For most of the conditions, the highest average EMG peak values were recorded during the condition of inversion 0.3s. The iEMG patterns were similar for the conditions of inversion 0.3s and eversion 0.3s. To cope with the rapid change in these conditions, the biceps femoris was activated. During the experiment except for the condition of normal gait, the activity of the soleus and gastrocnemius was relatively high. Therefore, to prevent injury from perturbation of the lower leg strengthening of the soleus and gastrocnemius is required. Likewise to prevent injury to the thigh strengthening for the biceps femoris.

악성종양 절제술 후 상악 재건의 장기 추적관찰 (Long Term Follow Up of Maxilla Reconstruction Following the Ablative Cancer Surgery)

  • 이한얼;안희창;최승석;조동인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4호
    • /
    • pp.448-454
    • /
    • 2007
  •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outcomes of using the free flap in the reconstruction of maxillary defects. Methods: 27 consecutive cases of maxillary reconstruction with free flap were reviewed. All clinical data were analyzed, including ideal selection of flap, time of reconstruction, recurrence of cance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lap design, and follow-up results. The main operative functional items, including speech, oral diet, mastication, eye globe position and function, respiration, and aesthetic results were evaluated. Results: Among the 24 patients who underwent maxillary reconstruction with the free flap, 14 patients underwent immediate reconstruction after maxillary cancer ablation, and 10 patients underwent delayed reconstruction. There occurred 1 flap loss. Recurrences of the cancer after the reconstruction happened in 2 case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3 cases of gravitational ptosis of the flap, 2 cases of the nasal obstruction, and 1 case of fistula formation. Out of 27 free flaps, there were 15 latissimus dorsi myocutaneous flaps, 5 radial forearm, 4 rectus abdominis myocutaneous flaps, 1 scapular flap, 2 fibula osteocutaneous flap, respectively. Flaps were designed such as 1 lobe in 9 cases, 2 lobes in 9 cases, and 3 lobes in 5 cases. Among the 14 patients who had intraoral defect or who had palatal resection surgery, 2 patients complained the inaccuracy of the pronunciation due to the ptosis of the flap. It was corrected by the reconstruction of the maxillary buttress and hung the sling to the upper direction. All of the 14 patients were able to take unrestricted diets. In 6 patients who had reconstruction of inferior orbital wall with rib bone graft, they preserved normal vision. Aesthetically, most of the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result. Conclusion: LD free flap is suggested in uni-maxilla defect as the 1st choice, and fibular osteocutaneous flap and calvarial bone graft to cover the larger defect in bi-maxilla def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