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ation of Induced Anisotropy in Amorphous Sm-Fe Based Alloy Thin Films

비정질 Sm-Fe계 합금 박막의 유도자기이방성 형성

  • 송상훈 (고려대학교 재료금속공학부) ;
  • 이덕열 (고려대학교 재료금속공학부) ;
  • 한석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막기술연구센터) ;
  • 김희중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막기술연구센터) ;
  • 임상호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박막기술연구센터)
  • Published : 1998.10.01

Abstract

Induced anisotropy with the energy of $6{\times}10^4\; J/m^3$ is obtained in amorphous Sm-Fe based thin films which are fabrica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under a magnetic field of 500~600 Oe. Compared with conventional thin films, the anisotropic thin films exhibit a similar "saturation" magnetostriction, but show a very large anisotropy in magnetorstiction which is of significant practical importance due to increased strain at a particular direction. It is shown from a systematic investigation over a wide composition range for binary Sm-Fe alloys that anisotropy is also induced, though small, during a normal sputtering procedure due to the stray field, and the largest anisotropy is observed in the composition range of 25~30 at.% Sm. Furthermore, induced anisotropy is also found to be formed by magnetic annealing, but the anisotropy energy is much smaller than that by magnetic sputtering. This may be because the volume diffusion by which atoms move during magnetic annealing to from induced anisotropy is much slower than the surface diffusion which is expected to be a dominant factor during magnetic sputtering.puttering.

스퍼터링 중 500~600 Oe의 자기장을 인가한 상태에서 제조된 비정징 Sm-Fe 합금 박막에서 6$\times$104 J/m3 크기의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었다. 자장 증착에 이해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된 합금 박막은 이방성이 형성되지 않은 합금 박막에 비해 자구 구조에 무관한 "포화" 자기변형은 유사하지만, 측정 방향에 따른 자기변형의 이방성 비는 최대 35 정도로서 매우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자기변형 박막의 디바이스 응용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므로, 실용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스퍼터링 중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고 통상의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된 비정질 Sm-Fe 합금 박막을 넓은 조성 범위에 걸쳐서 체계적으로 소자한 결과, 이러한 합금 박막에서도 미약하나마 스퍼터링 중의 누설 자계에 의해 증착 도중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최대의 유도자기이방성은 Sm 함량 25~30 원자%에서 얻어졌다. 또한 본 합금 박막의 유도자기이방성은 자장 중 열처리에 의해서도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였는데, 형성된 이방성의 크기는 자장 증착에 의해 제조된 시료보다 매우 작게 나타났다. 이는 자장 증착의 경우 원자의 표면 확산을 통한 원자의 이동에 의해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나, 증착 후 자장 열처리에 의한 경우는 체적 확산에 의해 유도자기이방성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때문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Magnetostriction Etienne du Tremolet de Lachesisserie
  2. Phys. Rev. v.135 A. E. Clark;H. Belson
  3. Phys. Lett. v.A37 N. C. Koon;A. Schindler;F. Carter
  4. J. Appl. Phys. v.76 no.10 T. Honda;K. I. Arai;M. Yamaguchi
  5. J. Appl. Phys. v.76 no.10 E. Quandt;B. Gerlach;K. Seemann
  6. IEEE Trans. Magn. v.33 S. H. Lim;Y. S. Choi;S. H. Han;H. J. Kim;T. Shima;H. Fujimori
  7. J. Magn. Marn. Mater. v.189 no.1 S. H. Lim;Y. S. Choi;S. H. Han;H. J. Kim;T. Shima;H. Fujimori
  8. IEEE Trans. Magn. v.34 no.4 S. H. Lim;S. H. Han;H. J. Kim;Y. S. Choi;Jin Woo. Choi;C. H. Ahn
  9. J. Phys. Soc. Japan v.5 S. Chikazumi
  10. Amorphous Metallic Alloys F. E. Luborsky
  11. Handbook of Magnetic Materials v.6 P. Hansen
  12. IEEE Trans. Magn. v.13 no.2 F. E. Luborsky;J. L. Walter
  13. Phy. Rev. Letters v.34 no.16 B. S. Berry;W. C. Pritchet
  14. Jap. J. Appl. Phys. v.17 no.10 T. Miyazaki;M. Takahashi
  15. Ferromagnetic Meterials v.1 A. E. Cl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