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point-source

검색결과 362건 처리시간 0.027초

비점오염원 수문유출모형에 적용 가능한 위성영상의 토지피복 분류항목 설정 (Categorizing the Landcover Classes of the Satellite Imagery for the Management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s)

  • 서동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65-474
    • /
    • 2009
  • 비점오염원의 유출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지의 토지피복 현황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위성영상자료를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문 유출모형에 사용되는 인자와 부합되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이 되지 못한 채 단순한 분류항목으로만 사용되거나, 육안 해석용으로만 적용되는 한계가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 모형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여, 위성영상을 통한 효과적인 비점오염원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수문유출 모형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지피복 항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비점오염원 유출모델의 주요 인자,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토지피복 항목, 그리고 국내외 각 기관에서 제시하고 있는 토지피복 분류체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비점오염원에 의한 원단위, 유출곡선지수의 토지피복 계수, 토양유실량 예측공식의 식생인자, Manning의 조도계수 등의 인자들이 위성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정보임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위성영상으로부터 수문유출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 결과가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절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수문유출모형 관련 기관의 전문가로부터 토지피복 분류항목의 적정성에 대한 자문 과정을 거쳐 결정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습지로 비점오염원 관리체계가 필요한 우포늪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지로 하였다. 토지피복 분류항목을 적용할 위성영상으로는 분광 해상도가 높은 Landsat ETM Plus 영상과 공간 해상도가 높은 SPOT-5 영상을 사용하였다.

골프장 개발에 따른 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지침마련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Guideline for Golf Course Construction)

  • 임상준;김상민;강문성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55-6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설치신고 대상 개발사업장 중 골프장 개발사업장의 배출특성 및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골프장 개발사업장의 비점오염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비점오염의 정의에 대하여 살펴보고 비점오염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발생억제와 배출억제 방안들에 대해 고찰하고 현재 골프장 개발사업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특징과 이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골프장 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방안을 조사한 결과, 골프장 건설전, 건설중, 건설후로 구 분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할 필요가 있으며, 골프장 건설중 모니터링은 유사량과 토양유실에 집중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골프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 골프장 건설단계에 따라 대책을 마련하는 방법과 비점오염의 발생원인에 따라 침식 억제와 유사운송억제로 구분하여 대책을 마련하는 방법, 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한 방법에 따라 구조적, 비구조적 대책으로 구분하여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있다. 골프장 건설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을 저감하기 위해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비점오염의 거동을 분석하고 골프장 건설단계, 발생원인,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방법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점오염 저감시설을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비점오염을 저감하는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환경부 토지피복 중분류 적용을 위한 L-THIA 모델 수정과 SCE-UA연계적용에 의한 금호강유역 비점오염 분포파악 (L-THIA Modification and SCE-UA Application for Spatial Analysis of Nonpoit Source Pollution at Gumho River Basin)

  • 김정진;김태동;최동혁;임경재;버나드엥겔;전지홍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11-321
    • /
    • 2009
  •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L-THIA) was modified to improve runoff and pollutant load prediction for Korean watersheds with changes in land use classification and event mean concentration produced from observed data in Korea. The L-THIA model was linked with SCE-UA, which is one of the global optimization techniques, to automatically calibrate direct runoff. Modified L-THIA model was applied to Gumho River Basins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results of model calibration during 1991~2000 and validation during 1981~1990 for direct runoff represented high model efficiency of 0.76 for calibration and 0.86 for validation. As a results of spatial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the BOD was mainly loaded from urban area but SS, TN, and TP from agricultural area which is mainly located along the stream. Modified L-THIA model improve its accuracy with minimum imput data and application efforts. From this study, we can find out the L-THIA model is very useful tool to predict direct runoff and pollutant loads from the watershed and spatial analysi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 부하량 정량화를 위한 수질 유량 모니터링 개선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Streamflow Monitoring to Quantify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 장주형;이형진;김현구;박지형;김지호;류덕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860-870
    • /
    • 2010
  • Long term monthly monitoring data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of streams flowing into Lake Paldang has been improved by various strategy for water. However, the effect of quality on Lake Paldang is still insufficient because of nonpoint source from watershed. In order to evaluate quantifying methods for pollution source and make a suggestion on improvements,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was constructed by using data set from the water quality and streamflow monitoring network in the Kyoungan watershed for Total Maximum Daily Loads (TMDLs). Load duration curve (LDC) based on the result of the Kyoungan watershed SWMM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criterion on $BOD_5$ was often exceeded in up-stream than down-stream. From flowrate-load correlation curve, SS load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reamflow increases. 75.3% of streamflow and 62.1% of $BOD_5$ loads is discharged especially in the zone of high flows, but monitoring data set didn't provide proper information about the conditions and the patterns associated with storm ev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quire representative data set for comparing hydrograph and pollutograph through monitoring experimental watershed and to establish methods for quantifying point and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GIS와 RS를 이용한 비점원오염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AGNPS) Model using GIS and RS)

  • 김성준;이윤아;이남호;윤광식;홍성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63-72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GIS와 RS(Landsat TM, KOMPSAT EOC) 데이터를 이용한 AGNPS(Agricultural Nonpoint Source Pollution) 모형의 적용성을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AGNPS 모형은 잘 알려진 분포형 강우사상 모형으로써 이 모형은 밭의 시비수준과 축산농가의 오염 부하 수준을 적용할 수 있어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평가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 유역은 경기도 안성군 고산면(정동리, 야동리, 쌍령리)에 위치하고, 20개의 소규모 축산 농가가 산재해 있는 면적 $4.12km^2$ 내에 소유역이다. AGNPS 모형의 입력 데이터는 Arc/Info, GRASS, ER-Mapper, Idrisi를 사용하여 구축되었다. 모형의 보정 및 검증을 위해 사용된 강우 자료는 1시간 간격으로 관측된 1999년의 4개의 강우사상(5월 18일, 7월 29일, 9월 10일, 9월 20일)을 사용하였고, 수질 측정은 4개의 지점에서 측정된 실측자료를 사용하였다.

  • PDF

위성영상 분류 기반 주암댐 유역 비점오염부하량 평가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Juam-Dam Basi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atellite Imagery)

  • 이근상;김태근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 평가에서 기대평균농도 적용에 필요한 토지피복 클래스를 추출하기 위해 Landsat TM 영상의 근적외선밴드 자료를 이용하여 농경지를 논과 밭으로 분류하였다. 환경부의 대분류와 중분류 자료를 이용하여 영상에서 분류한 토지피복도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각각 83.96%와 78.41%로 높은 정확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상분류를 통해 추출한 토지피복도를 기초로 하여 유출곡선지수와 직접유출을 평가한 결과 동복댐과 동복천 유역이 높게 분석되었다. 또한 유역별 기대평균농도 분석에서는 BOD, TN, TP 모두 겸백 수위표와 보성강상류 유역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접유출과의 조합을 통한 비점오염원 분석에서도 겸백 수위표와 보성강 상류 유역이 높게 분석되어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중점 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다.

다목적댐 홍수조절용지 내 경작실태 및 비점원오염부하량 조사 분석 (Survey and Analyses of Farming Condition and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the Flood Control Area of the Multi-purpose Dams)

  • 정지은;정상옥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4-52
    • /
    • 2003
  • This study surveyed farming condition and the effect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ing by cultivating in the flood control area of multi-purpose dams. 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dam management regulation, cultivation can be permitted between norma

  • PDF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소양호) 목표수질 달성도 평가 (Assessing the Action Plans in the Control Area(Soyang Reservoir)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 최재완;강민지;류지철;김동일;임경재;신동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839-852
    • /
    • 2014
  •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has made more effort in managing point source pollution rather than in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of the four major rivers. However, it would be difficult to meet water quality targets solely by managing the point source pollution. As a result of the comprehensive measures established in 2004 under the leadership of the Prime Minister's Office, a variety of policies such as the designation of control areas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ion are now in place. Various action plans to manage nonpoint source pollution have been implemented in the Soyang-dam watershed as one of the control areas designed in 2007. However, there are no tools to comprehensively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action plans. Therefore, this study would assess the action plans (especially, BMPs) designed to manage Soyang-dam watershed with the WinHSPF and the CE-QUAL-W2. To this end, we simulated the rainfall-runoff and the water quality (SS) of the watershed and the reservoir after conducting model calibration and the model validation. As the results of the calibration for the WinHSPF,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 ($R^2$) for the flow (Q, $m^3/s$) was 0.87 and the $R^2$ for the SS was 0.78. As the results of the validation, the former was 0.78 and the latter was 0.67. The results seem to be acceptable. Similarly, the calibration results of the CE-QUAL-W2 showed that the RMSE for the water level was 1.08 and the RMSE for the SS was 1.11. The validation results(RMSE) of the water level was 1.86 and the SS was 1.86. Based on the daily simulation results, the water quality target (turbidity 50 NTU) was not exceeded for 2009~2011, as results of maximum turbidity in '09, '10, and '11 were 3.1, 2.5, 5.6 NTU, respectively. The maximum turbidity in the years with the maximum, the minimum, and the average of yearly precipitation (1982~2011) were 15.5, 7.8, and 9.0, respectively, and therefore the water quality target was satisfied. It was discharged high turbidity at Inbuk, Gaa, Naerin, Gwidun, Woogak, Jeongja watershed resulting of the maximum turbidity by sub-basins in 3years(2009~2011).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water quality target for th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should be changed and management area should be adjusted and reduced.

비점원 오염관리를 위한 식생여과대의 적용 (Application of vegetative filter strip to control nonpoint source pollution)

  • 정지은;정상옥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2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17-420
    • /
    • 2002
  • VFS는 침전물, 영양물질, 농약 등이 지표수로 유입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유용한 BMP이다. VFS의 식생의 종류는 목초, 관목 및 나무가 있으나 우리 나라와 같이 비점원오염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는 목초가 가장 적당한 식생이다. VFS의 효과는 토양특성, 배수면적, 지형과 지변경사, 식생의 품질과 토지이용과 기후에 지배된다. 그리고 주기적인 VFS의 관리는 비점원오염을 관리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식생의 정화능력을 이용한 VFS는 비점원오염 관리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VFS 독자적인 적용보다는 저류지와 같은 다른 기법과 동시에 적용하는 복합적인 관리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VFS의 폭은 토양 특성, 배수면적, 지면 경사, 식생의 종류, 토지 이용도 등에 따라서 다르나 대체로 10m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보다 신뢰성 있는 VFS의 설계기준은 실제 시공과 사후 효과분석을 통하여 많은 자료를 축적한 후에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Building an Integrated Governance Model and Finding Management Measures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Watershed Management of Korea

  • Ban, Yong Un;Woo, Hye Mi;Han, Kyung Min;Baek, Jong I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3호
    • /
    • pp.199-208
    • /
    • 2013
  •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an integrated governance model and find measures to manage nonpoint source (NPS) pollutions in watershed management.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has analyzed NPS pollution management policies in Korea and has employed statistical methods such as expert Delphi survey, analysis of variance, and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favored basic organization form was a private-public cooperative council. The necessary governance-based NPS pollution management measures determ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build collaboration mechanisms including those related to motivation provision, trust building, capacity building, and making optimal regulations; to employ financial resources based on principles such as 'polluter-pays', 'recipient-pays', and 'general-tax-source'; and to develop several programs, including system improvement, pilot and management projects, and publ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