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1108/kagis.2012.15.3.001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Loads of Juam-Dam Basi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Satellite Imagery  

Lee, Geun-Sang (Dept. of Cadastre and Real State, Vision University of Jeonju)
Kim, Tae-Keu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eongj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v.15, no.3, 2012 , pp. 1-1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gricultural area was classified into dry and paddy fields in this study using the near-infrared band of Landsat TM to extract land cover classes that need to the application of Expected Mean Concentration (EMC) in nonpoint source works. The accuracy of image classification of the land cover map from Landsat TM image showed 83.61% and 78.41% respectively by comparing with the large and middle scale land cover map of Ministry of Environment. As the result of Soil Conservation Service (SCS) Curve Number (CN) using the land cover map from image classification, Dongbok dam and Dongbok stream basin were analyzed high. Also Geymbaek water-gage and Bosunggang up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analysis of EMC of BOD, TN, TP by basin. And also Geymbaek water-gage and Bosunggang upstream basin showed high in the analysis of non-point source through coupling with direct runoff. Therefore these basins were selected with the main area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Keywords
Image Classification; Near-Infrared; Nonpoint Source; Direct Runoff;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립환경과학원. 2008. 수질오염총량관리 기술지침.
2 김만식, 정승권. 2000.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유역의 토지이용별 비점오염부하량 분석. 환경관리학회지 6(3):411-421.
3 김이형, 이선하. 2005. 주차장 및 고량지역의 강우유출수내 비점오염물질의 특성 및 동적 EMCs. 수질보전 환경물환경학회지 21(3): 248-255.
4 김철, 김석규. 2002. GIS를 이용한 주암호 유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수질모의. 한국지리정보학회지 5(3):87-98.
5 박재홍, 이수웅, 박주현, 류덕희, 정동일, 최혜미, 전우송. 2009. 고해상도 영상자료를 이용한 실제토지이용에 따른 지목면적과 부하량 산정.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5(2): 193-204.
6 윤태훈. 1999. 응용수문학. 청문각.
7 이근상, 김유리, 예령, 이을래. 2009. GIS 기반 SWAT 모델을 이용한 동향・천천 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82-98.
8 이근상, 김정열, 안소라, 심정민. 2010. 기후변화에 따른 안동․임하호 유역의 부유사량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3(1):1-15.
9 이근상, 이명진, 홍현정, 황의호. 2007. GIS를 이용한 사방댐의 토사유실 저감효과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1):158-168.
10 이범연, 이창희, 이수웅, 하도. 2009. 원단위법에 의한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시 토지피복 특성을 반영하는 고해상도 항공영상의 활용방안. 환경영향평가 18(5):281-291.
11 이범연, 이창희, 하도, 이수웅. 2010. 경안천유역 지적공부에 나타난 특정지목의 토지이용 특성 세분화를 통한 비점오염 부하량 산정 개선방안. 수질보전 환경물환경학회지 26(4):598-607.
12 이상익, 이종수, 최윤수. 2003.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분포지도제작과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결과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3(5D):719-726.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전북발전연구원. 2007. GIS를 활용한 오염총량 대비 전라북도 비점오염원 관리. 전발연2007-R-09. 119쪽.
14 조재현, 연제철. 2000. GIS를 이용한 동해안하천유역의 토양유실량과 오염부하량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2(7):1331-1343.
15 주진호, 정영상, 양재의, 옥용식, 오상은, 유경렬, 양수찬. 2007. 낙동강 수계 고령지 밭의 비점오염 물질 유출 특성 조사 및 단위 유출량 산정. 한국환경농학회지 26(3):233-238.
16 채효석, 김광은, 김성준, 김영섭, 이규성, 조기성, 조명희. 2002. 환경원격탐사. 시그마프레스. 401-431.
17 최지용, 신창민. 2002. 비점오염원 유출저감을 위한 우수 유출수 관리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8 한국수자원공사. 2011. 댐운영실무편람.
19 함광준, 김준현, 심재민. 2005. GIS를 이용한 유역별 오염부하량 산정시스템의 개발. 환경영향평가 14(3):97-107.   과학기술학회마을
20 Berankova, D. and J. Ungerman. 1996.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in the Morava River basi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3(4-5):127-135.
21 Ichiki, A., T. Ohnishi and K. Yamada. 1998. Estimation of urban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Lake Biwa basin.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8(10): 157-163.   DOI   ScienceOn
22 Leon, L.F., E.D. Soulis, N. Kouwen and G.J. Farquhar. 2001. Nonpoint source pollution: a distributed water quality modeling approach. Water Research 35(4):997-1007.   DOI   ScienceOn
23 Tonderski, A. 1996. Landuse-based nonpoint source pollution. A threat to water resources in developing countrie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3(4-5) :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