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native specie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3초

독도의 외부유입종 분포와 관리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on-indigenous plants in Dokdo)

  • 송임근;박선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98-107
    • /
    • 2012
  • 독도의 외부유입종 분포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하였다. 식재로 인해 생태계 교란이 많이 이루어진 1973년을 기준으로, 1973년 이전은 30분류군(52.6%), 1973년 이후는 24분류군(42.1%)과 재배종 3분류군(5.3%)으로 구분되었으며, 최근 독도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많은 탐방객들의 방문이 이루어짐에 따라 외부유입종에 대한 관리가 요구된다.

초.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식물의 종류와 특징 (Vascular Pla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Cited in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임재원;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95
    • /
    • 2009
  • 본 연구는 제 5차, 제 6차 및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311종류의 초,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인용된 관속 식물의 종류를 파악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인용된 식물은 129과 332속 383종 2아종, 47변종 6품종, 3잡종으로 총 44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이 중 초본은 280종류(63.5%), 목본은 161종류(36.5%)였으며, 자생종과 외래종은 각각 241종류(54.6%)와 200종류(45.4%)였다. 과별로는 국화과가 35종류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벼과가 2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인용된 441분류군에는 한국특산식물은 9분류군, 희귀식물 25분류군, 멸종위기식물 12종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83종류와 16종류의 귀화식물이 포함되어 있다. 식물의 용도는 식용이 185종류(41.9%)로 가장 많았으며, 약용 148종류(33.5%), 관상용 139종류(31.5%), 목초용 87종류(19.7%), 목재용 34분류군(7.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 번식에 중요한 환경적인 요소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for Reproduction of Trachemys scripta elegans in Jeju Island, South Korea)

  • 구교성;성하철
    • 생태와환경
    • /
    • 제52권4호
    • /
    • pp.378-384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은 새로운 지역으로 유입되어 토착 생태계를 교란하는 대표적인 외래생물이다. 국내에는 1970년대부터 방생과 애완의 목적으로 수입되었으며, 현재 남한 전역에 걸쳐 발견되고 있다. 또한 자연적인 번식과 확산이 지속적으로 관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는 제주도 지역에서 발견되는 붉은귀거북을 대상으로 자연적인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인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먼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제주도 내 붉은귀거북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붉은귀거북의 번식이 확인되는 지역과 그렇지 않는 지역을 대상으로 주변의 토지 피복과 서식지 기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붉은귀거북은 선행 연구에서 기록한 15개 지역에서 증가한 38개 지점에서 발견되었다. 그 중 번식 확인된 지역은 21개, 단순히 서식만 확인된 지역은 17개 지역이었다. 붉은귀거북의 전체 그리고 성체만의 개체수는 번식지가 유의미하게 많았다(P<0.001). 붉은귀거북의 번식이 이루어지는 서식지 주변의 토지 피복의 경우, 밭의 비율이 뚜렷하게 높았지만(P<0.001), 비번식지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한편, 붉은귀거북의 번식지와 비번식지 간의 기후적인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P>0.05), 어떠한 기후 요소도 붉은귀거북의 번식과 관련되지 않았다(P>0.05).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주도 내에서는 붉은귀거북의 번식에는 서식지 주변의 토지 피복 즉 번식 가능한 환경의 존재가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붉은귀거북이 발견되는 서식지의 주변 환경을 우선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번식과 확산을 제어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Herbivory effects and growth rate of invasive species, Pomacea canaliculata on different macrophytes species

  • Ismail, Hasnun Nita;Anuar, Wan Nurul Hidayah Wan;Noor, Noormawaty Mohammad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4권12호
    • /
    • pp.415-427
    • /
    • 2021
  • Wetland ecosystems act as natural freshwater purification systems, but their rich biodiversity is being threatened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non-native freshwater snail, Pomacea canaliculat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herbivory effects and growth rate of P. canaliculata on common macrophytes: Ipomoea aquatica, Ipomoea batatas, Pandanus amaryllifolius and Cucurma longa. In separate experiments, the macrophyte species were served as the snails' food as individual species and simultaneously. In the individual treatment, the growth pattern and rate were based on the snails' weight (mg/snail/day; n = 9) while the individual feeding consumption (mg/snail/day) was calculated from the leftover food. In the simultaneous treatment, the herbivory effects were evaluated as the feeding preference (%) from observations every two hours, while the total feeding consumption (mg) was calculated based on the food remaining after a 12-hour experiment (3 replicates: total n = 27).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wth pattern was significant for snails grazing on I. aquatica but not when other macrophyte species were eaten. The individual feeding consumption was higher when using I. aquatica than P. amaryllifolius but the growth rate for snails grazing on I. aquatica and P. amaryllifoliu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Meanwhile, the consumption of C. longa deterred the snails' growth rate. Although the snails consumed all the macrophytes in the individual experiment, when given the species simultaneously, the feeding preference and total feeding consumption were directed significantly more toward I. aquatica than P. amaryfollius and C. longa. We conclude that P. canaliculata is a generalist feeder given a limited choice of food but tends to show a strong feeding preference after being introduced to more food choic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troduction of P. canaliculata into wetland ecosystems may increase the herbivory effects on macrophytes, making these ecosystems vulnerable to the impact of eutrophication and biodiversity reduction.

FISK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를 이용한 강릉남대천의 잠재적 침습 이입종 평가 (The Evaluation of Potential Invasive Species in the Gangneungnamdae Stream in Korea using a Fish Invasiveness Screening Kit)

  • 김정은;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36권1호
    • /
    • pp.73-81
    • /
    • 2018
  • 본 연구는 선행된 연구자료의 어류군집을 이용하여 강릉 남대천 내 이입종의 현황을 파악하고, 수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침습성을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강릉 남대천에 서식하고 있는 국내 타수계 이입종은 12종으로 조사되었으며, 1982년 이후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입종의 FISK 평가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와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가 높은 침습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FISK 질문의 답변에 대한 신뢰도 값은 평균 $3.2(3.06{\pm}0.16{\sim}3.42{\pm}0.13)$로 분석되었으며, 최대 신뢰도 값이 4인 것을 고려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점별 물리적 서식지 평가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결과 평균 146 (88~171)으로 최적의 서식처 환경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점별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과 QHEI, 이입종 출현빈도를 구분한 결과 하천의 고도가 낮아질수록 QHEI 값은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토지이용 측면에서는 산림지역이 감소하고, 도심지역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어류군집, QHEI, 하천 인근 토지이용률, 이입종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하천 상 하류간의 연속성을 나타내는 고도와 지점별 종수 (r= -0.782, p=0.0127), 종수와 산림지역 (r= - 0.737, p=0.0234), QHEI와 도심지역 (r= - 0.292, p= 0.446)과는 음의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타수계 이입종의 경우 도심지역과는 양의 상관성 (r=0.313, p=0.412)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대한 환경생태적(環境生態的)으로 안정(安定)된 녹화공법(綠化工法)에 관(關)한 연구(硏究)(I)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를 이용(利用)한 녹화토(綠化土)의 효능분석(效能分析)을 위한 실내실험(室內實驗)- (Studies on the Environmentally and Ecologically Stable Revegetation Measures on Rock Cut-Slopes - Availability of Forest Topsoil as a Hydroseeding Material in Greenhouse Experiment -)

  • 우보명;김경훈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7권2호
    • /
    • pp.308-315
    • /
    • 1998
  • 암절취(岩切取) 훼손(毁損)비탈면에 적용할 수 있는 종비토(種肥土)뿜어붙이기공법(工法)용 녹화토양자재(綠化土壤資材)로서 산림표층토(山林表層土)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6년 3월부터 현지조사 및 파종실험을 실시하였다. 산림토양(山林土壤)의 유형(類型) 및 토양의 피복(被覆)두께에 따른 식생생육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할구배치법(分割區配置法)(주구(主區) : 산림토양의 유형과 토양피복두께, 세구(細區) : 파종량)에 의한 요인실험(要因實驗)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산림토양(山林土壤)에 함유된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의 발아 생육으로 외래초종(外來草種)을 파종하지 않는 시험구에서는 5~9종/$0.07m^2$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였다. 외래초종의 파종량을 증가시킬수록 초기에 우점된 외래초종의 영향으로 공시초종 3종외에 자연적으로 출현한 종은 2~6종/$0.07m^2$으로 감소하였다. 식생의 총 출현개체 수는 침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비율은 활엽수토양을 이용한 실험구에서 약 30%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잠재종자원(潛在種子源)을 함유한 산림토양을 생육기반으로 사용할 경우, 초기에 파종된 외래종(外來種)과 자연적으로 발생한 종의 공생으로 기존의 종자 사용량을 1,000본/$m^2$(발생기대본수) 수준으로 감소시켜도 조기에 다양한 식생을 조성할 수 있었다. 종비토뿜어붙이기공법에 적용시 파종한 종과 자연출현종과의 경쟁, 표층부의 건조, 하부에 매몰되는 종자원을 고려할 때 토양의 피복두께는 5c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다양한 식생의 생육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allele-specific expression using RNA-seq of the Korean native pig and Landrace reciprocal cross

  • Ahn, Byeongyong;Choi, Min-Kyeung;Yum, Joori;Cho, In-Cheol;Kim, Jin-Hoi;Park, Chan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2호
    • /
    • pp.1816-1825
    • /
    • 2019
  • Objective: We tried to analyze allele-specific expression in the pig neocortex using bioinformatic analysis of high-throughput sequencing results from the parental genomes and offspring transcriptomes from reciprocal crosses between Korean Native and Landrace pigs. Methods: We carried out sequencing of parental genomes and offspring transcriptomes us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 We subsequently carried out genome scale identification of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in two different ways using either individual genome mapping or joint genome mapping of the same breed parents that were used for the reciprocal crosses. Using parent-specific SNPs, allele-specifically expressed genes were analyzed. Results: Because of the low genome coverage (${\sim}4{\times}$) of the sequencing results, most SNPs were non-informative for parental lineage determination of the expressed alleles in the offspring and were thus excluded from our analysis. Consequently, 436 SNPs covering 336 genes were applicable to measure the imbalanced expression of paternal alleles in the offspring. By calculating the read ratios of parental alleles in the offspring, we identified seven genes showing allele-biased expression (p<0.05) including three previously reported and four newly identified genes in this study. Conclusion: The newly identified allele-specifically expressing genes in the neocortex of pigs should contribute to improving our knowledge on genomic imprinting in pigs.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study of allelic imbalance using high throughput analysis of both parental genomes and offspring transcriptomes of the reciprocal cross in outbred animals. Our study also showe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informative animals on the genome level investigation of allele-specific expression using RNA-seq analysis in livestock species.

Effect of Antibiotic Down-Regulatory Gene wblA Ortholog on Antifungal Polyene Production in Rare Actinomycetes Pseudonocardia autotrophica

  • Kim, Hye-Jin;Kim, Min-Kyung;Kim, Young-Woo;Kim, Eu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9호
    • /
    • pp.1226-1231
    • /
    • 2014
  • The rare actinomycete Pseudonocardia autotrophica was previously shown to produce a solubility-improved toxicity-reduced novel polyene compound named $\underline{N}ystatin$-like $\underline{P}seudonocardia$ $\underline{P}olyene$ (NPP). The low productivity of NPP in P. autotrophica implies that its biosynthetic pathway is tightly regulated. In this study, $wblA_{pau}$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a novel negative regulatory gene for NPP production in P. autotrophica, which showed approximately 49% amino acid identity with a global antibiotic down-regulatory gene, wblA, identified from various Streptomycetes species. Although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PP production was observed between P. autotrophica harboring empty vector and the S. coelicolor wblA under its native promoter, approximately 12% less NPP was produced in P. autotrophica expressing the wblA gene under the strong constitutive $ermE^*$ promoter. Furthermore, disruption of the $wblA_{pau}$ gene from P. autotrophica resulted in an approximately 80% increase in NPP productivity. These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identification and inactivation of the global antibiotic down-regulatory gene wblA ortholog are a critical strategy for improving secondary metabolite overproduction in not only Streptomyces but also non-Streptomyces rare actinomycete species.

Aluminum Complexation and Precipitation with Seaweed Biosorbent

  • Lee, Hak-Sung;Kim, Young-Tae
    • Environmental Sciences Bulletin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 /
    • 제2권1호
    • /
    • pp.1-8
    • /
    • 1998
  • Biomass of non-living brown seaweed Sargassum fluitans pretreated by different methods is capable of taking up more than $10\%$ (11 meq/g) of its dry weight in aluminum at a pH of 4.5. It is indicated that the biomass sequestered the aluminum in the form of polynuclear aluminum species. The fraction of $Al(OH)_3$ Precipitated in the aluminum nitrate solution without biomass at pH 4.5 increased as the Al concentration increased. Aluminum-alginate complex precipitated in the solution as alginate was partially released from the biomass. External colloidal precipitate occurring in native and protonated S. fluitans biomass sorption systems caus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l sorption isotherms determined by standard and desorption methods, respectively, Sodium ions added for pH adjustment were not sorbed at all in the presence of aluminum ions.

  • PDF

Descriptions of the Wood Anatomy and Safranine Impregnation in Gmelina arborea Roxb. from Bangladesh

  • Ahmed, Sheikh Ali;Chun, Su-Kyo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00-105
    • /
    • 2007
  • In this report, we describe the anatomical features of Gmelina arborea Roxb. belong to the genera of Verbenaceae native to Bangladesh and safranine penetration depth in radi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The wood of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mostly by distinct growth ring boundaries, diffuse-porous, simple perforations, alternate non-vestured intervessel pits, and relatively short vessel elements and medium fibers. Thin to thick walled septate fibers with simple to minutely bordered pits are confined to the radial walls. Tyloses are common. They are paratracheal axial parenchyma vascicnetric and confluent. Rays not higher than 1milimeter are found, and larger rays commonly 4 to 5 seriate are dominantly present, as are multi seriate rays composed of a procumbent ray with 1 row of square or upright cells. Acicular crystals are present in ray cells. Another experiment was taken under consideration to observe the liquid penetration depth in longitudinal and radial directions using safranine. It was found that safranine penetrated easily in longitudinal direction and sapwood was more permeable than heartw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