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n-alcoholic fatty liver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초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의 이수(利水) 약재 포함 한약 치료에 대한 최신 임상 연구 동향 - CAJ 검색을 중심으로 (Review of Clinical Research about Herbal Medicine Treatment Containing Diuretic Herbs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Research on China Academic Journal)

  • 김영광;조명재;문영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8-57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reviewed recent clinical research trends regarding the effects of herbal medicine treatment containing diuretic herbs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 in China. Methods: We reviewed clinical studies on NAFLD from the China Academic Journal of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from January 1, 2016, to September 10, 2018. Results: Thirty-nine papers from 86 studies were reviewed.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prescriptions included Alismatis Rhizoma(澤瀉), Salviae miltiorrhizae Radix (丹蔘), Crataegii Fructus (山査), Polia Sclerotium (茯?), Bupleuri Radix (柴胡), and Cassiae Semen (決明子). The treatment effective rate, liver function test, serum lipid test, radiological examination, and symptom comparisons were used to analyze the treatments. In 32 of the papers, the effective treatment rate was 76.9%-100%, and the effectiven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0.05). The risk ratio for the treatment effective rate was 1.26. The mean difference of ALT was -13.44 U/L (95% confidential interval, -24.45 U/L, -2.44 U/L, p=0.0166). Conclusion: Herbal medicine containing diuretic herbs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n effective and useful treatment for NAFLD. Clinical studies that are more scientific and systematic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in the future, and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in future clinical studies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NAFLD.

Role of endoscopic duodenojejunal bypass liner in obesity management and glycemic control

  • Willian Ferreira Igi;Victor Lira de Oliveira;Ayah Matar;Diogo Turiani Hourneaux de Moura
    • Clinical Endoscopy
    • /
    • 제57권3호
    • /
    • pp.309-316
    • /
    • 2024
  • The treatment of obesity and its comorbidities ranges from clinical management involving lifestyle changes and medications to bariatric and metabolic surgery. Various endoscopic bariatric and metabolic therapies recently emerged to address an important therapeutic gap by offering a less invasive alternative to surgery that is more effective than conservative therapies. This article comprehensively reviews the technical aspects, mechanism of action, outcomes, and future perspectives of one of the most promising endoscopic bariatric and metabolic therapies, named duodenojejunal bypass liner. The duodenojejunal bypass liner mimics the mechanism of Roux-en-Y gastric bypass by preventing food contact with the duodenum and proximal jejunum, thereby initiating a series of hormonal changes that lead to delayed gastric emptying and malabsorptive effects. These physiological changes result in significant weight loss and improved metabolic control, leading to better glycemic levels, preventing dyslipidemia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mitigating cardiovascular risk. However, concern exists regarding the safety profile of this device due to the reported high rates of severe adverse events, particularly liver abscesses. Ongoing technical changes aiming to reduce adverse events are being evaluated in clinical trials and may provide more reliable data to support its routine use in clinical practice.

Robinetin Alleviates Metabolic Failure in Liver through Suppression of p300-CD38 Axis

  • Ji-Hye Song;Hyo-Jin Kim;Jangho Lee;Seung-Pyo Hong;Min-Yu Chung;Yu-Geun Lee;Jae Ho Park;Hyo-Kyoung Choi;Jin-Taek Hwa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2호
    • /
    • pp.214-223
    • /
    • 2024
  • Metabolic abnormalities in the liver are closely associated with diverse metabolic diseases such as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type 2 diabetes, and obesi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eliorating effect of robinetin (RBN) on the significant pathogenic features of metabolic failure in the liver and to identify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 RBN significantly decreased triglyceride (TG) accumulation by downregulating lipogenesis-related transcription factors in AML-12 murine hepatocyte cell line. In addition, mice fed with Western diet (WD) containing 0.025% or 0.05% RBN showed reduced liver mass and lipid droplet size, as well as improved plasma insulin levels and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values. CD38 was identified as a target of RBN using the BioAssay database, and its expression was increased in OPA-treated AML-12 cells and liver tissues of WD-fed mice. Furthermore, RBN elicited these effects through its anti-histone acetyltransferase (HAT) activity. Computational simulation revealed that RBN can dock into the HAT domain pocket of p300, a histone acetyltransferase, which leads to the abrogation of its catalytic activity. Additionally, knock-down of p300 using siRNA reduced CD38 expression. The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ChIP) assay showed that p300 occupancy on the promoter region of CD38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3K9 acetylation levels were diminished in lipid-accumulated AML-12 cells treated with RBN. RBN improves the pathogenic features of metabolic failure by suppressing the p300-CD38 axis through its anti-HAT activity, which suggests that RBN can be used as a new phytoceutical candidate for preventing or improving this condition.

간에서 지방산 분할에 대한 지방산결합 단백질 5의 역할 (The role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5 (Fabp5) in fatty acid partitioning in the liver)

  • 박재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283-291
    • /
    • 2019
  • 간성 지방생성과 지방 대사에 있어서 FABP5의 역할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마우스에 바이러스 입자를 이용하여 간에서 FABP5를 과발현 그리고 침묵시켜 이용하였다. 마우스에 서양식 또는 일반 사료를 1주일간 섭취시키고 24시간 동안 금식한 후 희생하였다. 간을 기계적으로 분쇄하여 웨스턴 블?으로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고, mRANA 분석에는 RT-PCR을 이용하였다. 간과 혈청의 지질 분석에는 박층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였다. 서양식이나 고농도 포화 지방식을 급식한 쥐에서 FABP5 발현이 높은 증가를 보였으나, FABP5 mRNA 발현은 급식에 비해 단식조건에서 급격히 감소하였다. FABP5를 과발현 시킨 상태에서 급식과 금식을 실시한 결과 간성 TG가 중요하게 증가하였다. 간성 유리 콜레스테롤은 급식상태에서 현저히 감소하였다. FABP5 발현 억제 시 간성 TG가 상당히 감소하였다. 결과들에서 보듯이, FABP5가 간지질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상 상태 및 탄수화물 유도 조건에서 간성 TG 저장형성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FABP5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대사증후군, 비만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FABP5 발현에 어떤 전사인자가 관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유산균 발효 마늘 추출물의 oleic acid로 유도된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대한 개선 효과 (Ameliorating Effects of Lactic Acid-fermented Garlic Extracts on Oleic Acid-induced Hepatic Steatosis)

  • 이희섭;임원철;최지휘;유희종;김기호;이승현;조홍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62-7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oleic acid로 유도시킨 비알코올성 지방간 HepG2 세포 모델을 활용하여 LAFGE의 비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검토하고 RT-PCR과 Western blot으로 메카니즘을 해석하였다. LAFGE는 1 mg/mL 농도에서 NFGE보다 세포 내 지방축적을 약 1.5배 저해하였다. Fig.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LAFGE는 FAT/CD36 mRNA 발현을 감소시켜 세포 내로 유입되는 지방산의 양을 감소시켰으며, $PPAR{\alpha}$와 CPT-1의 mRNA 발현을 증강시킴으로써 지방산의 베타-산화를 촉진시켰다. 또한 LAFGE는 지방합성을 촉진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와 그의 조절을 받는 FAS의 mRNA 발현 수준을 oleic acid 처리시보다 각각 51%와 35%까지 크게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LAFGE는 농도의존적으로 SREBP-1c와 FAS의 단백질 발현도 감소시켰다. 이 결과들은 LAFGE가 oleic acid처리에 의해 유도된 HepG2 세포 내의 지방축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뇌하수체저하증 소아에서 발생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 Children with Hypopituitarism)

  • 윤정민;고재성;서정기;신충호;양세원;문진수;양혜란;장주영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2010
  • 목 적: 뇌하수체저하증 환아들은 비만, 당불내성, 고지질혈증을 포함한 대사증후군의 양상을 보인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하수체저하증과 연관된 소아 지방간질환의 임상 양상과 간조직 소견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 법: 뇌하수체저하증 환자 중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으로 진단된 소아 11명의 임상자료를 조사하였다. 결 과: 뇌하수체저하증 진단 시 연령은 10.4${\pm}$3.2세였다. 지방간질환 진단 시 연령은 13.1${\pm}$2.7세였다. 두 개인 두종이 뇌하수체저하증의 기저질환 중 가장 흔하였다. 지방간질환 진단 당시 체질량지수 85백분위수 이상이 9명(82%), 금식 시 고혈당이 5명(45%), 고지질혈증이 9명(82%)에서 발견되었다. 신장의 표준편차 점수의 평균은 뇌하수체저하증 진단 시보다 지방간질환 진단시에 유의하게 낮았다. 간생검을 실시한 6명 중에서 1명은 간경변, 2명은 연결 섬유화가 동반된 지방간염, 2명은 경도의 간문맥 섬유화가 동반된 지방간염, 1명은 단순 지방간으로 진단되었다. 결 론: 뇌하수체저하증을 가진 소아는 저신장, 비만, 고지질혈증,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간조직의 진행된 섬유화가 흔하기 때문에 뇌하수 체저하증 환아에서 지방간질환의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비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위험요인 (Risk Factors of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in Childhood Obesity)

  • 윤은실;박용훈;최광해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10권2호
    • /
    • pp.179-184
    • /
    • 2007
  • 목 적: 비만 인구 증가와 함께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비만아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발생의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는 별로 없는 실정이어서, 비만아 중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영남대학교 병원 소아 비만 클리닉을 방문한 비만아 8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ALT 40 IU/L 이하 (Group 1), 41 IU/L 이상(Group 2)로 나누었으며, 간염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원인에 의한 간염은 배제 시켰으며 나이와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비만도, 체지방률을 비교하고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 과: 연령,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비만도, 체지방율의 평균을 비교하였을 때 1군에서는 연령이 $10.5{\pm}1.6$세, 2군은 $10.7{\pm}2.0$세였으며, 총콜레스테롤은 1군에서 $183.0{\pm}29.1$ mg/dL, 2군에서 $183.7{\pm}31.3$ mg/dL였고,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1군, 2군 각각 $53.0{\pm}10.2$ mg/dL, $55.7{\pm}13.0$ mg/d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1군에서 $113.4{\pm}30.2$ mg/dL, 2군에서 $113.0{\pm}30.0$ mg/dL, 중성지방은 1군에서 $99.4{\pm}62.9$ mg/dL, 2군에서 $114.2{\pm}47.3$ mg/dL, 비만도는 1군에서 $44.7{\pm}12.2%$, 2군에서 $47.9{\pm}15.1%$, 체지방률은 각각 $32.7{\pm}5.0%$, $34.0{\pm}4.8%$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이상지혈증의 분포는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중성지방은 110 mg/dL 이상인 경우가 1군에서 13명(28.9%), 2군에서 21명(53.8%)으로 2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p-value=0.023). 결 론: 비만아에서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을 예측할 수 있는 위험요인으로 중성지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Alisma orientale

  • Rhew, Kwang-Yul;Choi, Hyuck-Jai;Kim, Nam-Jae;Lee, Jang-H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7권4호
    • /
    • pp.285-290
    • /
    • 2011
  • The rhizome of Alisma orientale Juzep (Alismataceae) has been used as a crude drug for diabetes, edema, inflammation and urinary disturbances in oriental medicine. Recent animal studies have shown that the extract of Alisma orientale rhizome (AOR) can potently lower high levels of serum lipids and improve insulin resistance, which are usually detected in patients and animal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So, we studi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AOR extracts and fraction in vitro and their protective effects against acute hepatotoxicity induced by $CCl_4$ in vivo.. We then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ach fraction on hepatotoxicity induced by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DAOR (dichloromethane fraction of the Alisma orientale rhizome) scavenged free radicals and superoxide anions. DAOR protected against $CCl_4$ induced hepatotoxicity. DAOR had hepatoprotective and antioxidative effects against t-BHP-induced hepatotoxicity in HepG2 cells and in rats.

Elafibranor PPARα/δ Dual Agonist Ameliorates Ovalbumin-Induced Allergic Asthma

  • Ye-Eul Lee;Dong-Soon Im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32권4호
    • /
    • pp.460-466
    • /
    • 2024
  • Asthma is characterized by chronic inflammation and respiratory tract remodeling.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PPA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and regulation of chronic inflammatory processes in asthma. The role of PPARγ has been studied using synthetic PPARγ agonists in patients with asthma. However, involvement of PPARα/δ has not been studied in asthma.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if elafibranor, a PPARα/δ dual agonist, can modulate ovalbumin (OVA)-induced allergic asthma, which is a potential drug candidate for non-alcoholic fatty liver in obese patients. Elafibranor suppresses antigen-induced degranulation in RBL-2H3 mast cells without inducing cytotoxicity in vitro. In mice with OVA-induced allergic asthma, the administration of elafibranor suppressed OVA-induced airway hyper-responsiveness at a dose of 10 mg/kg. Elafibranor also suppressed the OVA-induced increase in immune cell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Histological studies suggested that elafibranor suppressed OVA-induced lung inflammation and mucin hyper-production in the bronchial airways. In addition, elafibranor suppressed OVA-induced increases in serum immunoglobulin E and IL-13 levels in BALF. Converse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elafibranor has the potential for use in patients with allergic asthma.

올레산 유도 비알코올성 지방간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과 속대 추출물의 지질 축적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Purple Corn 'Seakso 1' Husk and Cob Extracts on Lipid Accumulation in Oleic Acid- Induced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HepG2 Model)

  • 이기연;김태희;김재은;배선화;박아름;이효영;최성진;박종열;권순배;김희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3-101
    • /
    • 2020
  • 연구의 목적은 oleic acid로 지방생성이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이다.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에 의한 HepG2 세포 내 지방 축적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양된 세포에 oleic acid로 지방 축적을 유도하고 추출물에 의한 중성지방생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추출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지방합성 및 축적에 관련된 유전자와 단백질 발현량을 RT-PCR과 Western blot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Oil Red O와 Nile Red 염색을 통하여 추출물의 처리로 HepG2 세포 내 중성지방 축적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 RT-PCR에 의하여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oleic acid에 의하여 지방 생성이 유도된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추출물 처리군의 SREBP-1c와 SREBP-1a 유전자 발현량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Western blot을 실시하여 p-AMPK, p-SREBP1, PPARα, FAS 단백질의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간에서 지질대사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SREBP1 단백질의 발현은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생합성 경로에 관여하는 주요 효소인 FAS의 단백질 발현향은 모든 처리 농도에서 현저하게 감소된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자색옥수수 색소 1호 포엽 및 속대 추출물이 간세포 내에서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시키고 지질 합성에 관련된 유전자 및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간 세포 내 지질 축적을 완화할 수 있는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치가 높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