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tillage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1초

Comparative analysis of growth, yields and grain quality of rice among no-tillage dry-seeding, wet-hill-seeding and transplanting

  • Choi, Jong-Seo;Kim, Sook-Jin;Kang, Shingu;Park, Jeong Hwa;Yoon, Young-Hwan;Yang, Woonh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08-208
    • /
    • 2017
  • No-tillage practices are expected to provide several benefits such as increasing soil organic matter, reducing labor time and saving energy cost compared with conventional tillage practi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tillage dry-seeding on rice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comparison with other rice cultivation methods, machine transplanting and wet-hill-seeding on puddled paddy. Rice seedling establishment was slightly higher in no-tillage dry-seeding treatment ($145seedling\;m^{-2}$) than wet-hill-seeding on puddled paddy treatment ($111seedling\;m^{-2}$), but the seedling establishment in both treatments fell within the optimum range for direct seeding rice cultivation.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s and chlorophyll content (SPAD value) of rice in no-tillage dry-seeding treatment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ain yield was observed among three cultivation methods, and the yield ranged 5.8 to $5.9ton\;ha^{-1}$. The heading date from seeding under no-tillage dry-seeding treatment was on average 109 days, which was similar to that under machine transplanting treatment (112 days), but 10 days later than that under wet-hill-seeding on puddled paddy treatment (99 days). Grain quality characteristics grown in no-tillage dry-seeding were similar to those grown in the other cultivation method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no-tillage dry-seeding practice is comparable to conventional tillage system in terms of seedling establishment, growth, yields and grain quality.

  • PDF

Effects of Rice-Winter Cover Crops Cropping Systems on the Rice Yield and Quality in No-tillage Paddy Field

  • Lee, Young-Han;Son, Daniel;Choe, Zhin-Ryo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3-58
    • /
    • 2009
  •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optimum conditions for no-tillage rice-winter cover crops cropping system. A field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rice cultivars (Dongjinbyeo and Junambybyeo) in rice-winter cover cropping systems at Doo-ryangmyeon., Sacheon, Gyeongsangnam-do, Korea from January 2005 to October 2006. The experimental soil was Juggog series (fine silty, mesic family of Fluvaquentic Eutrndepts). The rice cultivars were experimented under some different high residue farming systems, i.e. no-tillage no treatment (NTNT), no-tillage amended with rice straw (NTRS), no-tillage amended with rye (NTR), no-tillage amended with Chinese milkvetch (NTCMV), tillage no treatment (TNT), and conventional cropping system (Control). The miss-planted rate was 8.8% in 2005 and range of 10.8% to 13.3% in 2006 at NTR, and the other treatments were carried out at miss-planted rate ranging from 1.2% to 5.0%. Tiller numbers of Junambyeo, and Dongjinbyeo in both of years were the highest in Control, and decreased nearly in NTCMV, NTR, NTRS, NTNT, and TNT in that order. The lowest grain yield was observed in TNT both cultivars due to the lower tiller numbers per area, and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Also, no-tillage treatments were lower grain yield than control. On the other hand, 1,000-grain weight was lowest in control due to higher tiller numbers per area, and spikelet numbers per panicle. Ripened grain ratio was a similar aspect in all treatments. The palatability score of milled rice was lowest in control while protein content of milled rice was highest in control. The NTCMV was considered an effective sustainable farming practice for rice yield and quality.

무경운과 분할관수가 시설 유기재배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o-Tillage and Split Irrigation on the growth of Pepper Organically Cultivated under Plastic Film Greenhouse Condition)

  • 양승구;신길호;김희권;김현우;최경주;정우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81-796
    • /
    • 2015
  • 시설채소 무경운 유기재배와 분할관수 효과를 구명하고자 시험을 수행한 결과 1회 전량 관수한 경운재배 토양의 수분함량은 30 cm 깊이까지 관수개시 후 급격하게 증가 후 다음 관수 직전까지 계속하여 감소되었다. 경운 토양의 수분함량 편차는 토양이 깊어질수록 감소되었다. 1회 전량 관수한 무경운 토양 표토와 지하 20 cm 깊이의 수분함량은 해가 뜨기 시작하면 증가되고 야간에는 감소되는 증발산에 의한 주기적인 일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2회 분할 관수한 경운 표토와 무경운 표토와 지하 20 cm 깊이까지의 수분함량은 증발산에 의한 주기적인 일변화를 나타내었다. 토양의 염류농도는 관수 후 증가되기 시작하여 다음 관수 직전까지 계속하여 감소되었으며, 토양이 깊어질수록 염류농도 증가 시간은 지연되었다. 무경운 표토의 염류농도 오전 11시부터 정오 12시 사이에 증가되기 시작하여 오후 2~6시경을 정점으로 1일 1회 증가와 감소되는 증발산작용에 의한 일변화를 보였다. 30 cm 깊이의 무경운 토양에서는 염류농도의 일변화가 측정되지 않았다. 토양수분 함량과 염류농도는 경운방법에 관계없이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무경운 토양에서 재배된 고추의 생육은 경운 토양에서 재배된 고추에 비하여 생육이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경운방법에 관계없이 50%씩 2회 분할 관수한 토양에서 재배된 고추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주지의 길이와 경경 등 생육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고추의 수확과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2회 분할 관수가 경운과 무경운 처리에서 각각 49%와 47% 정도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고추 수량은 무경운 재배가 관행 경운재배에 비하여 8% 정도 증수되었다. 2회 분할관수의 고추 수량이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수확과수의 증가로 경운 재배에서는 36%, 무경운 재배에서는 39% 정도 현저하게 증수되었다.

논토양에서 경운 및 무경운재배시 재배방법별 메탄 배출 양상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Methane Emission in Tillage and No-tillage Practice from Rice Paddy Fields)

  • 고지연;이재생;김민태;강항원;강위금;이동창;신용광;김건엽;이경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16-222
    • /
    • 2002
  • 무경운 재배가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1998~2000년에 걸쳐 식질계 답토양에서 질소비종(요소, 유안, 완효성비료), 시비방법(전층시비, 표층시비), 유기물 시용(볏집시용, 무시용) 및 재배양식(건답직파, 중묘이앙) 등의 다양한 재배조건별 메탄가스 배출량을 경운과 무경운재배에서 조사하였다. 질소비종은 경운유무에 관계없이 유안시비구에서 메탄배출량이 가장 낮았다(요소 대비 26.6~41.1% 저감). 그러나 경운재배에 비해 수량이 낮은 무경운재배에서는 완효성 비료가 메탄배출량이 요소구에 비해 약간 적었고, 수량은 다른 질소비료 시비량이 80% 처리수준에서도 가장 높아 더 효율적인 비종으로 고려되었다. 시비방법에 따라서는 전층시비시 경운구에 비해 무경운구의 메탄배출량이 낮았으나 표층시비시에는 반대의 경향을 보였다. 볏짚 시용시에는 무경운에 의한 메탄배출 저감 효과가 강조되는 경향으로, 볏짚을 시용하지 않았을 때는 경운 대비 10.7% 저감되었고, $5000kg\;ha^{-1}$시용 시는 26.6% 저감되었다. 중묘이앙 재배시 무경운은 경운에 비해 26.6%의 메탄 배출 저감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건답직파 재배시는 무경운에서 경운보다 메탄배출이 11.2% 증가하였는데 이는 건답직파시 논토양이 완전 담수되는 3엽기 이전에 경운에 의해 토양에 투입된 볏짚 중 상당한 양이 산화적으로 분해되어 $CO_2$로 대기중으로 배출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되었다.

비가림하우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이 고추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and No-tillage of Winter Green Manure Crops on Yield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House)

  • 원종건;장길수;황지은;권오훈;권태영;조정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18-23
    • /
    • 2012
  • 본시험은 고추 연작으로 인해 염류가 집적되고 병충해가 빈번히 발생되는 고추 비가림하우스내 동계 녹비작물이 고추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영양고추시험장 친환경 고추재배 비가림하우스에서 우리나라에서 겨울철에 월동 가능한 자생콩과 녹비작물을 중심으로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섯가지 녹비작물인 재배완두, 새완두, 살갈퀴, 헤어리베치와 호밀을 가을에 파종하여 이듬해 봄에 녹비작물을 경운과 무경운 상태에서 고추를 재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계 녹비작물의 경운 유무에 따른 건물량은 경운에서 ha 당 8.3 ton이었고, 무경운재배에서는 7.0 ton이었다. 녹비작물별 건물량은 경운 무경운 동일하게 호밀에서 16.6, 14.6 ton으로 가장 많았고, 콩과 녹비작물에서는 살갈퀴가 6.6, 5.7 ton으로 양호하였다. 식물체내 질소 함유량은 살갈퀴와 새완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ha당 질소 공급량은 경운에서 살갈퀴가 226 kg, 호밀이 251 kg이었으며, 무경운재배시 살갈퀴는 197, 호밀은 222 kg이었다. 녹비작물의 경운과 무경운재배에 따른 고추 수량에서 주당 수확과수는 경운재배에서 55.5개로 무경운의 37개보다 18.5개가 더 많아 수량은 7.5 ton으로 무경운에 비해 약 67% 증수되었다. 경운과 무경운에서 공히 녹비작물별 고추의 수량은 질소질 비교의 공급량이 많았던 살갈퀴에서 현저히 많았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무경운 피복작물 작부체계에서 논물의 미소동물 평가 (Evaluation of Aquatic Animals on the Water in a Rice Field with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 이영한;손연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71-374
    • /
    • 2011
  • 벼 유기농업을 실천하기 위하여 무경운 논에서 피복작물로 자운영, 볏짚, 헤어리베치, 유채 및 호밀 등을 처리하고 논물의 미소동물 개체수의 변화를 검토코자 수행하였다. 이앙전 5월 30일 논물의 미소동물 개체수는 무경운 헤어리 배치 처리구가 관행, 무경운 자운영 처리, 무경운 유채 처리, 무경운 호밀 처리 및 무경운 녹비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이앙후 6월 20일 논물의 물벼룩과 모기유충 개체수는 관행이 무경운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p<0.05). 주성분 분석결과 관행은 무경운 처리구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무경운 처리에서는 무경운 자운영 처리와 무경운 헤어리베치 처리가 무경운 녹비 무처리, 무경운 유채 처리 및 무경운 호밀 처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무경운 논에서 유기물 투입이 논물의 미소동물 개체수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분해가 느린 호밀과 유채 보다 분해가 빠른 두과작물이 미소동물 개체수 증가에 유리하였고 벼 유기농업의 지표로 물벼룩의 개체수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Growth and Yield Performance in no-till Cultivation of sugary and shrunken-2 Corn Hybrids

  • Lee, Myoung-Ho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84-389
    • /
    • 2002
  • No-tillage (NT) practice for corn production has advantages of reduction of soil erosion and energy conservation. Research on effects of NT for sweet corn or super sweet corn is very limited. Hybrids of sugary (su) and shrunken-2 (sh2) were tested under NT and conventional tillage (CT) practices to investigate plant characters, ear characters, fresh yield, and grain yield. Sugary hybrids were Golden Cross Bantam 70 (GCB70), Sprint, Geumdanok, and Danok3. Shrunken-2 hybrids were BSS9472, Cambella90, GSS9299, Jubilee, KS-Y-65, and Chodangok1. Emergence rates under NT were lower than those under CT for su,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illage systems for sh2.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CT and NT for days to tasseling and silking, plant height, and ear height for both su and sh2. Ear characters such as ear length, number of kernel rows, number of kernels per row, and t100-kernel weight under N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under CT.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wo tillage practice for fresh and grain yield, rather they showed trend of increases under NT practices. Results from this trial indicate that NT practice for both su and sh2 cultivation may be possible to recommend to farmers.

경운과 무경운에 따른 토양 내 잡초종자의 수직적 분포양상 (Vertical Distribution of Weed Seed in the Soil as affected by Tillage and No-till)

  • 이병모;박광래;이연;조정래;이상민;안난희;최현석;지형진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1권4호
    • /
    • pp.1-5
    • /
    • 2012
  • 번거로운 토양 종자은행 조사를 위해 간편한 모니터링 방법을 고안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경운과 무경운에 따른 토양내 잡초종자의 수직적 분포 양상을 관찰하였다. 본 시험은 강원도 화천의 유기농 옥수수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포장의 조성은 2010년부터 경운과 무경운 조건으로 2년간 조성된 무경운 포장에서 30 cm 깊이의 비파괴 토양 시료를 채취한 후 그 안에서 발생하는 잡초를 헤아려 종자의 토양 분포정도를 조사하였다. 토양속 잡초 종자의 분포는 경운구의 경우 15 cm 이내에 75%의 종자가 분포되어 있는 등 30 cm 깊이까지 대체로 고르게 분포되고 있었던 반면 무경운 조건에서는 15 cm 이내에 85% 이상의 종자가, 20 cm 이내에 93%의 종자가 분포되어 대체로 토양 표면에 집중되었다. 한편 잡초의 발생초종수와 개체수는 경운구가 무경운구에 비해 3배나 많은 양이 발생되었으며 주요 우점초종은 돌피, 석류풀, 바랭이 등의 일년생 초종이었다.

논의 경운방법이 년차간 벼수량과 토양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Methods of Paddy Field on Yearly Changes of Rice Yield and Soil Properties)

  • Bong Koo, Hur;Bong Ki, Yun;Kwan Soon, Cho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9-114
    • /
    • 1996
  • 논토양에서 경운방법과 시비수준을 달리하여 화성벼를 5년간 동일포장에서 재배했을 때 벼수량과 토양특성 변화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종별 경운효율은 경운기 로타리구가 74.8%로서 제일 높고 트랙타 경운구가 59.0%로서 가장 낮았다. 2. 벼 이앙후 무경운구의 감수심이 가장 많았으며 벼 생육중기보다는 생육초기에서 많았다. 3. 벼 수량은 무경운 관행시비에 비해 경운기 로타리 농토배양시비구가 가장 많은 17%가 증수되었고 경운처리를 하므로서 벼수량은 6∼17% 증수되었다. 연차간에는 2연차에서 수량이 가장 많았고 4년차에서 가장 낮았다. 4. 경운하지 않은 무경운구의 용적밀도와 고상률이 가장 높았으며 토양의 화학성 변화는 처리간에 일정한 경향이 없었다.

  • PDF

고추의 무경운 재배에 따른 탄소저감효과 분석 (Analysis of Consumption of Homemade Organically Processed Food Analysis of The Carbon Emission Reduction Effect from No-Tillage in Pepper (Capsicum annuum L.) Cultivation)

  • 이길재;최윤실;양승구;이진홍;윤성이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03-518
    • /
    • 2012
  • 본 연구에 적용된 한국형 무경운(no-tillage)농법은 한국의 기상특성 및 농업현실에 맞도록 초기 두둑을 형성한 후 이를 지속적으로 재활용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한국형 무경운 농법은 생산량 저하 등 부정적인 영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경운작업 등 농자재사용은 크게 절감되는 효과로 인하여 에너지 및 농자재 비용의 절감과 노동시간 단축 등 긍정적인 효과가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Yang et al., 2012). 무경운농법에 의한 고추재배는 일반적인 고추재배 방식과(국가평균) 비교하여 10a ($1,000m^2$)당 $344.7kgCO_2$(58%)의 온실가스저감 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비료절감에 의한 직-간접효과가 92%, 에너지사용 절감에 의한 효과는 44%로 높은 탄소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무경운농법의 직접적인 효과에 부가하여 무경운방식의 토양관리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흐를수록 토양의 탄소격리 효과가(carbon sequestration effect) 높아지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연속적인 무경운농법을 수행할 경우 연구대상지의 지속적인 탄소저감 효과가 기대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무경운농법은 농업부문 국가온실가스 저감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한 녹색농업기술(agro-green technologies)로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되며, 관련기술의 보급 및 확대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