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gen balance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8초

논토양에서 규산질 비료 시용에 의한 질소 시비 저감수준 평가 (Reducing Nitrogen Fertilization Level of Rice (Oryza sativa L.) by Silicate Application in Korean Paddy Soil)

  • 이창훈;양민석;장기운;이용복;정기열;김필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4-201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규산질 비료 시용을 통한 질소의 흡수 이용율을 증진하고 이용율 증진에 따른 질소 시비량 저감방안을 모색하였다. 경남 하동 소재의 전형적 논토양(가천통)에서 규산 처리수준에 따른 질소 이용을 증진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무처리, 유효규산 $130mg\;kg^{-1}$ 조절 처리, 조절량의 2배 처리와 같은 세 수준의 규산처리를 기본처리구로 설정하였다. 각 규산 처리조건에서 0, 110, $165kg\;ha^{-1}$의 세 수준으로 질소를 처리하여 벼 재배과정 중 수량반응특성 및 양분흡수특성을 조사하였다. 동일수준의 질소 처리조건에서 정조 수량과 질소이용률은 규산질 비료 처리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크게 증가되었다. 규산질 비료를 처리하지 않았을 때 질소 $154kg\;ha^{-1}$ 수준에서 최고 정조 수량 획득이 가능하였다. 규산질 비료를 추천량인 $130mg\;kg^{-1}$과 추천량의 배 량 처리시 벼의 생육증가에 따른 질소 흡수 이용율 증가로 약 76과 $52kg\;ha^{-1}$의 질소처리조건에서 규산 무처리 때 얻을 수 있는 최고 정조 수량의 획득이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규산질 비료처리 없이 얻을 수 있는 최고 정조수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질소 시비량인 $154kg\;ha^{-1}$을 규산질 비료 추천량과 추천량의 배량 처리로 인해 약 76과 $102kg\;ha^{-1}$의 질소 시비량 저감이 각각 가능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규산질 비료시용으로 토양 pH가 다소 개선되었으며, 토양 내 유효 인산 및 규산 함량이 크게 증가하여 토양의 비옥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에 대한 액상분뇨 시비연구 (Studies on the Liquid Manure Application for Silage Corn)

  • 신동은;김동암;최홍림;송관철;이혁호;김원호;정의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30
    • /
    • 1999
  • 본 연구는 사일리지용 옥수수(Zea mays L.)에 액상분뇨를 축종과 N수준을 달리하여 시용했을 때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사초수량, 무기물함량 N균형, 토양화학성분 및 토양침투수중 질산태질소함량 변화를 구명하고자 7처리 (화학비료표준구 $200kg\;N;ha^{-1}$, 소액상분뇨구 200, 320, $440kg\;N;ha^{-1}$, 돼지액상분뇨구 200, 320, $440kg\;N;ha^{-1}$를 난괴법 3반복으로 배치하여 1997년 5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수원의 축산기술연구소 사료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평균 건물률은 액상분뇨 시용처리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5). 또한 평균 건물수량은 돼지 액상분뇨구가 소액상분뇨구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옥수수의 무기물함량중 칼륨, 칼슘, 마그네슘은 가축액상분뇨의 시용량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질산태질소함량은 소액상분뇨구에서 시용수준에 의한 영향을 밖지 않았으나 돼지액상분뇨구에서는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증가하였다. 액상분뇨의 시용은 시험후 토양의 pH. 치환성양이온함량을 증가시켰다. 표토(0-10cm)중 유효인산함량은 돼지 액상분뇨 $440kg\;N;ha^{-1}$구에서 $340mg\;kg^{-1}$으로 가장 높았다. 토양침투수중 질산태질소 농도는 돼지액상분뇨 $440kg\;N;ha^{-1}$구에서 증가하였다. 가축액상분뇨 시용량이 많을수록 N 수지량은 증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소액상분뇨구 보다 돼지액상분뇨구의 평균건물수량이 높았고, N 수지량은 시용수준의 증가에 따라 높아졌다.

  • PDF

사초용유채(Brassica napus ssp. oleifera)의 생육기간중 건물 및 조단백질 축적과 엽내 Carbon 및 Nitrogen 함량의 변화 (Evolution of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as Related to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Accumulation of Forage Rape(Brassica napus ssp. oleifera))

  • 정우진;김병호;김태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8-65
    • /
    • 1993
  • 가을에 파종한 사초용유채(Brassica napus Subsp. oleifera cv. Swiss)의 생육기간 동안의 질소대사와 관련하여 건물수량 및 조단백질의 축적정도를 규명하기 위해. 생육기간중 수량 및 조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엽내 carbon, nitrogen 및 hydrogen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월동기인 '91년 11월 7일부터 '92년 2월 4일 동안의 생초량 및 건물량의 축적은 매우 적었으며, 엽내 C함량은 건물 1g당 382mg에서 435mg으로 증가하였으나. 질소 및 조단백질 함량은 55mg에서 46mg 및 345mg에서 289mg으로 각각 감소하였다. 월동후 춘계 재생초기(2월 3일부터 3월 30일까지) 동안 생초수량의 점차적인 증가에 따라 엽내 C함량은 일당 37mg의 감소를 보였으나, 월동기 동안 감소 되었던 N함량은 다소 증가를 보였다. 영양생장기(3월 31일)부터 추태기인 4월 16일까지 일당 개체당 생초 및 건물축적량은 각각 5.2g 및 0.5g으로 전 생육기간중 가장 높았는데, 엽내의 C/N 의 정상적인 균형을 유지하며 직선적인 증가를 보였고, 조단백질 함량 역시 지속적인 축적이 있었다. 이 시기 이후 개화최성기('92년 5월 19일)까지 엽내 C, N, H 및 조단백질 함량은 공히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는데, 특히 N과 조단백질 함량이 추태기에 비해 각각 45.7% 및 46%의 감소로 뚜렷하였다 이들 결과들은 월동기나 월동 후 초기재생 기간중 식물체내 C/N 균형의 현저한 변화를 가져오며, 춘계 영양생장기에서 추태기 동안(3월 31일부터 4월 16일까지)가장 원활한 물질대사에 따라 엽내의 건물 및 조단백질 축적이 왕성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예취이용의 적기는 추태기이며 생육기간 중 추비적기는 춘계 영양생장기 이전으로 사료된다.

  • PDF

시판 사료를 먹인 틸라피아( Oreochromis nijoticus) 의 질소 및 인 부하량 (Nitrogen and Phosphorus Excretion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Fed Commercial Diets)

  • 김유희;조재윤;정관식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5-175
    • /
    • 1994
  • 육상에서 틸라피아를 양식할 때 문제가 되는 질소 및 인의 부하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판되는 상품 사료로 치어와 미성어를 사육하여 사료 중 영양 성분의 소화율과 분의 배설량 등을 통해 환경수계에 미치는 오염 부하량을 추정하였다. 시판되는 틸라피아 사료의 단백질 함량은 평균 $33.8\%$ (질소 함량 $5.4\%$)였고, 인 함량은 평균 $1.4\%$였으며, 사료 공급후 24 시간내에 총 분 배설량의 $60\%$가 배설되었다. 틸라피아 치어 (평균 어체중 65.2g) 및 미성어 (평균 어체중 389g)좌 단백질 소화율 및 인의 소화율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의 소화율은 치어가 높았다. 질소 수지는 치어와 미성어의 경우, 공급한 질소의 $7.1\%$$9.9\%$를 분으로 배설하였고 뇨와 아가미를 통하여는 각각 $55.5\%$$62.3\%$를 배설하여, 어체에는 각각 $37.4\%$$27.8\%$를 축적하였다. 따라서 성장함에 따라 질소의 축적량은 줄면서 배설량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치어 1 톤 생산당 질소 및 인 부하량은 평균 49.5 kg과 6.3 kg 이였고 미성어의 경우 61.3kg과 13.4kg으로 어체 크기가 클수록 오염 부하량도 많아졌다.

  • PDF

사질논에서 벼 재배기간 중 시비방법별 양분수지 (Nutrient Balance during Rice Cultivation in Sandy Soil affected by the Fertilizer Management)

  • 노기안;하호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3
    • /
    • 1999
  • 상수원 보호지역내 하성충적토의 사력질 벼 재배 논에서 표준시비 농가관행시비, 우분, 우분퇴비, 볏짚퇴비+화학비료감비, 볏짚환원+표준시비 그리고 무비구의 7처리를 하여 벼 재배 과정동안 시비관리방법에 따른 수량과 양분수지 특성을 조사하여 환경친화적 영농방법 설정을 시도하였다. 시비방법에 따른 정조수량은 추천시비구(100)와 우분구(100)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화학비료 감비구(98) 볏짚환원구(98), 우분퇴비(94), 농가관행구(94) 순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처리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질소수지는 농가관행구에서 $+39kg\;ha^{-1}$였으며. 유기물 처리구는 $+44{\sim}76kg\;ha^{-1}$로서 동일 포장조건에서 유기물 처리량이 증가할수록 양분수지의 +값이 커, 질소의 지하용탈량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무기태 질소의 지하용탈량은 화학비료만 시용한 추천시비구($58kg\;ha^{-1}$)와 농가관행구($63kg\;ha^{-1}$)에서 가장 높았으며, 퇴비+화학비료 감비처리나 우분이나 우분퇴비로서 화학비료를 대체한 처리는($23{\sim}27kg\;ha^{-1}$) 화학비료 전용구(R. CF)의 절반 이하 수준($25kg\;ha^{-1}$)까지 줄일 수 있었다. 벼 재배기간중 인산의 지하용탈은 거의 없었다. 우분퇴비구(CMC)의 인산의 수지는 $+30kg\;ha^{-1}$으로 장기 연용에 따라 토양내 인산 축적이 가능성이 있을것으로 예측되며, 다른 처리의 인산 수지는 거의 0에 가까워 벼농사에서의 인산의 시비균형은 비교적 잘 이루어졌다. 칼리의 양분수지는 모든 처리에서 음(-)의 값을 보여 토양내 칼리가 용출되어 작물에 의해 흡수,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화학비료 위주의 추천시비 방식과 양평군 지역에서 주로 이용되고 있는 관행적 시비방법을 우분과 같은 유기질 비료로 적절히 대체 시용하거나, 볏짚퇴비의 환원 등을 통해 화학비료 사용량을 줄임으로써 벼의 수량을 높이면서 오염물질의 지하 유출을 크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간척농경지에서 비종에 따른 동계 청보리 재배 포장의 영양물질 수지 비교 (Comparison of Nutrient Balance in a Reclaimed Tidal Upland between Chemical and Compost Fertilization for the Winter Green Barley Cultivation)

  • 송인홍;이경도;김지혜;강문성;장정렬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37-145
    • /
    • 2012
  • 간척 농경지에 밭작물을 도입하려는 노력은 쌀 과잉 생산문제와 더불어 작물 다양화를 통한 농가소득 증진을 위해 오랫동안 관심의 정책지원 대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래 간척 농경지 전작의 도입에 따른 수질환경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청보리를 대상 작물로 비료 종류에 따른 경지 내 비료성분 물질수지를 분석 비교하였다. 비종처리는 화학비료, 축분퇴비, 무시비 세 수준에 대해, 지표수, 토양수, 토양, 작물체 영양물질을 조사하여, 포장단위 물질수지 분석을 수행하였다. 동계 청보리 재배로 강우 유출 사상이 적어 지표 유출을 통한 비료성분 유출은 미미하였다. 토양수의 질소와 인산 농도는 각각 축분퇴비와 화학비료 시비구 표층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그 농도가 낮아져 70cm 깊이에서는 무처리구와 유사하여 지하침투가 크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축분퇴비를 시비한 경우 토양유기물 농도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인산농도 또한 증가하였다. 이는 축분퇴비의 높은 유기물 함량이 토양 인산보유능력의 향상에 일부 기여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청보리 수확량은 축분퇴비구가 10.6 t/ha로 화학처리구에 비해 약 3.7 t/ha 컸고, 질소 이용율도 52%로 화학비료 처리구 48%보다 높게 나타났다. 동계 청보리 재배에 따른 영양물질의 포장 물질수지 분석 결과 지표 유출이나 지하침투에 의한 손실은 미미하였고, 작물 흡수와 토양 축적이 주요 유출 경로이었다. 다만, 표층 토양 및 토양수의 영양물질 축적은 하계 집중 호우 시 지표나 지하로 손실될수 있어 적절한 영농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인산의 경우 질소에 비해 작물 흡수율이 낮아 토양 축적 가능성이 크고, 특히, 질소 대비 인산의 함량이 높은 축산퇴비 시용 시 토양 인산축적을 고려한 시비량 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Feed Restriction and Compensatory Growth in Guzerá Females

  • Neto, S. Gonzaga;Bezerra, L.R.;Medeiros, A.N.;Ferreira, M.A.;Filho, E.C. Pimenta;Candido, E.P.;Oliveira, R.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6호
    • /
    • pp.791-799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restricting feed intake and the subsequent compensatory growth in Guzera females. Eighteen animals with an initial age of 21 months and a mean weight of 268.17 kg were placed in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alimentary regime: feed ad libitum; feed restricted to 20% dry matter; and feed restricted to 40% dry matter. In the restricted feed phase, the dry mater intake decreased as the restriction levels increased, influencing the reduction in intake of other nutrients. In the realimentation phase, the 40% restricted feed group ingested more dry matter (% BW) and crude protein ($weight^{0.75}$) than the group fed ad libitum (p<0.001). The serum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p<0.001) to the restriction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p>0.001) in the realimentation phase. In the restricted feed phase, the final live weight decreased (p<0.05) as the restriction level increased. For the daily mean weight gain i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p>0.05) compared to the animals with 20% feed restriction, but this was higher than in the group with 40% feed restriction. In the re-alimentation phase, the group with 40% feed restriction achieved higher weight gain rate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control and 20% restriction groups. In both phases, the animals in the group with 40% feed restriction presented better feed conversion which was different (p<0.05) from the control group. In the feed restriction phase, it was observed that the intake of N, nitrogen excreted in feces and urine, nitrogen balance and nitrogen retention decreased (p<0.05) with the restriction level. None of the variables were influenced in the re-alimentation phase. These results show that feed restriction by 40% can be adopted as a nutritional management practice.

Basic Study on the Heat Transfer During Rapid Freezing of Syobean Seed by Liquid Nitrogen

  • Kawano, Toshio;Nakano, Kohei;Murata, Satoshi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3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Agricultural Machinery and Process Engineering
    • /
    • pp.443-452
    • /
    • 1993
  • Direct freezing tests of soybean seed by liquid nitrogen were carried out at various moisture contents and the following important conclusions were drawn from the results of temperature measurements of soybean seed and photographs of bubbles generated on its surface : 1) Assuming that the temperature gradient in a soybean seed is negligible because of its small seed size and the freezing ratio is followed the Heiss's formula, and a differential equation based on the heat energy balance was introduced . The equation was easily solved by the Runge-Kutta-Gill method and the predicted values of the temperature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2) The photographs of bubble generation during freezing showed the boiling mode was nucleate, and then the most suitable formula on the nucleate boiling heat transfer was introduced from many formulate proposed up to now by fitting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formula to the observed data. The formula used for the predict on of the seed temperature was as follows: $\frac{{\partial}T_s}{\partial\theta}\;=\;-\frac{{\alpha}(T_s\;-\;T_L)^{3.3}}{W(C_s\;-\;\frac{{\delta}m(CT_s\;+\;{\sigma})}{T_s^2})}$ where C = difference of the specific heat between pure ice and water m=moisture content of soybean seed $T_s$ = seed temperature $T_L$ = Temperature of liquid nitrogen W = mass of soybean seed $\alpha$ = proportional constant $\delta$ = constant depends on variety or the type of seed $\theta$ = time $\sigma$ = latent heat of melting of pure ice This study will give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hydro-freezing technique by liquid nitrogen, available as a new technique of processing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ear future.

  • PDF

Comparison of Gayal (Bos frontalis) and Yunnan Yellow Cattle (Bos taurus): Rumen Function, Digestibilities and Nitrogen Balance during Feeding of Pelleted Lucerne (Medicago sativum)

  • Deng, Weidong;Wang, Liping;Ma, Songcheng;Jin, Bo;He, Tianbao;Yang, Zhifang;Mao, Huaming;Wanapat, Meth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6호
    • /
    • pp.900-907
    • /
    • 2007
  • Three male Gayal (Bos frontalis) and three male Yunnan Yellow cattle (Bos taurus) were fed pelleted lucerne and measurements made of digestibility, nitrogen utilisati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 and key plasma metabolites. Total actual dry matter intake was similar but when expressed in terms of live weight or metabolic live weight feed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Gayal than cattle. Apparent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organic matter, fibre and dietary nitrogen were similar for both Gayal and cattle. Rumen ammonia nitrogen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for Gayal than cattle and total numbers of viable rumen bacteria, cellulolytic and amylolytic bacteria, but not proteolytic bacteria nor protozoa, were significantly greater (p<0.05) for Gayal than cattle. Although Gayal have a different rumen ecology to cattle, similar digestive parameters were exhibit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establish relationship between rumen ecology and digestive parameters.

Effect of Protein Deprivation on Subsequent Efficiency of Dietary Protein Utilization in Finishing Pigs

  • Whang, K.Y.;Donovan, S.M.;Easter,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5호
    • /
    • pp.659-665
    • /
    • 2000
  • A nitrogen (N) balance trial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N deprivation on subsequent N retention, blood urea nitrogen (BUN) and IGF-I levels and the ratio of IGF binding protein (IGFBP)-3 to IGFBP-l and -2. Pigs in treatment (T) 1 were given diet A (2.39% N) and those in T2 and T3 were given diet B (1.31% N) and excreta were collected (period 1 (P1)). Pigs in T1 continued to receive diet A while diets for T2 and T3 were changed to diets A and C (2.74% N), respectively. The excreta were collected for two more periods (P2 and P3). During P1, pigs in T2 and T3 retained 50% less N (p<0.001) than those in T1. However, pigs provided T2 (p<0.01) and T3 (p<0.05) retained more N than those assigned to T1 during P2. Pigs in T3 tended to retain more (p=0.10) N than those receiving T2 for the same period. The BUN values were lower (p<0.05) for pigs assigned to T2 and T3 than T1 during P1 and P2. Both IGF-I and IGFBP ratios of pigs assigned to T1 were higher (p<0.05) than those given T2 and T3 during P1 but no differences were found during P2 and P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