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tro

검색결과 881건 처리시간 0.028초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 혈구의 일산화질소 (nitric oxide) 정량 (Quantification of nitric oxide concentration in the hemocytes of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y using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etection method)

  • 남기웅;양현성;박경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5-21
    • /
    • 2013
  • 일산화질소 (NO) 는 면역계에서 세포내 외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 물질로 생물의 생리적, 병리학적 기작을 조절한다. 본 연구는 바지락 혈구의 NO 농도 측정을 위해 4,5-diaminofluorescein diacetate (DAF-2 DA) 를 이용한 DAF assay의 적용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인위적인 바지락 혈구의 NO 생성을 위해 L-arginine을 첨가한 경우 대조구에 비하여 NO 생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반대로 NO 저해제인 L-NAME를 첨가한 경우 NO 생성은 급격히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조사에 이용된 화상분석법, 형광흡광도 측정법 및 유세포분석 기법 등 모든 조사 방법에서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특히 3가지 측정 방법 중 유세포 분석법은 측정의 신속성, 신뢰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한 NO 측정은 향후 바지락의 생리적 병리적 특성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마커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Organic Compounds Labelled by $^{38}Cl$.(I) - Inorganic Yields of $^{38}$ Cl in Szilard Chalmer Reaction of Aromatic Chloro Derivatives

  • Kim, You-S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권1호
    • /
    • pp.44-54
    • /
    • 1973
  • 방사성 $^{38}$ CL로 표지된 유기 하로겐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가려내기 위하여서 Phenyl halides(7종), thloro nitrobenzene(6종), Chloro nitroanisole(2종), Chloro aniline (3종), Chloro anisidine(3종), Chloro toluene(3종), Benzyl chloride 유도체(4종) 및 기타 대조 화합물 3종 등을 원자로 내에서 조사하고 생성물을 알카리 수용액으로 주출하고 각각의 무기 $^{38}$ CL 수율을 조사시간 별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화합물의 구조 보다도 표적물의 상태에 따라서 무기물 수율에 변화가 있고 고체상의 표적물의 경우에는 수율이 일반적으로 얕고 변화가 고르다는 것을 화인 하였다. 화학구조에 따르는 무기 $^{38}$ CL0의 생성수율의 감소는 현재까지의 결과로 보아서 Phenyl chlorides$^{38}$ CL 수율간에 Linear relationship가 있었으며 염소원자수가 많을수록 그 수율이 얕았다. 실험 결과를 논의하였으며 교지 반응에 대한 본 실험 결과의 응용성가능 여부를 고찰하였다.

  • PDF

진공 건조법에 의해 제조된 BCNU/PLGA웨이퍼의 BCNU 방출거동 (BCNU Release Behaviour from BCNU/PLGA Wafer Prepared by Vacuum Drying Method)

  • 박정수;신준현;이두희;이종문;김문석;이해방;강길선
    • 폴리머
    • /
    • 제31권3호
    • /
    • pp.201-205
    • /
    • 2007
  • 폴리락타이드, 폴리글리콜라이드, 및 글리콜라이드-락타이드 공중합체(PLGA)와 같은 생분해성 고분자들은 쉬운 약물방출량 조절과 부산물독성이 없이 지지체의 완벽한 분해과 좋은 생체적합성을 갖고 있다. 그러나 PLGA는 in vitro 실험에서의 괴상침식, 과도한 초기방출 후의 방출량이 감소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 PLGA 재결정 분말은 진공건조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며 1,3-bis(2-chloroethyl)-1-nitro-sourea(BCNU, carmustine)가 함유된 PLGA 웨이퍼의 방출거동을 알아보았으며 동시에 수용성 첨가제를 넣어 약물의 방출거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진공건조법으로 재결정한 PLGA 웨이퍼가 일반방법으로 제조한 PLGA 웨이퍼보다 수분흡수율 감소와 웨이퍼 자체 초기의 분해 속도 감소로 인하여 초기 방출량이 감소하고 지속적 방출거동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열다한소탕(熱多寒少湯)이 저산소성(低酸素性) 대뇌신경세포(大腦神經細胞) 손상에 미치는 영향(影響) (Influence of Yeoldahanso-tang on the Hypoxic Damage of Cultured Cerebral Neurons from mouse and SK-N-MC cells)

  • 김형순;배영춘;이상민;김경요;원경숙;심규헌;박수정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2-89
    • /
    • 2003
  • To elucidate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Yeoldahanso-tang(YHT) on nerve cells damaged by hypoxia, the cytotoxic effects of exposure to hypoxia were determined by XTT(SODIUM3,3'-{I-[(PHENYLAMINO) CARBONYL]-3,4-TETRAZOLIUM}- BIS (4-METHOXY-6-NITRO) BENZENE SULFONIC ACID HYDRATE), NR(Neutral red),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nd SRB(Sulforhodamin B) asssay. The activity of catalase and SOD(Superoxide dismutase) was measured by spectrophometry, and $TNF-{\alpha}$(Tumor cell necrosis $fector-{\alpha}$) and PKC(Protein kinase C) activity was measured after exposure to hypoxia and treatment of YHTWE. Also the neuroprotective effect of YHTWE was researched for the elucidatioion of neuroprotective mechan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Hypoxia decreased cell viability measured by XTT, NR assay when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exposed to 95% N2/5% CO2 for $2{\sim}26$ minutes in these cultures and YHTWE inhibited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2. H2O2 treatment decreased cell viability measured by MTT, and SRB assay when cultured cerebral neurons were exposed to 1-80 ${\mu}M$ for 6 hours, but YHTWE inhibited the decrease of cell viability. 3. Hypoxia decreased catalase and SOD activity, and also $TNF-{\alpha}$ and PKC activity in these cultured cerebral neurons, but YHTWE inhibited the decrease of the catalase and SOD activity in these cultures. 4. Hypoxia triggered the apoptosis via caspase activation and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Also hypoxia stimulate the release of cytochrome c forom mitochondria. YHTWE inhibited the apoptosis via caspase activation induced by hypoxia.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brain ischemia model induced hypoxia showed neurotoxicity on cultured mouse cerebral neurons, and the YHTWE has the neuroprotective effect in blocking the neurotoxicity induced by hypoxia in cultured mouse cerebral neurons.

  • PDF

메주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및 인체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Meju on Mutagenicity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s)

  • 임선영;박건영;이숙희;최재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6-81
    • /
    • 2007
  • 메주의 헥산 및 메탄올 추출물과 그것을 용매로 분획하여 얻어진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들에 의한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항돌연변이 효과 및 SRB assay를 이용한 인체 암세포들의 성장 억제 효과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SOS chromotest 실험계의 경우, 첨가농도 $100{\mu}g/assay$에서 메주의 디클로로메탄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각각 91%, 91%로 MNNG에 대하여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났다. AGS 인체 위암세포와 Hep 3B 인체 간암세포를 이용하여 항암효과를 실험한 결과, 메주 에틸아세테이트분획물은 첨가농도 $200{\mu}g/assay$에서 각각 93% 및 91%로 암세포 성장을 크게 저해시켰고 그 저해 효과는 디클롤메탄 분획물보다 더 높았다. 인체 위암세포인 AGS를 이용한 SRB assay을 이용한 억제 효과 실험에서 메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첨가농도 2 mg/assay에서 인체 위암 및 간암세포의 증식을 각각 64% 및 71%로 억제하여 분회물들 중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보였고 헥산 및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은 그 다음으로 억제 효과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된장 메탄올 추출물과 그 분획물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메주와 된장이 여러 종류의 미생물, 곰팡이류와 세균류들에 의해 발효과정을 거치는 동안 원재료인 콩에서는 없었던 혹은 함량이 적은 성분들이 생성되거나 증가되어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되어 진다.

부재료(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 및 쌈장의 품질평가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 이경임;문란주;이수진;박건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72-477
    • /
    • 2001
  • 매실, 마늘 및 생강을 첨가한 된장과 쌈장에 대한 관능검사, 항산화작용 및 항돌연변이 효과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된장의 맛, 색 및 향과 같은 항목으로 실시된 관능검사 결과 마늘된장이 전체적으로 가장 좋은 선호도를 나타내었으며 생강된장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특히 마늘된장은 단맛과 구수한 맛이 강하고 색과 향이 일반된장보다 상승되었으나 생강된장은 쓴맛이 강하고 구수한 맛이 떨어지며 색과 향이 좋지 못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DPPH radical의 활성저해 작용은 매실된장과 마늘된장이 $IC_{50}$/가 각각 93$\mu\textrm{g}$/$m\ell$와 94$\mu\textrm{g}$/$m\ell$로 효과가 뛰어났으며 생강된장 및 쌈장의 경우도 일반된장에 비하여 높`은 활성(100$\mu\textrm{g}$/$m\ell$)을 나타내었다. Sal. typhimurium TA100에 대한 MNNG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은 쌈장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생강, 마늘, 매실된장의 순서로 저해작용이 강했다. AFB$_1$에 의한 돌연변이 유발도 5mg/plate 첨가로 쌈장이 79%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생강, 마늘, 매실된장이 각각 75%, 55% 및 51%의 억제작용을 나타내었다. SOS chromotest에서 0.5% 농도에서 쌈장은 64%의 MNNG의 돌연변이 유발억제 작용을 나타내었으며 일반된장 및 매실, 마늘, 생강 첨가된장도 높은 억제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쌈장을 비롯하여 매실, 마늘, 생강을 첨가하면 항돌연변이 작용이 상승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N-Nitrosamine Concentrations in Fish Distributed in a Domestic Market

  • Oh, Myung-Cheol;Oh, Chang-Kyung;Kim, Soo-Hy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4호
    • /
    • pp.321-329
    • /
    • 2003
  • In order to provide data on N-nitrosamine (NA) and sanitation in fish available in domestic markets, this study analyzed the levels of NA and its precursors in 9 samples of sea breams and yellow croakers, 12 samples of red-flesh fish, 38 samples of white fish, 5 samples of Alaska pollacks and cod, and 8 species of imported fish. Sea breams and yellow croakers had nitrite concentrations ranging from non-detectable (ND) to 7.4 mg/kg, red fish ND to 5.3 mg/kg, white fish ND to 18.7 mg/kg, Alaska pollacks 0.3 to 2.2 mg/kg, and imported fish from 0.4 to 12.8 mg/kg. Nitrates in sea breams and yellow croakers ranged from 1.2 to 41.19 mg/kg, red fish 0.6 to 26.1 mg/kg, white fish 4.3 to 75.9 mg/kg, Alaska pollacks 0.4 to 3.1 mg/kg, and imported fish ND to 16.0 mg/kg. DMA concentrations were 69.8 to 219.9 mg/l00 g in sea breams and yellow croakers, 4.1 to 336.3 mg/l00 g in red fish, 1.3 to 331.9 mg/l00 g in white fish, 15.7 to 312.3 mg/l00 g in Alaska pollacks, and 1.0 to 71.8 mg/l00 g in imported fish. TMA concentrations in sea breams and yellow croakers, red fish, white fish, Alaska pollacks and imported fish were 43.8∼496.2, 12.3∼127.0, 2.0∼525.9, 15.4∼122.4, and 4∼70.6 mg/l00 g, respectively. For NA in fish distributed in local markets, only N-nitro-sodimethylamine (NDMA) was detected, and its concentrations ranged from 4.7 to 73.7 $\mu\textrm{g}$/kg in sea breams and yellow croakers, 2.2 to 56.5 $\mu\textrm{g}$/kg in red fish, ND to 143 $\mu\textrm{g}$/kg in white fish, 3.8 to 33.3 $\mu\textrm{g}$/kg in Alaska pollacks, and 2.1 to 102.2 $\mu\textrm{g}$/kg in imported fish.

된장 메탄올 추출물 및 분획물에 의한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와 in vivo 초파리 돌연변이 검출계에서의 항돌연변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s and Solvent Fractions from Doenjang on Mutagenicity Using in vitro SOS Chromotest and in vivo Drosophila Mutagenic System)

  • 임선영;이숙희;박건영;윤희선;이원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32-1438
    • /
    • 2004
  • In vitro SOS chromotest 실험계에서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 ${\mu}$g/assay 첨가시 97%의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70% 콩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87%의 억제효과를 가졌고, 청국장, 미소, 원재료인 콩과 콩/밀가루 메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된장의 메탄올 추출물을 더욱 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즉 헥산, 메탄올, 디클로로메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을 100 ${\mu}$g/assay 첨가했을 때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는 각각 73%, 73%, 91%, 95%, 82%, 73%로 전반적으로 매우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디클로로메탄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가장 높았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초파리의 wing hairs spots 시스템의 small mwh spots의 경우, $AFB_1$ 단독 처리군을 체세포 돌연변이 유발 100%로 기준해서 된장 메탄올 추출물 2.5%, 5%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22%, 30%의 낮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분획물들 중 가장 활성이 높았던 된장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5%, 10% 첨가농도의 경우, 각각 97%의 높은 항돌연변이 효과를 가짐으로 낮은 농도에서부터 강하게 체세포 돌연변이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고, large mwh spots의 경우는 된장의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5%의 낮은 농도에서 체세포 염색체 재조환이나 mwh+ 좌위에 유전자 돌연변이를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된장 메탄올 추출물은 다른 콩 관련 발효식품과 콩의 메탄올 추출물에 비해 in vitro SOS chromotest에서 높은 돌연변이 유발 억제 작용을 나타냈고 분획물들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in vitro와 in vivo 돌연변이 유발실험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어 된장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가지고 있는 분획물로 추정되어진다.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Inhibits Pacemaker Activity of Colonic Interstitial Cells of Cajal

  • Wu, Mei Jin;Kee, Keun Hong;Na, Jisun;Kim, Seok Won;Bae, Youin;Shin, Dong Hoon;Choi, Seok;Jun, Jae Yeoul;Jeong, Han-Seong;Park, Jong-Se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5호
    • /
    • pp.435-440
    • /
    • 2015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eptide (PACAP) on the pacemaker activity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 in mouse colon and to identify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PACAP action. Spontaneous pacemaker activity of colonic ICC and the effects of PACAP were studied using electrophysiological recordings. Exogenously applied PACAP induced hyperpolarization of the cell membrane and inhibited pacemaker frequency in a dose-dependent manner (from 0.1 nM to 100 nM). To investigate cyclic AMP (cAMP) involvement in the effects of PACAP on ICC, SQ-22536 (an inhibitor of adenylate cyclase) and cell-permeable 8-bromo-cAMP were used. SQ-22536 decreased the frequency of pacemaker potentials, and cell-permeable 8-bromo-cAMP increased the frequency of pacemaker potentials. The effects of SQ-22536 on pacemaker potential frequency and membrane hyperpolarization were rescued by co-treatment with glibenclamide (an ATP-sensitive $K^+$ channel blocker). However, neither $N^G$-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a competitive inhibitor of NO synthase) nor 1H-[1,2,4]oxadiazolo[4,3-${\alpha}$]quinoxalin-1-one (ODQ, an inhibitor of guanylate cyclase) had any effect on PACAP-induced activity. In conclusion, this study describes the effects of PACAP on ICC in the mouse colon. PACAP inhibited the pacemaker activity of ICC by acting through ATP-sensitive $K^+$ channels. These results provide evidence of a physiological role for PACAP in regulating gastrointestinal (GI) motility through the modulation of ICC activity.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섬유질 기질로부터 L-lysine 생산균주 개발 -원형질체의 형성 및 재생 -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from Cellulosic Substrate by the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Conditions for Formation and Regeneration of Protoplast -)

  • 성낙계;정덕화;이무영;정영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0-155
    • /
    • 1988
  • L-Lysine 생산균주인 Brevibacterium flavum ATCC 14067 과 Corynebacteriurn glutamicum ATCC13032에 섬유소 자화능이 우수한 Cellulomonas flavigena KFCC31221를 속간 융합시켜 섬유소로부터 L-lysine을 생산할 목적으로 이들 균주의 영양요구성 변이주 분리, 원형질체의 형성 및 재생의 조건을 조사하였다. NTG(500$\mu\textrm{g}$/$m\ell$)로 유기하여 penicillin-G(300$\mu\textrm{g}$/$m\ell$)로 농축한 변이주에서 B. flavum은 hse- str$^{r}$(100$\mu\textrm{g}$/$m\ell$), C. glutamicum는 Met$^{-}$T$hr^{-}$ Rif$^{r}$(5$\mu\textrm{g}$/$m\ell$), C. flavigena 는 T$hr^{-}$Val$^{-}$Kan$^{r}$(50$\mu\textrm{g}$/$m\ell$)의 gene marker를 가지는 영양요구성과 약제내성균주를 분리하였다. 공시균주의 원형질체 형성은 osmotic stabilizer로서는 0.5M sucrose, 배양기간은 대수증식기 중기의 균이 양호하였고, lysozyme 최적 처리 pH, 온도, 농도 및 반응시간은 각각 pH6.5, 33$^{\circ}C$, 500 $\mu\textrm{g}$/$m\ell$, 6시간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원형질체형성율은 95-98%였다. 원형질체를 1.5% agar가 함유된 완전재생용 배지위에 0.7% agar가 함유된 완전재생용 배지로 중층했을 때 약 30~33%의 재생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