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ikel Powde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6초

비금속 분체를 이용한 무전해 니켈 복합도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osite Electroless Nikel Plating with Ceramic Dispersive)

  • 김용규;박수훈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3-51
    • /
    • 1989
  • The characteristion of composite electroless Nikel palting on the condition of adding 3kinds ceramic dispersives, Al2O3, Si3O4 and artificial diamond powder were studied. Decreasing solution temperature for composite plating was required to depress the spontaneous decomposition caused by dispersive including enlargement of reaction surface. The rate of composite plating was faster than that of general electroless-Nickel plating without dispersive. this increasing tendency of plating rate was remarkable for the active catalysis, like diamond powder.

  • PDF

니켈파우더 제조방법에 따른 분리막 지지체 표면 및 연마 특성 연구 (Preparation of hydrogen membrane support: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n the hydrogen permeance)

  • 박진우;이성욱;이춘부;황경란;박혜정;박종수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115.1-115.1
    • /
    • 2010
  • 수소 에너지는 인류가 당면해 있는 대체에너지와 환경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며, 전 세계적으로 수소 제조/정제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소 제조/정제 분야 중 분리막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리막 지지체로 는 SUS, Ceramic, Nikel 등의 소재들이 사용되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소취성이 강하고 제조원가가 낮으며 가공 성형하기 쉬운 Nikel을 사용하였다. 분리막 지지체는 Nikel Powder 전처리 과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였으며, 몰드에서 가압 성형 후 기계적 강도 증가를 위해 고온에서 짧은 시간동안 소성 하였다. 분리막의 $H_2$ Flux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지지체 표면 조도 증가를 위해 polishing을 하였다. 표면 조도 특성은 polishing 조건에 따라 많은 차이점이 있기에, 다양한 조건에서 polishing한 분리막 지지체의 표면 조도를 SEM 분석을 통하여 지지체로서의 $H_2$ Flux향상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 PDF

비소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작업성 및 강도 개선을 위한 페로니켈슬래그 골재의 적용방안 (Application of Ferronickel Slag Aggregate to Improve Workability and Strength of Non-Sintered Cement Mortar)

  • 장경수;나형원;형원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309-310
    • /
    • 2023
  • Slag and ash generally have a higher powder degree than portland cement, so workability may deteriorate under the same unit quantity condition, and strength and durability decrease when the unit quantity is increased. At this time, if an aggregate having a low water absorption and an appropriate particle size is used to recover the loss of strength, it can contribute to reducing the unit quantity of the binder.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strength of non-sintered cement mortar using slag and ash, ferro nikel slag whose particle size was adjusted was used as an aggregate and its applicability was identified.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it was confirmed that non-sintered cement mortar tends to improve workability and secure strength when ferro nikel slag having various particle size distributions is used as an aggregate. This can be analyzed as the effect of ferro nikel slag material properties including glassy properties and mixing conditions with a wide particle size distribution.

  • PDF

스퍼터 증착 방식으로 제조된 Pd-Ni 합금 수소 분리막 연구 (A Study on the Pd-Ni Alloy Hydrogen Membrane Using the Sputter Deposition)

  • 김동원;박정원;김상호;박종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43-248
    • /
    • 2004
  • A palladium-nikel(Pd-Ni) alloy composite membrane has been fabricated on microporous nickel support formed with nickel powder. Plasma surface treatment process is introduced as pre-treatment process instead of HCI activation. Pd coating layer was prepar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deposition after $H_2$ plasma surface treatment. Palladium-nickel alloy composite layer had a fairly uniform and dense surface morphology. The membrane was characterized by permeation experiments with hydrogen and nitrogen gases at temperature of 773 K and pressure of 2.2psi. The hydrogen permeance was 6 ml/minㆍ$\textrm{cm}^2$ㆍatm and the selectivity was 120 for hydrogen/nitrogen($H_2$/$N_2$) mixing gases at 773 K.

페로니켈슬래그 미분말 및 혼합슬래그 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유동성 및 압축강도 특성 (The Flu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of Mortar Using Peronikel Slag Powder and Mixed Slag Aggregates)

  • 배성호;정용재;이재인;김지환;최세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8-79
    • /
    • 2021
  •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fluidity an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ortar using ferronikel slag powder and mixed slag fine aggregate as part of the study to reduce environmental load and increase recycling rate of industrial by-products.

  • PDF

액상환원침전법에 의한 저온활성화소결용 복합W분말의 제조방법 및 소결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e of Composite W Powder for Low Sintering Temperature by Liquid Reduction Precipitation Method)

  • 김창욱;이철;정인;윤성렬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07-218
    • /
    • 1995
  • Tungsten(W) metal has excellent properties in heat-resistance, corrison-resistance and impact-resistance but W-Metal is hard to sinter because higher than $2,000^{\circ}C$ is required to sinter W-powder. Con-sequently, a deposit technique of Nikel Phosphorus(NiP) on W-powber by the liquid reduction precipitation method was performed. Sintering temperature of the resulting W-NiP composite was lowered around to $1,000^{\circ}C$,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sintered body was studied. The most suitable conditions for NiP thin film deposit on W-Powder by the liquid reduction precipitation method, which are composition, concentration, pH and temperature of the liquid reduction solution, were considered. The activated sintering was carried out in a reducing condition furnace. Components and properties of the sintered body were investigated by the density and the hardness measurements, X- ray diffraction analysis, and microscopic photographs of the surface. Quantity of NiP thin film on W-powder could be varied by the change of the liquid reduction solution composition. The sintering temperature of W-NiP composite powder is lowered to $950^{\circ}C$ from $2,000^{\circ}C$ and the hardness is increased (ca. 720 Hv). Large shrinkage could be observed since density was increased from 5.5 to 11.0 g/$cm^2$ which 86.2% of theoretical density. W metal and $Ni_3P$ crystal were detected through X-ray diffraction on the sintered body. Perfectly activated sintering was observed by microscopic photographs.

  • PDF

다공성 Ni 금속 지지체를 사용한 Pd-Ni 합금 수소 분리막 연구 (A Study on the Pd-Ni Alloy Hydrogen Membrane using the Porous Nickel Metal Support)

  • 김동원;엄기연;김상호;박종수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89-295
    • /
    • 2004
  • A dense palladium-nikel (Pd-Ni) alloy composite membrane has been fabricated on microporous nickel support mixed with submicron/micron nickel powder instead of mesoporous stainless steel support. Plasma treatment process is introduced as pre-treatment process instead of HCI activation. Pd-Ni alloy composite membrane prepared by electro plating was fairly a uniform and dense surface morphology. The membrane was characterized by permeation experiments with hydrogen and nitrogen gases at temperature 773 K and pressure 2.2 psi. The results showed that hydrogen ($H_2$) permeance was 27 ml/$\textrm{cm}^2$ㆍatmㆍmin and hydrogen/ nitrogen ($_H2$$N_2$) selectivity was 8 at 773 K.

Ni-페라이트 분말을 이용한 CO2 분해 특성 (CO2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Ni-ferrite powder)

  • 남성찬;윤여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5376-5383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연소 배기가스로부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다시 일산화탄소 또는 탄소로 전환하여 산업에 다시 활용하고자 하는 탄소순환형 기술개발이다. 이산화탄소는 화학적으로 안정한 분자로써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적합한 금속계 산화물(활성화제)의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i-Fe 전이금속산화물을 사용하여 $CO_2$를 CO나 C로 전환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고상법과 수열합성을 이용해 제조된 분말을 사용하여 각각 이산화탄소 분해특성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산화탄소의 분해 특성을 관찰하기 위해 TPR/TPO와 TGA 장치를 사용하였다. TPR/TPO를 이용한 수소의 환원면적은 NiO의 함량이 15wt%일 때 높게 나타났고, $CO_2$에 의한 흡착분해 곡선면적은 NiO의 함량이 5wt%일 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TGA를 이용한 실험결과에서는 고상법에 의해 제조된 시료 중 NiO의 함량이 2.5wt%일 때 수소에 의한 흡착환원이 28.47wt% 발생하였고, $CO_2$에 의한 산화량의 경우 26.95wt%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이산화탄소의 분해효율이 94.66%로 우수한 산화 환원 특성을 나타내었다.

유통 산화형 염모제의 접촉성피부염 유발물질 함량 연구 (A Study on Contact Dermatitis-Causing Substances Concentration in Commercial Oxidative Hair-Coloring Products)

  • 나영란;구희수;이승주;강정미;진성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03-214
    • /
    • 2014
  • 시중에 유통 중인 산화형 염모제 28건을 대상으로 접촉성피부염 유발 성분 함량 조사를 수행하여, 관련분야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접촉성피부염을 유발하는 물질로 산화염료 10종(p-phenylenediamine, toluene-2,5-diamine, m-phenylenediamine, nitro-p-phenylenediamine, p-aminophenol, m-aminophenol, o-aminophenol, p-methylaminophenol, N,N'-bis(2-hydroxyethyl)-p-phenylenediamine sulfate, 2-methyl-5-hydroxyethylaminophenol)과 중금속 4종(니켈; Ni, 크롬; Cr, 코발트; Co, 구리; Cu)을 선정하였다. 10종의 접촉성피부염 유발 산화염료의 함량조사를 위하여 헥산-2% 아황산나트륨을 이용하여 빠르고 간단하게 시료전처리를 하였고, 초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시간이 12 min으로 짧은 동시분석조건을 확립하였다. 분석 결과 10종의 산화염료 성분은 제품에 표기된 성분이 모두 확인되었고, 각 성분의 농도는 의약품등 표준제조규정에 제시된 사용할 수 있는 농도상한 이하로 나타났다(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228호). 또한, 4종의 중금속성분을 확인하기 위하여 microwave를 이용하여 시료를 분해하였고, 유도결합플라즈마분광계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하였다. 각 제품에서 중금속별 검출량은 Ni 0.572 ${\mu}g/g$, Cr 3.161 ${\mu}g/g$, Co 2.029 ${\mu}g/g$, Cu 0.420 ${\mu}g/g$이었다. 염모제의 성상별 중금속 농도를 비교한 결과 분말타입(헤나) 염모제의 평균 중금속 농도는 Ni 1.800 ${\mu}g/g$, Cr 10.127 ${\mu}g/g$, Co 7.082 ${\mu}g/g$, Cu 1.451 ${\mu}g/g$로 거품타입이나 크림타입 보다 높았다. 염모제를 흑색, 흑갈색, 갈색, 짙은 갈색, 옅은 갈색, 붉은 갈색의 6개 색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갈색의 경우 Co 농도가 가장 높고 나머지 색상에서는 모두 Cr의 농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