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47초

IP 기반 통합서비스를 위한 QoS 가능 차세대 LAN (QoS-enabled Next Generation Local Area Network for IP-based Convergence Services)

  • 이규호;성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166-2172
    • /
    • 2006
  • 인터넷의 활성화와 인트라넷 구축을 통한 그룹웨어의 확산과 함께 LAM의 초고속화 기술이 급진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이러한 발전은 고품질의 실시간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새로운 형태의 통합네트워크 형태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통합네트워크는 데이터, 음성 및 영상 응용 서비스가 함께 제공될 수 있는 통신망으로서 궁극적으로는 통합된 단일 네트워크 플랫폼으로 발전해 갈 것으로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IP기반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실질적인 GoS 제공 기술, 프로그래머블 스위치 네트워크 구조 기술과 통합 호 제어 처리 기술을 포함하는 차세대 통합 LAN에 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IP기반 차세대 통합네트워크를 위한 시험기 시스템 연구 (A Study on a Tester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 이규호;성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1947-1953
    • /
    • 2008
  • 본 논문은 차세대 네트워크로 진화과정에서 IP기반의 실시간 서비스를 통합하는 차세대 통합네트워크를 위한 시험기시스템에 관한 연구내용과 결과를 제시한 것이다. 호 제어처리 및 데이터전달 체계의 연동을 위한 차세대통합 네트워크의 각 구성요소들의 프로토콜 기능과 처리능력의 시험기시스템 설계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과 그 타당성을 논의한다. 그리고 시스템에 요구되는 기능별 블록을 추출하고, 각 기능블록간 동작흐름을 포함하는 상위 수준의 시스템 구조를 제안하고, 이에 기반한 시스템과 세부기능들의 설치 및 구현 결과를 제시한다.

이동 통신 망에서의 NGcS 모델링 (NGcS Modeling For Mobile Network)

  • 김영제;백두권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
    • pp.376-378
    • /
    • 2003
  • Internet의 확대와 망의 진화에 따라 현 통신 방식은 기존 회선 교환 방식에서 패킷 교환 방식으로 진화를 한다. NGN(Next Generation Network)이란 정확하게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개념적으로는 현존하는 모든 서비스(Voice, Data, Video 등)들과 미래에 나타날 멀티 서비스를 통합하여 수용할 수 있는 패킷 기반의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망의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NGcN(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이하 NGcN)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NGcN은 Legacy 회선 교환 방식(include Wireless Network)과 패킷 교환 방식의 모든 망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Convergence Service라는 개념으로 정리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접근을 Next Generation Convergence Service(이하 NGcS)로 정의를 한다. 논문에서는 NGcS 구축을 위해 지능망 서비스와 연계하여 접근을 할 것이며,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WIN(Wireless Intelligent Network) 및 CAP(CAMEL Application Part) 등의 제어방식에 근거한다. 이러한 방식들에 대한 연동에 대해 논하며, NGcS 구축을 위한 Service Switching Function 설계 방법과 서비스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한다.

  • PDF

차세대 통신 망에서의 서비스 Convergence (Service Convergence in the BcN)

  • 김영제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0-32
    • /
    • 2005
  • Internet의 확대와 망의 진화에 따라 현 통신 방식은 기존 회선 교환 방식에서 패킷 교환 방식으로 진화를 한다. NGN(Next Generation Network)이란 정확하게 정의를 내리기는 어렵지만, 개념적으로는 현존하는 모든 서비스(Voice, Data, Video 등)들과 미래에 나타날 멀티 서비스를 통합하여 수용할 수 있는 패킷 기반의 통신망을 의미한다. 이러한 개념은 망의 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이하 BcN)로 진화하고 있다. 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BcN은 Legacy 회선 교환 방식(include Wireless Network)과 패킷 교환 방식의 모든 망 사용자에게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것은 Convergence Service라는 개념으로 정리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접근을 Next Generation Convergence Service(이하 NGcS)로 정의를 한다. 논문에서는 NGcS 구축을 위해 지능망 서비스와 연계하여 접근을 할 것이며,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 WIN(Wireless Intelligent Network) 및 CAP(CAMEL Application Part) 등의 제어방식에 근거한다. 이러한 방식들에 대한 연동에 대해 논하며, NGcS 구축을 위한 Service Switching Function 설계 방법과 서비스를 트리거(Trigger)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논한다.

  • PDF

Next-Generation Converged Networking in Korea: The Concept and Its R&D Activities

  • Kang, Kug-Chang;Park, No-Ik;Lee, Soon-Seok;Kim, Young-Sun;Jun, Kyung-Pyo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8권4호
    • /
    • pp.475-479
    • /
    • 2006
  • In Korea, we witness vivid evidences of changing trend in communication that insist the emergence of new networking architecture. To accommodate the changing trend and to hold current strong position in global IT industry, Korea have launched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BcN) initiative. BcN vision for Korea is to be the first in the world to realize converged network infrastructure and ubiquitous service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have introduced the concept and the vision of BcN with a viewpoint of a new paradigm to prepare future-proof communication environment. And then, we have disclosed Bc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activities including R&D philosophy, R&D phases, and key technologies required. Also, we have discussed current development issues in three technology branches including service and control technology, unified transport technology, and next-generation access technology.

차세대 증권전산망(STOCK-NET)의 연구와 설계 (A Study of the Next Generation STOCK-NETWORK and Design)

  • 하성용;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95-102
    • /
    • 2008
  • '국가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과 목표시설'로 지정되어 있는 증권전산통신망의 차세대 네트워크화 준비는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가경제력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은 현재의 정부정책과 네트워크, 보안 및 증권전산망을 연구하고, 기존의 SONET/SDH기반의 증권전산망을 대체하여, 차세대 증권전산망은 국가간 GMG서비스를 위한 MPLS 기반의 ALL-IP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한다. 설계 시에 안정성, 표준화, 보안성 확장성의 기준을 설정하여, 현재와 차세대 증권전산망을 각 기준별로 비교한다. 또한 차세대 증권전산망 특징과 장점 및 대역폭과 QoS, 통신기술, 정보보호시스템 등에서 향상된 기대효과를 분석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u-Korea를 이룩하는 국가경쟁력 강화와 국가경제력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차세대 광대역 통합망에서의 네트워크 진화 모델 및 서비스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network evolution model and services for next generatio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 김상기;김정환;박경준;김태완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통신소사이어티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93-96
    • /
    • 2003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ncept of network convergence and characteristics of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from the service perspective where convergence would appear. We suggest the evolutionary 3 stage steps of BcN as an ideal network strategy when considering present network situation. We also propose the features of several representative services that are expected to emerge out of network convergence.

  • PDF

차세대 통합네트워크를 위한 MEGACO 프로토콜 호 처리 시험기 연구 (A Study on a Tester of the MEGACO Protocol Call Processing for the Next Generation Convergence Network)

  • 이규호;성길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65-2270
    • /
    • 2007
  • 본 논문은 IETF와 ITU-T에서 공동으로 권고하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 프로토콜인 MEGACO/H.248 기반의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와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호 처리 성능 및 기능시험 연구에 관한 내용이다. 기존 PSTN망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음성 트래픽을 IP망으로 통합하는 차세대 통합네트워크의 핵심적인 구성요소로서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와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호 처리 성능 및 기능을 시험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 및 시험 시스템 구조에 관한 연구로, 특히 시험 환경 구축을 위해 액세스 게이트웨이에 접속되는 다수의 아날로그 라인들에 대한 가상 에뮬레이션 기능과, 미디어 게이트웨이 컨트롤러와 액세스 게이트웨이 시험을 위해, 프로토콜의 상대역할을 에뮬레이션하는 시험기로 동작하는 효과적인 방안과 그 타당성을 논의한다.

Analytical Approach of Proxy-LMA Mobility System in Heterogeneous IP-based Mobile Networks

  • Cho, Chulhee;Choi, Jae-Young;Jeong, Jongp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4권1호
    • /
    • pp.71-87
    • /
    • 2015
  • Mobile users want to be provided with undisrupted network services when they navigate on the Next-Generation (NG) wireless networks. For that, interlocking with a heterogeneous network is important,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method for guaranteeing global mobility. Thus, this paper proposes the Proxy-LMA technique, the mobile IP-based global inter-networking system, to enhance global mobility and interoperability within the Next-Generation (NG) network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e proposed Proxy-LMA system is to expand the boundary of the mobility with regards to the existing mobility management protocol (PMIPv6 and MIPv6) in order to guarantee global mobility and interoperability within the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showed that the proposed Proxy-LMA system was more efficient than other methods from the standpoint of signaling cost and delay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Event Driven Service with Unified Identification for Next Generation Network

  • Kim, Dong-Il;Lee, Soong-Hee;Kim, Ki-Tae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5호
    • /
    • pp.502-507
    • /
    • 2010
  • Event driven service (EDS) is one of such services administrating different functions of multiple service providers according to the user situation. This paper first describes the service model of EDS, a User-centric Service for multiple service provider environments over the next generation networks. The multiple provider environments stimulates the unified identifier management, namely unified identification (U-ID), to enable users to be provided network services without awareness of multiple providers. Combining these two concepts, i.e., EDS and U-ID, the designed structure of EDS with U-ID and related procedures are given. Finally, the implementation results tested on Korea Advanced Research Network (KOREN) are describ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