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zealand white rabbits

검색결과 272건 처리시간 0.03초

인간 무세포성 진피기질 위에 배양한 가토 구강각화상피세포의 중충화와 기저막 형성에 관한 연구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STRATIFICATION OF RABBIT ORAL KERATINOCYTES CULTURED ON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 김용덕;안강민;염학렬;정헌종;김성민;장정원;성미애;박희정;황순정;이종호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6호
    • /
    • pp.510-522
    • /
    • 2005
  • To assess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bio-artificial mucosa which was made with autologous oral keratinocytes and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stratification of oral keratinocytes were evaluated. Six New Zealand white rabbits (around 2kg in weight) were anesthetized and its buccal mucosa was harvested (1.0 $\times$ 0.5cm size). Oral keratinicytes were extracted and cultured primarily with the feeder layer of pretreated NIH J2 3T3 fibroblast. These confluent cells were innoculated on the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cultured in multiple layer by air-rafting method. After 3, 5, 7, 10, 14 days of culture, each cultured bio-artificial mucosa was investigated the number of epthelial layer of by H&E stain and toluidine blue stain. The immuhohistochemical methods were used to evaluate the cell division capacity, the formation of basement membrane, and it's property of specific cells (PCNA, cytokeratin 14, laminin). Transmission electromicroscopy was used for the attachment between cells and matrix with the number of hemidesmosome. In result, the numbers of layer of stratified growth of oral keratinocyte cultured on the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the number of hemidesomal attachment between epithelial cells and human acellular dermal matrix were similar to the layers of normal oral mucosa after 10 days of culture. The cell division rate, basement membrane formation and proliferation rate increased as culture period increased. With these results, bio-artificial mucosa with autologous oral epithelial cells cultured on the acellular dermal matrix had clinically adaptable properties after 10 days' culture and this new bio-artificial mucosa model with relatively short culture time can be expected clinical applicability.

골절부위에 생긴 혈종의 골막하 이식이 골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골스캔 소견을 중심으로 -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Subperiosteal Transplantation of Fracture Site Hematoma: Focus on the Scintigraphic Detection)

  • 양승오;강흥식;장기현;이명철;구경회;성상철;박인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24-132
    • /
    • 1990
  • It has been reported that hematoma is one of the most crucial factors in fracture healing since callus formation is disturbed by washing out the hematoma near a fracture site. However, it is not clear why the hamatoma is important and how it plays a role during the fracture heal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hematoma in the process of fracture healing, the osteogenic potential by subperiosteal transplantation have been studied. Experimental fractures by operation were made at the mid-shaft of the tibia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Removal of hematoma at the fracture site was done after 2 and 3 days from experimental fracture, and the removed hematoma was transplanted into the subperiosteal area at the mid-shaft of the ulna of each rabbit. As control groups, we have performed 3 different procedures 1) the hematoma was transplanted into the muscular layers at the thigh and forearm; 2) autologous blood clots were transplanted into the subperiosteal area of the ulna; and 3) sham operation without a transplantation into the subperiosteal area. After transplantation, serial bone scintigraphy and simple radiography were performed at 4 days, 1 week, and 2 weeks to detect an abnormality. The results of bone scintigraphy were positive in 5 of 6 experimental group. However, all in three control groups were negative. Histological observation of the positive bone revealed new bone formation with trabecu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hematoma in fracture site has osteogenic potential in the subperiosteal area which can be demonstrable by bone scintigraphy and histologic finding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hematoma of the fracture sit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fracture healing. Further biochemical investigation using various experimental models is mandatory to apply this preliminary result to the treatment of clinical delayed union or nonunion.

  • PDF

토끼를 이용한 척수 허혈 손상 모델에서 Cyclosporin A의 척수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Cyclosporin A on Spinal Cord Ischemic Injury in Rabbits)

  • 신윤철;최기영;김원곤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0호
    • /
    • pp.739-748
    • /
    • 2006
  • 토끼의 25분간의 척수허혈 모델에서 cyclosporin A의 신경보호효과를 신경병리학적 연관성과 면역조직화학적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몸무게가 3.0 kg 전후의 뉴질랜드산 토끼를 이용하였고 복부 대동맥을 25분간 차단하였다. 32마리의 토끼를 무작위로 4군으로 나누어 대조군인 12군(n=8)과 17군(n=8)은 복부 대동맥 차단만 시행한 후 12군은 2일째, 17군은 7일째 희생시켜 신경학적 평가와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실험군인 Cs2군(n=8)과 Cs7군(n=8)은 복부 대동맥을 차단 후 재관류 15분 후에 cyclosporin A (25 mg/kg)를 정맥 주입한 후 Cs2군은 2일째, Cs7군은 7일째 희생시켜 신경학적 평가와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모든 토끼가 술 후 생존하였으며 술 후 2일째 신경학적 평가에 있어서는 군들 간 차이가 얼었으나 술 후 7일째 시행한 평가에서 복부대동맥 허혈 후 cyclosporin A를 투여한 Cs7군의 Tarlov score가 평균 $2.75{\pm}0.89$로 투여하지 않은 17군의 $1.25{\pm}1.39$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아 신경학적 평가상 덜 손상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p<0.05). 또한 대조군 17군에서는 신경학적 평가가 2일째보다 7일째 악화하는 경향이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고 실험군 Cs7군에 있어서는 신경학적 평가가 2일째 $1.87{\pm}0.83$에 비해 7일째 $2.75{\pm}0.89$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p<0.05). 모든 군을 조직학적으로 손상의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겼으며 신경학적 평가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상관계수 -0.44로 조직학적 손상정도와 신경학적 평가사이에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09). 병리조직학적 등급을 4군 간 비교하였을 때 2일째 희생시킨 대조군과 실험군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7일째 희생시킨 17군은 조직학적 등급이 $2.13{\pm}1.36$이었으나 Cs7군은 $1.0{\pm}0.53$으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어 병리학적으로도 cyclosporin A를 투여한 실험군 Cs7군이 대조군 17군에 비해 덜 손상을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p=0.039). 12군과 Cs2군에서 TUNEL 염색에 양성반응을 보이는 신경세포의 수는 12군이 $17.5{\pm}22.6$개였고 Cs2군이 $12.5{\pm}11.1$개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eat shock protein-70 (HSP70)과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에 대한 면역조직화학검사에서 실험군 Cs2군의 신경세포가 대조군 12군에 비해 HSP70과 nNOS의 과발현을 보였으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nNOS와 HSP70의 발현은 강한 연관성을 보였고(상관계수 0.91, p=0.000), nNOS를 발현하는 세포가 동시에 HSP70도 발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우리는 cyclosporin A가 토끼의 25분간의 척수허혈에 대해 척수보호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HSP70의 과발현과 연관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적출관류 토끼 심장에서 칼슘 전처치에 의한 심근보호 효과와 Protein Kinase C와의 관계 (Cardioprotective Effect of Calcium Preconditioning and Its Relation to Protein Kinase C in Isolated Perfused Rabbit Heart)

  • 김용한;손동섭;조대윤;양기민;김호덕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7호
    • /
    • pp.603-612
    • /
    • 1999
  • 연구배경: 짧은 기간 동안 허혈-재관류를 반복(ischemic preconditioning, IP)할 경우 후속되는 보다 긴 기간 동 안의 허혈에 대하여 재관류시 심근의 수축기능 회복이 증가, 심근괴사 범위 감소 등의 심근보호효과가 있음 은 여러 가지 동물실험으로 밝혀졌으며 인간의 심장에서도 유사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 칼슘이 매개가 되어 protein kinase C(PKC)의 활성화가 일어남으로서 IP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실험결 과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논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적출 토끼심장을 이용하여 칼슘이 심근세포내의 PKC 활성도에 어\ulcorner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적출관류 흰토끼 심장을 이용하여 관 류를 차단하는 방법으로 전체허혈을 유도하였으며 전체허혈(5분), 재관류(10분)를 1회 실시하여 IP를 유도하 고 45분 동안 전체허혈후 120분 동안 재관류를 실시하였다(IP군, n=13). 허혈 대조군(n=10)에서는 IP없이 45 분 동안 전체허혈후 120분 동안 재관류를 실시하였다. 칼슘투여군에서는 5분 동안 허혈후 10분 동안 10 (n=10) 또는 20 mM(n=11)의 칼슘을 포함한 관류액으로 관류하고 이어서 45분 동안 전체허혈과 120분 동안 재관류를 실시하였다. 전 실험 기간 동안 좌심실기능, 관혈류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종료 후 PKC-specific peptide와 32P-${\gamma}$-ATP incorporation으로 PKC활성도(nmol/g tissue)를 측정하였다. 심근괴사 크기는 1% tetra zolium chloride로 염색하여 형태계측하였다. 결과: IP를 실시한 결과, LVDP(left ventricular developed pressure), 심근수축력, 관혈류 등은 허혈 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며(p<0.05) 이완말기압의 상승폭은 저하되 었고(p<0.05) 심근괴사 크기는 38%에서 20%로 감소하였다(p<0.05). 칼슘투여군에서는 LVDP, 심근수축력, 관 혈류 등에는 허혈 대조군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저하되었으나 심근괴사 크기는 19~23%로 현 저히 감소하였다(p<0.05). 세포질분획의 PKC활성도(nmol/g tissue)는 IP군, 칼슘투여군에서 각각 5.98$\pm$0.57, 6.30$\pm$0.24(20 mM 칼슘 전처치군), 4.19$\pm$0.39(10 mM 칼슘 전처치군)로 기준(7.31$\pm$0.31)에 비하여 특히 10 mM 칼슘 전처치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세포막분획의 PKC활성도는 각각 4.00$\pm$0.14, 2.50$\pm$ 0.31, 4.02$\pm$0.70으로 기준(1.84$\pm$0.21)에 비하여 IP군과 10 mM 칼슘 전처치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허혈대조군에서는 두 분획 모두 기준선과 비교하여 큰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상으로 적출 관류 토끼심장에서 장시간 동안의 허혈전 높은 농도의 칼슘으로 전처치하면 허혈후 재관류시 심근기능의 회 복증가는 기대하기 어려우나 IP와 유사한 심근괴사 범위 감소효과가 있으며 이러한 효과는 아마도 칼슘의 매개에 따라 PKC활성화가 일어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토끼 뇌종양 모델에서의 관류 CT 영상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Perfusion CT in Rabbit Brain Tumor Model)

  • 하본철;곽병국;정지성;임청환;정홍량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2호
    • /
    • pp.165-172
    • /
    • 2012
  • VX2 암종을 이식한 토끼 뇌종양 모델에서, perfusion CT(computed tomography, CT)를 이용하여 종양과 정상 뇌조직의 혈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체중 2.4~3.0kg(평균 2.6kg)의 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 수놈 9마리를 대상으로, 토끼 뇌에 VX2 세포 현탁액 $1{\times}10^7$ cells/ml, 0.1 ml을 이식하고 종양이 5mm 정도 크기로 자라면 perfusion CT를 시행 하였다. GE사의 AW(advantage windows workstation, version 4.2)로 종양의 용적과 perfusion 값을 산출 하였다. 뇌종양의 평균 용적은 $316{\pm}181mm^3$ 이었고, 가장 큰 종양은 497 $mm^3$, 가장 작은 종양은 195 $mm^3$ 이었 이식된 종양 모두 단일 결절형으로 만들어졌고, 두개강 내로 전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perfusion CT에서 종양 중심부의 혈류량(cerebral blood volume, CBV)은 $74.40{\pm}9.63$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16.08{\pm}0.64$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15.24{\pm}3.23$이었다. 혈류 속도(cerebral blood flow, CBF)는 종양 중심부에서 $962.91{\pm}75.96$ 이였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357.82{\pm}12.82$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323.19{\pm}83.24$ 이었다. 평균 통과시간(mean transit time, MTT)은 종양 중심부에서 $4.37{\pm}0.19$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3.02{\pm}0.41$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2.86{\pm}0.22$ 이었다. 투과성 표면적(permeability surface, PS)은 종양 중심부에서 $47.23{\pm}25.45$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14.54{\pm}1.60$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6.81{\pm}4.20$이었다. 또한, 종양 중심부에서 최고치 도달 시간(time to peak, TTP)은 $19.33{\pm}0.42$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16.43{\pm}1.72$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15.14{\pm}0.88$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PEI(positive enhancement integral, PEI)은 종양 중심부에서 $61.56{\pm}16.07$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12.58{\pm}2.61$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8.26{\pm}5.55$ 이었다. 최대 증가 기울기(maximum slope of increase, MSI)는 종양 중심부에서 $13.18{\pm}2.81$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6.99{\pm}1.73$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6.41{\pm}1.39$ 이었다. 최대 감소 기울기(maximum slope of decrease, MSD)는 종양 중심부에서 $4.02{\pm}1.37$ 이었고, 종양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4.66{\pm}0.83$ 이었으며, 종양 반대쪽 정상 뇌조직에서는 $6.47{\pm}1.53$ 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정위적(stereotactic)으로 이식된 종양은 단일 결절형으로 두개강 내에 전이가 없어 정상 조직과 종양 조직의 비교 연구에 적합하며, perfusion CT 에서 얻어진 매개 변수(parameter)들은 종양과 정상 조직의 혈관 관류 상태 차이를 잘 반영해 주었다.

지방 채취 방법에 따른 지방 세포의 생존성에 대한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FAT CELL VIABLITY ACCORDING TO DIFFERENT HARVESTING TECHNIQUES)

  • 이원덕;최진영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22-29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icacy of various methods of fat harvesting in animal model by viability comparison with assay including cell counting, MTT assay, and histologic evaluation. Materials and methods: New Zealand white rabbits experiments were used. Groin fat pads were subjected to different harvest method varying ingredients of solution(Experiment 1: T1 solution= lidocaine 1000mg/L, epinephrine 1mg/L, sodium bicarbonate 10mgEq/L, Triamcinolone 10mgEq/L; T2 solution=lidocaine 1000mg/L, epinephrine 1mg/L, sodium bicarbonate 0mgEq/L, Triamcinolone 0mgEq/L) and pressure exerted on harvesting with Luer-Lock syringe connected to suction cannula.(Experiment 2: P1 group=3cc intermittent pressure; P2 group=10cc sustained pressure) Fat cell viability was assessed with cell counting with a hemocytometer, MTT assay, and histologic evaluation. Results: Experiment 1 Cell count: T1=2.4/3.4/4.2, T2=9.6/8.4/7.2($\times10^5$ per mL); MTT assay: T1=0.516/0.41/0.453/0.412/0.421, T2=0.925/0.765/0.54/0.634/0.614 in 21 days(absorbance); Histology: T1 showed elongated and, different in size and shape, and ruptured adipocytes with only a few normal adipocytes whereas T2 showed central core of fat with almost intact fat cells Experiment 2 Cell count: P1=1.2/3.2/4.2, P2=1.2/2.4/3.8($\times10^5$ per mL); MTT assay:P1=0.256/0.245/0.258/0.21/0.264, P2=0.12/0.231/0.245/0.313/0.281 in 21 days(absorbance); Histology: P1 showed somewhat evenly distributed normal-looking fat cells and P2 showed relatively irregular shape of fat cells with small blood vessel amongst adiopocytes. Conclusion: Viability was higher in ‘modified tumescent solution’without sodium bicarbonate and triamcinolone and we also found no significantly different viability between using intermittent pressure and using sustained pressure. But in terms of initial viability of fat cell, we can assume that lower intermittent pressure would make better clinical results.

Bio-Conjugated Polycaprolactone Membranes: A Novel Wound Dressing

  • Cai, Elijah Zhengyang;Teo, Erin Yiling;Jing, Lim;Koh, Yun Pei;Qian, Tan Si;Wen, Feng;Lee, James Wai Kit;Hing, Eileen Chor Hoong;Yap, Yan Lin;Lee, Hanjing;Lee, Chuen Neng;Teoh, Swee-Hin;Lim, Jane;Lim, Thiam Chye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1권6호
    • /
    • pp.638-646
    • /
    • 2014
  • Background The combination of polycaprolactone and hyaluronic acid creates an ideal environment for wound healing. Hyaluronic acid maintains a moist wound environment and accelerates the in-growth of granulation tissue. Polycaprolactone ha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limits inflammation and is biocompatible. This study evaluates the safety and efficacy of bio-conjugated polycaprolactone membranes (BPM) as a wound dressing. Methods 16 New Zealand white rabbits were sedated and local anaesthesia was administered. Two $3.0{\times}3.0cm$ full-thickness wounds were created on the dorsum of each rabbit, between the lowest rib and the pelvic bone. The wounds were dressed with either BPM (n=12) or Mepitel (n=12) (control), a polyamide-silicon wound dressing. These were evaluated macroscopically on the 7th, 14th, 21st, and 28th postoperative days for granulation, re-epithelialization, infection, and wound size, and histologically for epidermal and dermal regeneration. Results Both groups showed a comparable extent of granulation and re-epithelialization. No signs of infection were observ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wound size between the two groups. BPM (n=6): $8.33cm^2$, $4.90cm^2$, $3.12cm^2$, $1.84cm^2$; Mepitel (n=6): $10.29cm^2$, $5.53cm^2$, $3.63cm^2$, $2.02cm^2$; at the 7th, 14th, 21st, and 28th postoperative days. The extents of epidermal and dermal regeneration were comparabl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BPM is comparable to Mepitel as a safe and efficacious wound dressing.

Immunological Monitoring of Urinary Aflatoxins and Estimation of Liver Cancer Incidence in Koreans

  • Choi, Mun-Jung;You, Young-Chan;Kim, Hyung-Sik;Lee, Byung-Mu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05-110
    • /
    • 1996
  • Polyclonal antiserum R101 against aflatoxin $B_1$ ($AFB_1$) was raised in New Zealand white rabbits after injection of bovine serum albumin-$AFB_1$ conjugate. Competitive ELISA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demonstrated that antiserum R101 has the highest binding for $AFB_1$ (50% inhibition at 170 fmol) and aflatoxicol II (50% inhibition at 112 fmol). It also reacts with other aflatoxins such as $AFB_2$, $AFG_1$, $AFG_2$, and aflatoxin metabolites ($AFM_1$, $AFM_2$, $AFP_1$, and $AFQ_1$), but it does not cross-react with $AFG_2a$. Using this antiserum, aflatoxins were quantitated in 100 urine samples of undergraduate students at the College of Pharmacy, Sung Kyun Kwa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By ELISA, $AFB_1$ and its metabolites were detected in human urine samples (N=100, male=89, female=11, ages=20~31 yrs) with a range of 1.4~200.6 ng/kg/day (mean$\pm$SD=$18.11{\pm}33.01\;ng\;AFB_1/kg/day$ in males, $3.82{\pm}2.65\;ng/kg/day$ in females). Assuming that urinary excretion is about 7.6% of $AFB_1$ intake (Groopman et al., 1992), we estimated that Koreans were daily exposed to a total dietary $AFB_1$ of $240.20{\pm}438.67\;ng/kg/day$ in males and $50.35{\pm}29.88\;ng/kg/day$ in females, respectively. When the human monitoring data was applied to a linear regression model of Y=21.67X-10.04 {Y=liver cancer incidence per 100,000, X=Log $AFB_1$ intake (ng/kg/day), r=0.99} developed from previously reported epidemiological data, calculated liver cancer incidences attributed to $AFB_1$ exposure were 41.56/100,000 in males and 26.84/100,000 in females. The incidences were similarly correlated with liver cancer mortality rates of 43.43/100,000 in males and 11.23/100,000 in females in Ko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aflatoxin exposure may be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the high incidence of liver cancer in Korea.

  • PDF

가토 허혈-재관류 심근에서의 Bcl-2 단백의 발현 (Expression of Bcl-2 Protein in Ischemia-Reperfused Myocardium of Rabbit)

  • 류재욱;김삼현;서필원;박성식;최창휴;류경민;김영권;박이태;김성숙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10호
    • /
    • pp.924-927
    • /
    • 1998
  • 연구배경 : 심근의 허혈 또는 재관류에 의한 세포사에는 괴사 이외에 세포고사가 존재함이 알려져 있다. Bcl-2 단백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단백으로 세포고사를 억제하는 기능을 하며 정상심근에서는 발현되지 않으나 심근경색의 급성기에서 발현됨이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가토 허혈-재관류 심근에서 Bcl-2 단백의 발현 여부와 재관류의 시간에 따른 발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평균 무게가 2.9Kg(1.5-4.8Kg)인 가토 39마리를 이용하였다. 허혈-재관류 모델의 각 실험동물에서 좌전하행지를 30분간 결찰한 다음 1, 4, 8, 12, 24시간, 3, 7일 동안 재관류시켰다. 이후 즉시 실험동물을 희생시킨 다음 심장을 적출하여 심근조직을 얻고 10% buffered formalin에 고정하였다. Bcl-2 단백의 발현은 파라핀에 포매된 조직에서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확인하였다. 결과: 허혈-재관류 심근 중 12, 24시간, 3일 재관류군에서 Bcl-2 단백의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특히 24시간 재관류 심근에서 잘 관찰되었다. Bcl-2 양성염색의 심근세포는 위험부위의 구제심근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Bcl-2 단백은 심근의 허혈-재관류에서 급성기의 비교적 후기에 발현되며, 이는 재관류 초기에서 보다는 후기에서 세포고사를 억제하는데 일부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렌즈 보존액 CLlWELLTM에 대한 안점막자극성시험 (EYE IRRITATION TEST OF LENS WASHING AGENTS CLlWELLTM ON NEW ZEALAND WHITE RABBITS)

  • 장우영;이정영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8
    • /
    • 2007
  • 시판중인 렌즈 보존액 중 가장 흔히 사용 또는 유통되고 있는 CLIWELL$^{TM}$에 대한 안점막자극성 시험을 식품의약품 안전청 고시에 따라 Draize법을 이용하여 그 자극성의 정도를 평가하고, 눈에 가해질 수 있는 잠재적인 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배출물에 대한 도말표본 상에서 염증세포 및 비 염증성 유상피세포가 차지하는 비율과 함께 점안 14일 후 안구 중, 각막, 홍채, 망막 및 공막의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 세척군에서는 점안 후 1, 2 및 3일에 국한하여, 각막과 결막에 경미한 자극이 관찰되어, 이 기간 동안의 평균 안점막 자극지수 MIOI가 각각 4.50, 1.67 및 0.67로 관찰되었으며, 세척군에서는 점안 후 1 및 2일에 국한하여, 결막에서 경미한 자극성이 인정되었고, 이때 MIOI는 각각 0.67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CLIWELL$^{TM}$은 세척군 및 비 세척군 모두에서 MIOI가 모든 관찰 기간에서 4.50이하로 관찰되었으며, IAOI 역시 점안 1일 후 4.50으로 관찰되어 무자극성 물질로 판단되었다. 한편 배출물에 대한 염증성 세포의 비율은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점안 1일 후 유의성 있는 염증세포 비율의 증가가 비세척군에 국한하여 인정된 이외에 의미 있는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또한 안구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에서 각막, 홍채, 망막 및 공막 모두에서 무처치 대조군과 비교하여 의미 있는 변화는 인정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