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museum

검색결과 482건 처리시간 0.029초

한국산 Centistes Haliday속 (벌목: 고치벌과: 잎벌레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Seven Newly Recorded Species of the Genus Centistes Haliday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 이혜린;안태호;변봉규;구덕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37-342
    • /
    • 2016
  • 본 연구를 통해 Centistes Haliday (벌목: 고치벌과: 잎벌레고치벌아과)에 속하는 7종 C. (Ancylocentrus) ater (Nees), C. (A) mucri Belokobylskij, C. (A.) paupella (Shenefelt), C. (A.) rufus Chen and Achterberg, C. (Centistes) pumilio Belokobylskij, C. (C.) tsherskii Belokobylskij, C. (Syrrhizus) delusorius (Förster)을 한국에 처음으로 보고한다. 또한 각 종에 대한 식별형질과 숙주 정보, 사진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민화 미술관 기획 연구 -제페토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lanning of Minhwa Museum Utilizing the Metaverse Platform : Focusing on Zepeto Case)

  • 최은진;이영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3-74
    • /
    • 2021
  • 메타버스는 스마트폰을 상시 휴대하는 MZ세대의 생활 패턴과 자신의 정체성을 중요시하는 성향에 잘 맞는 가상공간이다.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문화 예술인 민화를 메타버스 플랫폼인 제페토에서 미술관으로 개발하는 기획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메타버스 플랫폼의 특징인 오픈월드, 샌드박스,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아바타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제페토에 민화 미술관을 개장하는 기획 아이템으로 발전시킨다. 한국 전통예술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면서, MZ세대의 뉴트로 감성에 맞는 메타버스 기획 개발 모델로서의 연구 가치가 있다.

A new record of Ardisia×walkeri, a hybrid of A. japonica and A. pusilla, (Primulaceae) from Jeju Island, Korea

  • Goro Kokubugata;Satoshi Kakishima;Chan-ho Park;Takuro Ito;Atsushi Abe;Chikako Ishii;Gwan-Pil Song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3호
    • /
    • pp.258-265
    • /
    • 2023
  • We conducted phylogenetic analyses using multiplexed inter-simple sequence repeat genotyping by sequencing and compared chloroplast DNA sequences among Ardisia japonica, A. pusilla, and morphologically intermediate plants found on Jeju Island, Korea. Our network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intermediate plants were genetically positioned between A. japonica and A. pusilla. Our comparison of the intergenic spacer between the psbA and trnH genes in chloroplast DNA indicated that four nucleotide substitutions separate A. japonica and A. pusilla, whereas the intermediate plants exhibited the A. japonica haplotyp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mediate plants on Jeju Island represent a natural hybrid of A. japonica, as the maternal species, and A. pusilla, and that they are attributable to Ardisia×walkeri. This record constitutes the first documented occurrence of the hybrid taxon in Korea.

과학 우수아의 과학관에 대한 이미지와 기대 전시 내용 - 광주지역 학생을 중심으로 - (Scientifically Talented Students' Image of Science Museums and Their Preferred Topics for Exhibits - Focused on Students in Gwangju City -)

  • 김진국;박종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431-1449
    • /
    • 2013
  • 본 연구는 과학관 설계와 운영을 위해서는 관람객의 관점을 고려해야 하지만 아직까지 그러한 점이 충분하지 않다는 주장에 근거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관에 대해 어떤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전시물을 원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학생은 영재교육원 중학생 31명과 과학고 학생 177명이었고, 설문지를 이용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관에 방문한 경험이 있는 학생은 51%에 불과하였으나, 한번 과학관에 방문했던 학생들의 평균 방문횟수는 4.2회로 나타나, 일단 과학관에 방문하고 나면 반복적으로 방문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관에 대한 좋았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과학관에서 체험과 실험을 했던 것과 다양하고 새로운 전시물, 재미있고 신기하고 흥미로운 전시물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나빴던 이미지로는, 전시물 자체에 대해서 새로움/흥미부족, 정보/안내 부족, 내용부족, 체험부족의 순으로 구분할 수 있었고, 전시물 외적 요소로는 환경, 관리미비, 운영부족 구성의 불편함의 순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과학관에 바라는 점을 조사한 결과는, 체험/실험/활동, 다양한/새로움, 재미/흥미 순으로, 전시물 외적 요소에는 관리, 구성, 안내/정보, 환경, 운영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관 방문횟수가 적을 학생일수록 과학관에서의 외적인 준비를 더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한적이지만, 학생의 관점에서 본 좋은 과학관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 학생들에게 국립광주과학관의 4개 대범주를 주고, 각 큰 주제별로 배우고 싶거나 알고 싶은 구체적인 주제를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1인당 평균 4.0개를 응답하였고, 하나의 주제에 대해서는 평균 2.9개의 응답이 중복되어 나타났다. 주제별로는 '생활 속 과학' 주제, '해양, 우주, 미래의 과학' 주제, '빛과 과학' 주제, 그리고 '문화와 예술과 과학' 주제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생들이 알고 싶고 배우고 싶다고 언급한 주제들은 국내 4개 국립과학관별로는 9.2~19.7%, 전체 평균으로는 36.9%만이 전시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방법과 결과는 과학관의 평가뿐 아니라, 앞으로 과학관 설립이나 특별기획을 위한 계획에서 어떤 전시물을 선정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본다.

편안한 박물관 관람을 위한 관람 경로 탐색 및 혼잡제어 알고리즘 (Viewing Path Search and Congestion Control Algorithms For Comfortable Museum Viewing)

  • 서윤득;안진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31-137
    • /
    • 2010
  • 현재 많은 박물관들이 유비쿼터스 기술과 함께 자신의 형태를 바꾸어 가고 있다. 기존에 유물에 부착된 정적인 텍스트 기반 정보만을 방문객에게 제공하는 전통적인 박물관과 달리, 이러한 유비쿼터스 박물관은 각종 PDA 혹은 휴대폰을 통해 유물에 대한 텍스트 정보뿐만이 아니라 음성, 동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유비쿼터스 박물관은 각 방문객에게 유물 중심적인 정보만을 매우 단편적인 방법으로 제공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러한 불리한 특성은 모든 방문객에게 획일적인 관람경로만을 제공하여 전시실의 혼잡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한계성은 방문객에게 자신의 선호를 고려하여 보다 다양하고 유용한 유물 정보 제공에 대한 가장 큰 장벽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문객의 선호도에 따라 편안한 박물관 관람을 제공하는 새로운 최적의 관람 경로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한 방문객의 박물관 관람 시 방문객들이 몇몇 쏠림 지역으로 모이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박물관 관람의 편안함을 최대로 향상시키도록 한다.

현대 뮤지엄 건축의 시지각적 중심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가시장분석(Visibility Graph Analysis)을 중심으로 - (A Study on Visual-perceptual Centrality in Contemporary Museum Architecture - Focused on Visibility Graph Analysis -)

  • 박종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66-173
    • /
    • 2014
  • This study analyzed visual-perceptual centrality as a measure to solve the confusion that might occur in visitor's movement in analyzing contemporary museums that have recently expand. Also, this study proposed a new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of the occurrence and convergence of visual-perceptual power. The existing visibility graph analysis mostly ends up in identifying nodes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environment of museums while the newly proposed visibility graph analysis is a methodology that can analyze the landmark on which the visual-perceptual power occurs and converges, by setting visible space elements as analysis variables, which showed a possibility to draw more reliable results in parallel to the existing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A public museum located in downtown has a limitation that it cannot but be multi-layered as a way to enlarge for the accommodation of a variety of programs on a limited site. Also, this study found that the problem of visitor orientation occurring in the multi-layer process was solved by a major space which was visual-perceptually void. Also, its types can be summarized into two types: One is setting parameter spaces (ramps, staircases, hallways) linked visual-perceptually to the major space and the other is solving the confusion of the visitor's movement by composing a simple exhibition space. In particular, it is judged that the type solving the confusion of the visitor's movement by composing a simple exhibition space also had a relationship with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ed works by perio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entrance also appeared in two types: dependent type and independent type in the major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space.

공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소규모 미술관의 공간 활성화 방안 연구 - 신체의 운동 요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Plan to Activate the Space of Small-Scale Art Museums by Using Space Analysis Program - Focused on Body Movement Elements -)

  • 최진석;김문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59-68
    • /
    • 2015
  • As the economical and cultural levels become higher, the public have more various and new cultural desire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and kinds of cultural facilities. Out of all the cultural facilities built in such a trend, art museums are the yardstick for a certain nation's cultural level, and the number of art museums is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in Korea, as a cultural space where the public can make cultural exchanges with artists. On the contrary to the increasing number of art museums, however, the number of art museum visitors is decreasing every year, so various attempts are made to activate art museums in Korea. Thus, this study aims to seek a plan to activate the space of an art museum by improving the physical movement of art museum visitors, especially targeting small-sized ones out of all the art museums in Korea. For accurate analyses and verifications, this study used the visibility-ERAM program. As a result of analyses, this study found out and reconsidered several problems related to the space of art museums, an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could verify the related hypotheses, further comprehending possible errors of the proposed solution to those problems and supplement in a short period of time. Since such an analysis method and process has objective accurac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plans to activate the space of art museums.

Incorporating Time Constraints into a Recommender System for Museum Visitors

  • Kovavisaruch, La-or;Sanpechuda, Taweesak;Chinda, Krisada;Wongsatho, Thitipong;Wisadsud, Sodsai;Chaiwongyen, Anuwat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8권2호
    • /
    • pp.123-131
    • /
    • 2020
  • After observing that most tourists plan to complete their visits to multiple cultural heritage sites within one day, we surmised that for many museum visitors, the foremost thought is with regard to the amount of time is to be spent at each location and how they can maximize their enjoyment at a site while still balancing their travel itinerary? Recommendation systems in e-commerce are built on knowledge about the users' previous purchasing history; recommendation systems for museums, on the other hand, do not have an equivalent data source available. Recent solutions have incorporated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lgorithms that rely on social filtering, which builds recommendations from the nearest identified similar user. Our paper proposes a different approach, and involves providing dynamic recommendations that deploy social filtering as well as content-based filtering using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he main challenge is to overcome a cold start, whereby no information is available on new users entering the system, and thus there is no strong background information for generating the recommendation. In these cases, our solution deploys statistical methods to create a recommendation, which can then be used to gather data for future iterations. We are currently running a pilot test at Chao Samphraya national museum and have received positive feedback to date on the implementation.

사용자 경험 증진을 위한 과학관 전시물의 사용성 평가 (A Usability Study On Museum Installations Emphasizing Interaction Design for User Experience)

  • 조명은;최한희;김미정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302-310
    • /
    • 2013
  • Many museums have recently employed digital technologies in exhibition installations to provide visitors with interactive experiences with the installations, not just audiences. However, most of them have focused on the adoption of new prototypes or technologies, not considering user experiences of those systems carefully. This study developed an evaluation tool for usability of the tangible user interfaces and conducted a usability study on museum installations emphasizing user interaction and experience. The evaluation tool is composed of 5 features of tangible user interfaces such as tangible, interaction, convenience, representation, spatial interaction and social interaction, and 24 items. The museum we investigated is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where 8 installations, classified 4 categories, were selected for the usability study. We recruited 6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2 teams, each team having 3 students. Three students in a team manipulated and experience each installation together and reported their evaluation score through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usability for the category 3, which requires students to move their bodies for the interaction, is the highest one because it features with spatial interaction. Students expressed much interest in the category 4, which utilizes users' other senses, however, the score of the usability is the lowest because the interaction is temporary and repetitive. Most installations are well designed in terms of control constraints, legibility, lower thresholds, participation encouragement, and open to the public, but pooly designed in terms of multiple access points, configurability, accurate movement, ambient media, and full-body interaction.

웹 생태박물관을 활용한 문화유산의 기록과 보존 : 무등산을 중심으로 (A Record and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s through Web Ecomuseum : the Case of Mountain Mudeung)

  • 노시훈
    • 기록학연구
    • /
    • 제27호
    • /
    • pp.209-238
    • /
    • 2011
  • 1968년 프랑스에서 출현하여 전 세계로 널리 확산된 생태박물관은 유물의 소장 전시보다 어떤 지역의 자연 문화유산 전체를 '본래의 장소에서' 보존 해석하여 그 지역의 장소적 의미를 찾고 주민의 참여와 지역 공동체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유형의 박물관이다. 이 박물관이 갖는 의의는 사라져가는 지역의 집단 기억을 회복하여 주민의 문화적 정체성을 되찾고 낙후된 지역을 활성화하는 데 있다. 그런데 이 박물관은 분산형 야외박물관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흩어져있는 지역 유산 전반에 대한 원격 정보 제공과 종합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유산을 디지털화하여 기록 보존 해석 활용하는 '웹 생태박물관'이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무등산이라는 지역을 예로 들어 웹 생태박물관의 가능성과 그 구성 내용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지역 고유의 주제를 선정하여 관련 유산을 토대로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기록 보존)하고, 웹 전시를 개최(해석)하고, 전자문화지도를 제작(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