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hanok style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1초

1910년대 근대적 지방관립시설로 사용된 한옥의 개조 방식 -국가기록원 소장 건축 도면의 분석을 통하여- (Ways of Remodeling from the Traditional Hanok to the Modern Local Governmental Facility in 1910s - Focused on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

  • 주상훈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1호
    • /
    • pp.7-1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ays of remodeling from the traditional hanok to the modern local governmental facility in 1910s. Analysing architectural drawings in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58 hanok remodeling cases of 52 facilities were verified like the provincial office, county office, county court from 1907 to 1910s. Using hanok as the local governmental building, exterior walls were all changed to the scaled-wooden wall like one of western-wooden building in 1910s and the western-style entrance was set. Change of the plan caused by remodeling interior walls had an intention of the centralized closed plan. Remodeled semi-outer corridor using the space of the eave became changed to the inner corridor with expansion of space. Expansion of hanok for spatial demand was in three ways. First was the expansion towards the eave space, second was direct extension from hanok, and last was the use of external corridor to the new building. Using the eave space was simple but had limitation of space, it was planed with other expansion ways. The way of direct extension was usually used than the one with the corridor, because it was more economical way.

문학지리학적 관점에서 본 북촌 도시한옥 밀집지역의 물리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Viewed from Literary Geography)

  • 박철수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115-124
    • /
    • 2008
  • This study explores the beneficial methodology to increase cultural values of urban style Hanok, Korean traditional residence. Based on the literary geographical approach, this study defines the physical identities of special Bukchon Hanok area in Seoul. The explored physical identities are to provide basic fundamentals for supplying and maintaining new Hanok buildings, including how to preserve and restore the traditional Hanok areas. They are also to develop various Hanok related cultural products and to encourage Hanok popularization.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add more the humane values and significances to the previous relevant researches. With these perspectives and through above mentioned methodology, the study draws the physical identities of Bukchon Hanok area and meanings as belows: The first one is the collective identity. Bukchon Hanok area is mainly composed of organic spaces with its collective scenary. Narrow alleys and curved lanes created by collective gaps between Hanok buildings, provide residents and visitors with abundant choices of moving path. The second one is the formal identity. Bukchon Hanok maintain their unique layout patterns. The basic units of Chae are combined in specific ways such as 'ㄱ', 'ㄷ', 'ㅁ' types and result typical formal expression of the area. The third one is grounding identity which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 and every-day living space. Each Chaes of house always surround Madang, Korean traditional court yard with rare vegetation. And the connection to the ground is transferred to the memories of its dwellers. Lastly, the current Hanok still preserve similar characteristics of past time Hanok such as materials, structure and styles by using unique building technics and exposing traditional ornamenting styles.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f apartment plan technology adopting structural element of Hanok)

  • 박경현;노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66-6371
    • /
    • 2014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의 장식적인 요소로서의 한옥 특성들을 구조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여 규칙을 제안하고 이를 공동주택의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선이 미적으로 분석되었다면 이를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지붕처마를 해석하였으며, 대청마루와 쪽마루, 툇마루의 각 방에 대한 비율을 현대 공동주택의 평면비율과 비교하였으며, 전통 기둥의 안쏠림과 귓기둥 솟음을 안정감과 착시효과 개선 방안이 아닌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지붕구조하중과 연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평면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평면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하여, 도시미관상의 효과와 더불어 각 세대의 채광, 환기, 통풍을 개선하고 한옥의 안마당 요소를 접목하여 보다 진화된 평면을 제안하였다.

한옥의 경사처마와 이중바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lined balcony and double deck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노영숙;김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08-8415
    • /
    • 2015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구조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한옥의 특징들을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이를 공동주택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처마 각도를 중심으로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효율적인 슬래브 경사 및 층고를 갖는 경사발코니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는 해당 슬래브 하부층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단층적인 한옥의 한계를 극복하여 모든 층의 동일한 일사량 및 전망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옥의 정원개념을 수직공동주택에 적용가능하게 해준다. 전통 한옥의 처마 내밀기와 귀솟음을 응용한 경사발코니의 각도는 30o도 내외가 적당하고, 층고는 $4.5{\pm}0.25m$가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한옥의 뜬 바닥 구조를 분석하여 소음, 진동, 온도 전달에 관련된 원리들을 공동 주택 평면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선안을 모색하였으며 기존 공동주택과 달리 복층바닥구조는 단일슬래브에 비하여 바닥충격음 66%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바닥구조는 주택 평면에서 사라지고 있는 수직적 공간(다락 및 하부저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내.외부 공간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촌한옥마을 조사에 따른 한옥지구 보전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eservation plan of Traditional District by Research in Seochon Hanok village)

  • 남상덕;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2013-2020
    • /
    • 2013
  • 본 연구는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가치가 재조명되는 상황에서 향후 우리나라 고유의 한옥마을을 보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 요구되고 개선되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분석방법은 한옥 거주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 및 개선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한옥자체의 건축적인 요소의 보전도 필요하나 더불어 더 중요한 것은 공동체적인 마을단위의 고유의 역사성과 문화성을 재창조하여 가치를 높이고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보전 및 개발을 위한 도시계획적인 차원에서 주민의 협조와 정부의 정책적인 지원과 배려가 요구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1930년대 김종량의 H자형 한일절충식 도시주택 (Kim, Jong-Ryang's H-shaped Houses in 1930s in Seoul)

  • 백선영;전봉희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5호
    • /
    • pp.7-24
    • /
    • 2009
  • This stydy investigates H-shaped houses in 1930s and examines the characters and meanigs of Kim, Jong-Ryang's H-shaped houses as a new trial to urban Hanok of those days. He, who was concerned about the housing problem of Seoul, made an attempt to make various types of dwellings. Among them,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Korean Style H-shaped houses in Samcheong-dong. As the alternative housing type against other urban Hanok of Seoul in 1930s, the H-shaped houses of Kim, Jong Ryang had characters as follows : 1) H-shaped houses has two special characters. First, the whole space of a single house can be divided into a left region and a right region. Second, it can be divided to a front region and a rear region. In his H-shaped houses, the left/right division was expressed as folding of space-layers in parallel with urban streets. The front/rear division was used as classification of main-living space and sub-living space. 2) KJR's H-shaped Japanese-Korean Style houses were proved to be designed as urban housing against the extreme housing shortage of Seoul in 1930s. 3) His houses however were not accepted broadly as a urban house type because the construction cost of those was higher than an average and the element of Japanese style house was not adapted to Korea. Kim, Jong-Ryang's trial is valuable because it was the rare case of realization of many discourses as defects of existing house type. With more rigorous investigations on KJR's experiment in modern house type, we could understand the housing condition of Seoul in 1930s and modern urban houses more than before.

  • PDF

보급형 신한옥 개발을 위한 건설 생산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Modernized Korean Housing (Hanok))

  • 김민;김예솔;이윤섭;정영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07-114
    • /
    • 2013
  • 근래에 들어 한옥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더불어 한옥에 살고자 하는 선호도가 증가하는 등 한옥에 대한 관심이 급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한옥에 대한 제도를 개선하고 예산을 반영하는 등, 한옥관련 사업을 다각도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공사비는 한옥의 대중화 및 지속적 발전에 장애요인중의 하나가 되고 있다. 이를 개선하고자 정부에서는 '한옥기술개발'의 R&D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본 논문은 '한옥기술개발'의 일환으로 실제 지어진 전통한옥과 신한옥의 생산성을 토대로 효율적인 공사비 저감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분석방법으로 한옥공사의 15개 대공종 중 주요공종을 선정하였다. 전통한옥과 신한옥 공사 중 주요공종에서의 생산성을 분석하여 재료와 공법의 변화가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분석한 주요공종 모두에서 생산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생산성의 향상이 공사비 저감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분석하였다. 주요공종 중 지붕/홈통의 공종은 주로 재료의 변화, 목공사와 마감공사는 공법의 변화, 기초공사와 창호는 재료와 공법 모두의 변화로 인하여 공사비 저감을 이루었다.

한옥 건축공정 자동화를 위한 지능형 설계모듈의 구현 (Intelligent Architectural Design Module for Process Automation of Hanok Constructions)

  • 안은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156-1164
    • /
    • 2012
  • 한옥은 단순히 전통건축의 의미를 넘어서 우리 선조들의 삶에 대한 양식과 인식을 담고 있는 지금도 살아 숨 쉬는 문화유산이다. 최근 한옥이 자연친화적 건축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한옥의 전통적 방식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건축과정에 효율을 꾀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대두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정보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설계 지원도구를 개발하여 한옥의 설계에서 검증, 생산 공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전통건축의 통시대적 고찰과 한옥의 목구조 방식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전통건축 설계에 필요한 부재들에 대한 효율적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식은 특성이 비슷한 부재들을 모아서 하나의 템플릿으로 설계하고 다양한 형태의 유사부재들을 속성 값에 따라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도록 객체지향 방식의 표현기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 방식은 객체지향 방식의 부재를 표현함에 있어서 연결 부재간의 상관관계를 부재와 부재간의 관련 파라미터들 사이의 결합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설계의 오류를 최소화 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개발된 시스템은 서양건축 설계 위주의 CAD프로그램에 플러그 인 형태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통적인 방식의 한옥설계는 물론 한옥 건축문화를 현대적 생활공간에 쉽게 접목할 있도록 고안되었다.

1900~1945년 나주의 중.소규모 한식상가와 일식상가의 변천연구 - 나주면과 영산포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Mid.Small Korean Commercial Area and Japanese Commercial Area in Naju City from 1900 to 1945 - Focused on Naju-myeon, Maju City & Youngsanpo-myeon)

  • 안국진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93-102
    • /
    • 2011
  • Existing research for store has been localized in that of Seoul area, and research for the Japanese style store built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has not been done properly owing to national sentiment. This research established Naju that inland pillage is available along Yeongsan River after opening of Mokpo harbor. I will compare modernization developmental process of building of Korean style store with that of Japanese Style store, so obviously try to make clear the activities of modernization by linking social and economical change with Joseon merchants' life. I will try to light up the position of korean style store in Naju area in history of architecture by analyzing two styles of stores into urban architectural element, putting process of change in order and translating it according to flow of age.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restaurant stores and that of Japanese counterparts are rather relative. Whereas Japanese accumulated wealth through oppression and exploitation of the people of Joseon the former dynasty of present day Korea, the people of Joseon could not but be oppressed and depressed. On the other hand, while the dynamic liberation movements of Joseon merchants managed to develop based on the vitality that was growing ever more, Japanese chose to back down to some degree by exercising appeasing policy. The efforts to take initiative by shattering off the submissive attitude can be found from the ability fostering movement, Gwangju students campaign and new construction or remodeling of hanok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as commercial building in the 1920s. The changing phase of the people breaking away from subjugated relation to subjective attitude can be found in the commercial districts.

The study on immaterial role of traditional furniture

  • Lee, Dae-Woo;Moon, Dae-Su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39-448
    • /
    • 2010
  • 가구분야는 인간과 밀접한 제품으로 많은 발전을 해왔지만, 근대화 이후 전통가구는 거의 자취를 감추었다. 이는 생활양식이 바뀌었다기보다 편의와 형태를 추구한 서양식 가구의 다양성을 중시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성은 한계에 도달했으며 가구뿐만 아니라 디자인분야 전반에 걸쳐 한 단계 나아갈 새로운 역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이를 위한 문제해결방법으로 건축을 비롯한 디자인전반에서 동양의 정신계에 근거를 두고 있는 유심적 가치가 제시되었다. 이는 사라졌던 전통가구가 내포한 유심성에 주목하려는 것이며, 보다 자연적이고 인간과 친숙한 전통가구의 감성적이고 심리적인 영향이 가치를 인정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전통가구가 오랜 시간을 사용되었던 것은 가구가 갖는 기능성보다 주변공간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유심적 성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선시대 한옥에서 사용된 전통가구를 중심으로 기본적 기능 이외의 역할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나타난 추가적인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유심적 역할은 사용자에게 기능 이외의 역할을 제공하고, 가구의 공간지배가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역할의 근거로 전통가구가 유물적 관점에서는 추출할 수 없는 사용성 확장, 공간변이, 공간형성과 이동, 위계형성에서 나아가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단계에 이르는 많은 역할을 해왔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전통가구의 유심적 역할이 적용된 현대 공간에서 나타날 기대효과와 가능성의 사례를 통해 지속 가능한 디자인은 물론 상호작용이 가능한 가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