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User Problem

검색결과 575건 처리시간 0.033초

교통망에서 다차종 통행을 고려하는 통행배정모형 수립 (A Traffic Assignment Model in Multiclass Transportation Networks)

  • 박구현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3-80
    • /
    • 2007
  • This study is a generalization of 'stable dynamics' recently suggested by Nesterov and de Palma[29]. Stable dynamics is a new model which describes and provides a stable state of congestion in urban transportation networks. In comparison with user equilibrium model that is common in analyzing transportation networks, stable dynamics requires few parameters and is coincident with intuitions and observations on the conges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 an useful analysis tool for transportation planners. An equilibrium in stable dynamics needs only maximum flow in each arc and Wardrop[33] Principle. In this study, we generalize the stable dynamics into the model with multiple traffic classes. We classify the traffic into the types of vehicle such as cars, buses and trucks. Driving behaviors classified by age, sex and income-level can also be classes. We develop an equilibrium with multiple traffic classes. We can find the equilibrium by solving the well-known network problem, multicommodity minimum cost network flow problem.

Improving efficiency of remote data audit for cloud storage

  • Fan, Kuan;Liu, Mingxi;Shi, Wenb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4호
    • /
    • pp.2198-2222
    • /
    • 2019
  • The cloud storage service becomes a rising trend based on the cloud computing, which promotes the remote data integrity auditing a hot topic. Some research can audit the integrity and correctness of user data and solve the problem of user privacy leakage. However, these schemes cannot use fewer data blocks to achieve better auditing results. In this paper, we figure out that the random sampling used in most auditing schemes is not well apply to the problem of cloud service provider (CSP) deleting the data that users rarely use, and we adopt the probability proportionate to size sampling (PPS) to handle such situation. A new scheme named improving audit efficiency of remote data for cloud storage is designed. The proposed scheme supports the public auditing with fewer data blocks and constrains the server's malicious behavior to extend the auditing cycle. Compared with the relevant schem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effective.

선호도 재계산을 위한 연관 사용자 군집 분석과 Representative Attribute -Neighborhood를 이용한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의 성능향상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llaborative Filtering System Using Associative User′s Clustering Analysis for the Recalculation of Preference and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

  • 정경용;김진수;김태용;이정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3호
    • /
    • pp.287-296
    • /
    • 2003
  •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협력적 필터링 기술은 많은 연구가 되고 있다. 그러나 협력적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추천 시스템은 초기 평가 문제와 희박성 문제가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선호도 재 계산을 위한 연관 사용자 군집과 베이지안 추정치를 이용한 사용자 선호도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협력적 필터링 시스템에서 아이템의 속성을 고려하지 않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선호도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대표 장르를 추출하여 유사한 이웃을 찾아 낼 때 예측에 이용하는 Representative Attribute-Neighborhood 방법을 사용한다. 협력적 필터링의 알고리즘에 군집 아이템 백터 내의 특정 아이템의 선호도를 재계산 하기 위한 연관 사용자 군집 분석을 적용하여 성능 향상을 하였다. 또 초기 평가 문제와 희박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Association Rule Hypergraph Partition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사용자를 장르별로 군집한다. 새로운 사용자는 Naive Bayes 분류자에 의해 이들 장르 중 하나로 분류된다. 또한, 분류된 장르 내에 속한 사용자들과 새로운 사용자의 유사도를 구하기 위해 Naive Bayes 학습을 통해 사용자가 평가한 아이템에 추정치를 달리 부여한다. 추정치가 부여된 선호도를 피어슨 상관 관계에 적용할 경우 결측치(Missing Value)로 인한 예측의 오류를 적게하여 예측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높은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위성영상 검색에서 사용자 관심영역을 이용한 적합성 피드백 (Relevance Feedback using Region-of-interest in Retrieval of Satellite Images)

  • 김성진;정진완;이석룡;김덕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6호
    • /
    • pp.434-445
    • /
    • 2009
  • 내용 기반 영상 검색(content based image retrieval)은 영상 자체의 정보를 이용하여 유사 영상을 검색하는 기법이다. 하지만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텍스트 데이터와 달리 얻을 수 있는 데이터가 정확하지 않고 또한 시스템에서 표현되는 데이터의 저차원(low-level)의 표현법과 사용자가 인식하는 고차원(high-level)의 개념(concept)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즉 시스템 상에서 벡터들로 표현된 영상 데이터들이 벡터스페이스 상에서는 가깝지만 실제 사용자는 유사하지 않다고 인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를 의미적 간극(semantic-gap) 문제라고 부른다. 이런 의미적 간극 문제로 인해 영상검색 결과는 좋지 않은 성능을 보이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피드백 정보를 이용하여 질의를 수정하는 적합성 피드백 기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적합성 피드백은 사용자의 관심영역(region-of-interest, 이하 ROI)를 고려하지 않아 적합한(relevant) 영역의 모든 영역들이 새로운 질의 점을 계산하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시스템은 그 스스로 사용자 관심영역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적합성 피드백을 영상수준(image-level)으로 진행하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복잡한 위성영상 영역 검색에서 관심영역을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도록 유도하여 더욱 정확한 질의 점을 계산하여 정확도를 높이는 사용자 관심영역 적합성 피드백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부정확한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프루닝 기법도 함께 제시한다. 실험을 통하여 사용자 관심영역 적합성 피드백의 우수성과 함께 제안한 프루닝 기법의 효율성도 함께 보여준다.

재료역학과 구조역학 수업을 위한 전산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New Computer Program for Mechanics of Materials and Structural Mechanics Courses)

  • 이상순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106-113
    • /
    • 2011
  • The new computer program, visual SolidMech (ver 2.0), for mechanics of materials and structural mechanics has been developed using visual C++. The visual SolidMech is organized in a format similar to most standard texts on mechanics of materials and structural mechanics. This program consists of a number of menus to perform various calculations as well as a set of dedicated graphical user interfaces. Solutions to problems are given in both graphical and numerical forms. The visual SolidMech will help students develop problem-solving skills by showing them the important factors affecting various problem types, by helping them visualize the nature of internal stresses and member deformations, and by providing them an easy-to-use means of investigating a greater number of problems and variations. This new program can be utilized as a supplement to existing texts in mechanics of materials and structural mechanics.

  • PDF

상호작용 다목적 최적화 방법론을 이용한 전시 탄약 할당 모형 (Ammunition Allocation Model using an Interactive Multi-objective Optimization(MOO) Method)

  • 정민섭;박명섭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3-524
    • /
    • 2006
  • The ammunition allocation problem is a Multi-objective optimization(MOO) problem, maximizing fill-rate of multiple user troops and minimizing transportation time. Recent studies attempted to solve this problem by the prior preference articulation approach such as goal programming. They require that all the preference information of decision makers(DM) should be extracted prior to solving the problem. However, the prior preference information is difficult to implement properly in a rapidly changing state of war. Moreover they have some limitations such as heavy cognitive effort required to DM. This paper proposes a new ammunition allocation model based on more reasonable assumptions and uses an interactive MOO method to the ammunition allocation problem to overcome the limitations mentioned above. In particular, this article uses the GDF procedure, one of the well-known interactive optimization methods in the MOO liter-ature, in solving the ammunition allocation problem.

  • PDF

스마트 폰을 이용한 물류정보시스템의 실무적용 상 애로요인에 관한 실증분석 - 컨테이너 육상운송을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Failure Factor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Practice Based on Smart-phone' Characters - Focus on Container Transportation Firms -)

  • 윤태한
    • 무역상무연구
    • /
    • 제70권
    • /
    • pp.81-107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at Factors i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ISMB(Logistics Information System Practice Based) on S.P(Smartphone)' Characters. and take in the whole situation of LISMB on S.P' Characters by this research and it is clear from the findings that LISMB on S.P' Characters situations and distinctivenes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working-level interview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examining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and mediating effect. Result : The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LISMB on S.P' Characters has a positive effect on a precariousness of operation management. but That has no effect on a precariousness of general management. Second, Consign management and User non-cooper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LISMB on S.P' Characters and general management. Third, Old version system, User non-cooperation and Unskilled in equipment new system has a partly mediating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LISMB on S.P' Characters and operation management. Conclusion : Smart-phon Prevalence rates keeps increasing. Nevertheless, LISMB on S.P' Characters may no be used in Container transportation market. This problem are being blamed for hampering corporate activities and harbor logistics industry development. so we need new way to solve that problem.

  • PDF

추적 가능성을 위한 스마트카드 기반의 개선된 사용자 익명성 인증기법 (Improved User Anonymity Authentication Scheme using Smart Card for Traceability)

  • 박미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83-91
    • /
    • 2012
  • 사용자 익명성 제공 인증기법은 Das 등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되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 익명성 기법들은 통신 채널상의 외부공격에 대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 공격에 의한 개인정보 노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외부공격에 대한 사용자 익명성뿐만 아니라 서버에 대한 사용자 익명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인증기법을 제안한다. 더욱이 제안 인증기법은 원격 서버가 악의적인 사용자를 추적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패스워드 오입력시의 취약점을 개선하여 원격 서버의 계산로드가 증가하는 문제도 함께 해결한다.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사례 분석과 적용 가능성 탐색 (Living Lab as User-Driven Innovation Model: Case Analysis and Applicability)

  • 성지은;송위진;박인용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09-333
    • /
    • 2014
  • 새로운 혁신활동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혁신의 사회적 맥락과 사용자의 잠재적 니즈를 파악하여 기술과 사회를 동시에 구성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사용자 경험 활용, 사회 기술기획 등으로 표현되는 '수요 구체화'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야 새로운 궤적을 형성하는 탈추격 혁신을 수행할 수 있고 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빙랩(Living Lab)은 사용자가 혁신활동에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 모델로서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주도형 혁신모델로서 리빙랩의 이론적 논의와 주요 사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리빙랩은 특정 공간 또는 지역에서 최종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해 문제를 해결하는 개방형 혁신모델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력을 증대함과 동시에 새로운 사회 기술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선구적 활동이다. 더 나아가 리빙랩은 탈추격 혁신, 수요지향적 혁신, 지역혁신,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 생태계 형성 지원, 사회 기술시스템 전환 등 최근에 등장하고 있는 혁신정책의 패러다임 변화를 반영한 정책 수단으로서 우리 사회의 변화를 탐색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화장장 이용자의 시설요구에 관한 연구 (User Demand on the Crematorium Facilities)

  • 민병욱;이행열;이재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122-130
    • /
    • 1999
  • The main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improve the funeral and grave culture which has brought about many social problems, and to fix the crematory culture as the future funeral ceremony in our country. In this study, we first investigated the actual condition of cremation culture. Second, we survey three representative crematorium as an object of study and investigated similar sample buildings in Japan, we analyzed the problem of existing crematorium. Finally, we arranged the basics to approach the space program and design criteria of this project. 1. The entrance of vehicles has been commonly concentrated to the opening time of crematorium. therefore, Peak time has come out as circulation of cremation and waiting time is increasing, also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congestion normally. 2. The whole problem of crematorium is poor environment, inferior buildings, noise, unsatisfactory ventilation and privacy, insufficient convenience facilities. 3. The user demand on the crematorium facilities is a private family room for waiting area, a farewell room for family members in a direct line, an outdoor rest area, and the various service facilities, and so on. 4. For improvement of the funeral and grave culture, it is necessary that crematorium is not a hatred facilities, as the conversion of consciousness, and to new shape of charnel as it wore family tomb.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