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Records

검색결과 1,580건 처리시간 0.025초

On Schmarda's lost earthworm and some newly found New Zealand species (Oligochaeta: Megadrilacea: Lumbricidae, Acanthodrilidae, Octochaetidae, & Megascolecidae s. stricto)

  • Blakemore, Robert J.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05-132
    • /
    • 2012
  • The saga of Megascolides orthostichon (Schmarda, 1861)-the first native worm described from Australasia-continues as its type-locality is unequivocally returned from Hobart, Tasmania to Mt Wellington, Auckland where a brief survey failed to unearth it. Since it has not been seen for 150 yrs, it may qualify under NZTCS or IUCN classification as 'Nationally Critical' if not 'Extinct'. New reports are for exotic Megascolecidae Anisochaeta kiwi sp. nov. and A. kiwi mihi sub-sp. nov. plus addition to the NZ faunal list of Australian Anisochaeta macleayi (Fletcher, 1889) that, due to its wide distribution in Australia and now New Zealand, may be a candidate model-species suitably resilient for eco-toxicological culture and monitoring. For holarctic Lumbricidae, new records are of Dendrobaena attemsi (Michaelsen, 1903) and the Murchieona muldali (Omodeo, 1956) morph or subspecies of M. minuscula (Rosa, 1906), neither lumbricid previously uncovered in Asia/Australasia. Also found for the first time outside its East Asian homeland is Eisenia japonica (Michaelsen, 1892) (which is compared to Japanese E. japonica hiramoto sub-sp. nov. and to E. anzac Blakemore, 2011). Records of these exotics plus recent new native species described by the author-including two, Rhododrilus mangamingi and Deinodrilus orcus spp. novae, herein-raise the numbers of megadriles known from New Zealand to 228 (sub-)species in five families. Preliminary mtDNA COI sequence barcodes are presented. Genus Tokea Benham, 1904 is revived on its lack of dorsal pores, losing or gaining some species with Megascolides M'Coy, 1878. An updated checklist of all 228 New Zealand taxa is appended.

호주의 레코드키핑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Recordkeeping System in Australia)

  • 이영숙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76-90
    • /
    • 2004
  • 기록되는 정보가 축적되어 다양한 지식이 되고, 이를 원하는 사람에게 제공하는 전 과정이 기록관리이다. 호주의 기록관리 절차에 대한 정형화 및 표준화에 대하여 시드니 주립기록보존소(Sydney Records Center) 및 연방기록보존소를 포함한 각계각층의 사람들이 모여 개발한 기록관리 지침이 호주기록관리(Australian Standard Records Management, 이하 AS 4390이라 한다)이다. AS 4390을 기초로 하여 국제 기록관리 표준(ISO 15489)이 만들어졌다. 이 논문은 AS 4390을 모태로 하여 호주에서 활발하게 진행 중인 레코드키핑 시스템의 정의, 체제, 설계 및 실행지침, 메타데이터 항목개발 프로젝트 동향을 소개하면서, 아울러 호주 기록관리의 현안 사항인 시드니 주립기록보존소의 타뷰렘(Tabularium), 캔버라 연방기록보존소의 소장기록물 데이터베이스시스템인 CRS(Commonwealth Records Series) 및 호주정부 정보소재서비스(Australian Government Locator Service)등 각 시스템을 연동시키기 위하여 표준화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는 2005년부터 <공공기관의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에 의하여 의무적으로 자료관시스템과 전문관리기관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각 시스템간 자료의 호환성을 갖추기 위해 국제 표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정부 부처별로 수행하는 업무 영역과 하위 업무에 대한 어휘통제용어사전을 하루바삐 만들어 자료 검색 시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일본의 기록관리 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 - 공문서관리위원회의 활동과 국립공문서관의 확충 노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form of Records and Archives Management System in Japan)

  • 이경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69-191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2009년 "공문서등 관리에 관한 법률"의 제정 공포를 계기로 지금까지 진행되고 있는 일본 기록관리 제도 개혁의 추진 동력과 주요 내용을 고찰하려는 것이다. 일본 기록관리 제도 개혁의 '핵심 기재'로는 공문서관리법의 목적과 취지를 각 행정기관에 실효성 있게 적용시키는 법령의 체제, 즉 '법령=>가이드라인=>각 행정기관의 문서관리규칙'으로 이어지는 '다층 구조', 그리고 법령의 '법적 준수' 관련 규정과 이러한 규정들의 철저한 시행을 담보하는 심의 기구로서의 공문서관리위원회임을 확인하였다. 제도 개혁의 주요 내용으로는 공문서 관리위원회의 "行政文書の管理に關するガイドライン"(가이드라인)의 개정을 통한 동일본대진재 관련 기관들의 대책회의 기록의 의무 작성과 각료들이 참석하는 각종 중요 회의 기록의 의무 작성 사례를 대표적인 것으로 소개하였다. 또한 '國立公文書館の機能 施設の在り方に關する調査檢討會議'(조사검토회의) 활동을 통해 집권 여당의원들을 적극적인 지원하에 추진되는 '새로운 국립공문서관' 건설 관련 상황과 그 의미를 확인하였다.

『언해랍약증치방(諺解臘藥症治方)』의 납약에 대한 고찰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과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escrptions as Napyak of Eonhaenapyakjeongchibang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Daily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Jonseon Dynasty.-)

  • 연지혜;김정민;금가정;장아령;김상찬;송지청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71-181
    • /
    • 2018
  • Objective : Napyak has known as the herbal medicine, tha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bestowed on the royal officers around the last day of the each year. There are several researches on Napyak but those are focused the meaning itself, bibliographical studies on Unhaenapyakjeungchibang(which is the text related to Napyak), system in Joseon dynasty related to Napyak and so on. This articles is subject to research the real usage and medical meaning thrugh record of Joseon dynasty Method : Prescriptions of Unhaenapyakjeungchibang were browsed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and compared the main disease of prescriptions with the records above. Result : The main disease of prescriptions were corresponded with real usage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except a few cases. And the new meaning of Napyak could be defined as the herbal medicine, that kings of the Joseon dynasty bestowed on the royal officers and all people to cure emergent disease around the last day of the each year. Conclusion : This research is for focusing the real usage of the Napyak thrugh Unhaenapyakjeungchibang prescription but this research is for the medical records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Records of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Hereafter, the medical records researches could be conducted by real usage of prescriptions.

공공기록관리분야의 빅데이터 활용 방법과 시사점 제안 (Big Data Utilization and Policy Suggestions in Public Records Management)

  • 홍덕용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기록관리는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업무환경이 급변하고 정부의 규모와 여러 기능들이 확대되면서 행정업무에서 발생하는 기록과 그에 따른 데이터 생산량이 대폭 증가함에 따라 관리에 대한 중요도가 커졌다. 빅데이터의 특성을 가진 공공기록물의 개념과 빅데이터 특징을 연계하여 사례로 설명한다. 빅데이터 발생 환경에 따른 사회적, 기술적, 환경적, 경제적, 정치적 영역으로 살펴보기 위해 'STEEP'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공기록관리분야에서 빅데이터 기술 적용 적절함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활용이 가능한 업무 분석을 통해 공공기록관리 업무의 최우선 적용 가능한 프레임워크를 도식하고 업무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공공기록관리 절차와 표준에 '분석' 단계를 넣고 기록관과 기록물관리전문요원들에 의해 빅데이터 분석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신규 조직과 추가연구와 시도가 필요하다. 둘째, 많은 양의 데이터 속에 비구조화 되어있고 숨겨져 있는 패턴을 발견할 수 있도록 통합적 사고와 관련이 있는 '빅데이터 분석 자격'을 갖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을 양성하여야 한다. 셋째, 공공기록분야에 빅데이터기술과 인공지능을 결합하여 자가 학습 시킨 후, 맥락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사회 현상과 환경을 분석하고 예측 되도록 하여야 한다.

Genetic parameters for milk yield in imported Jersey and Jersey-Friesian cows using daily milk records in Sri Lanka

  • Samaraweera, Amali Malshani;Boerner, Vinzent;Cyril, Hewa Waduge;Werf, Julius van der;Hermesch, Susanne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1호
    • /
    • pp.1741-1754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genetic parameters for milk yield traits using daily milk yield records from parlour data generated in an intensively managed commercial dairy farm with Jersey and Jersey-Friesian cows in Sri Lanka. Methods: Genetic parameters were estimated for first and second lactation predicted and realized 305-day milk yield using univariate animal models. Genetic parameters were also estimated for total milk yield for each 30-day intervals of the first lactation using univariate animal models and for daily milk yield using random regression models fitting second-order Legendre polynomials and assuming heterogeneous residual variances. Breeding values for predicted 305-day milk yield were estimated using an animal model. Results: For the first lactation, the heritability of predicted 305-day milk yield in Jersey cows (0.08±0.03) was higher than that of Jersey-Friesian cows (0.02±0.01). The second lactation heritability estimates were similar to that of first lactation. The repeatability of the daily milk records was 0.28±0.01 and the heritability ranged from 0.002±0.05 to 0.19±0.02 depending on day of milk.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between the bull estimated breeding values (EBVs) in Australia and bull EBVs in Sri Lanka for 305-day milk yield were 0.39 in Jersey cows and -0.35 in Jersey-Friesian cows. Conclusion: The heritabilities estimated for milk yield in Jersey and Jersey-Friesian cows in Sri Lanka were low, and were associated with low additive genetic variances for the traits. Sire differences in Australia were not expressed in the tropical low-country of Sri Lanka. Therefore, genetic progress achieved by importing genetic material from Australia can be expected to be slow. This emphasizes the need for a within-country evaluation of bulls to produce locally adapted dairy cows.

한국의 기록물 둥록 및 기술에 대한 기록관리적 접근 (Registration and Description of Public Records in Korea : A Comparative Analysis of Korean Recordskeeping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 시귀선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9-92
    • /
    • 2003
  • 기록물의 등록과 기술은 기록물의 생산배경과 업무행위 관련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그 이용을 가능하게 하고 검색을 편리하게 하는 데 있어 중요한 항목이다. 전자문서체제에서는 기록물이 일정기간 생산기관에서 활용되다가, 준활용단계가 되거나 비활용단계가 되어 기록물을 처리할 때에도 등록시 입력되었던 data 요소들이 그대로 활용되기 때문에, 전자기록체제 하에서 기록물의 등록사항은 과거 어느 때보다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의 기록물 등록 및 기술사항을 국제표준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우선 등록부분에서는 기본등록단계에 내용기술을 넣어, 첨부여부 쪽수 결재사항 등을 기술하도록 하고, 각기 항목으로 되어 있는 첨부번호, 결재권자, 확인란 등은 생략한다. 세부등록단계에서는 발송방법, 발송등록 분류등록 전체 수정, 특수목록 등을 생략하되, 등록할 필요가 있는 것은 내용기술에서 서술한다. 다음으로 체제 판본 문서링크 적요 등 기록물의 구조와 등록된 체제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정보 즉 생산맥락 및 링크 등을 등록항목에 넣도록 한다. 기술부분에서는 우선 다층기술을 채택하되, 퐁과 시리즈 계층의 기술을 도입한다. 국제표준정리기술규칙인 ISAD(G)와 ISAAR(CPF)를 적용하여 전거통제 정보 및 비고영역과 마찬가지로 체계와 구조에 관한 정보, 예컨대 기록물의 범위 및 내용, 기술단위의 한도 및 매체, 행정 기관연혁 검색도구 등과 아키비스트의 주기 및 기록물 이력 기록물처리 기록(Documentation)을 기술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표준을 마련하되, 전자기록물 관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항목들을 편입한다. 또한 제안된 사항을 실행하기 위해 법령개정이나 통합적으로 자동화도니 영구보존기록물관리 시스템을 조정하며, 등록과 기술을 수행할 훈련받은 전문인을 배치한다.

New Species and New Records of Buellia (Lichenized Ascomycetes) from Jeju Province, South Korea

  • Wang, Xin Yu;Liu, Dong;Lokos, Laszlo;Kondratyuk, Sergey Y.;Oh, Soon-Ok;Park, Jung Shin;Hur, Jae-Seoun
    • Mycobiology
    • /
    • 제44권1호
    • /
    • pp.14-20
    • /
    • 2016
  • A new species and 2 new records of lichen genus Buellia were discovered from Chuja-do Island in Jeju Province during a recent floristic survey: B. chujana X. Y. Wang, S. Y. Kondr., L. $L\ddot{o}k\ddot{o}s$ & J.-S. Hur sp. nov., B. halonia (Ach.) Tuck., and B. mamillana (Tuck.) W. A. Weber. The new species is characterized by a brown, areolate thallus, the presence of perlatolic acid, and a saxicolous habitat. Together with previously recorded species, 10 Buellia species were confirmed from Jeju-do Island. Among these species, 3 growing in the exposed rocky area contained xanthone (yellowish lichen thallus, UV + orange), indicating that production of xanthone in this genus might be a defense strategy against the harm of UV light. Although the genus Buellia has been thoroughly studied in Korea before, novel species have been discovered continuously, and large species diversity has been found in this crustose genus, even from a small rocky island.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coastal area harbors a vast number of crustose lichen species, and there is great potential to discover unknown lichens in the coastal rocky area in Korea.

미디어에 있어서의 자막기록의 의미와 전달성 - 공중파방송과 비디오 아트에서의 자막기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meaning and delivery of caption recording in mass media - On the function of caption recording TV mass media and video art -)

  • 이지영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8-96
    • /
    • 2003
  • 오늘날 미디어는 우리의 일상을 혁신하고 우리의 삶을 변혁시키는 위력을 갖게 되었다. 뉴미디어는 마샬 맥루한 (Marshall MacLuhan)의 말처럼 새로운 언어이며, 우리를 실재의 세계와 연결시켜주는 수단이며 또 그 자체가 실재의 세계이기도 하다. 이러한 뉴미디어의 세계에서 문자의 출현은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되었다. 미디어의 세계에 있어서 문자의 출현은 과거 무성시대 말기로부터 시작된 내용의 의미전달을 위한 자막의 역할을 뛰어 넘어 화면의 구성적 요소로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러한 구성적 요소로서의 자막 혹은 문자의 출현은 미학적 요소, 오락적 요소, 재현적 요소, 부언적 가치전도의 요소, 설명적 요소 등의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과거 자막에서 보여주던 번역적 요소마저도 뉴미디어의 세계에서는 새로운 양식으로 탈바꿈하면서 계속전진을 계속하고 있다. 의미 전달을 위해서 영상 속의 문자는 의미론적인 입장에서의 변화나 연구가 계속될 뿐만 아니라 그 글꼴 등에서도 많은 변화와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글꼴의 디자인은 미디어세계의 새로운 미학적 발상이며, 글꼴의 양식은 미디어 화면의 또 다른 생명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글꼴이 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東海産 Artotrogidae科의 橈脚類 (copepoda of Artotrogidae (Siphonostonatoida) from the Sea of Japan)

  • 김일회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2권4호
    • /
    • pp.397-466
    • /
    • 1996
  • 동해안에서 잡힌 Artotrogidae과의 요각류 17종을 기록하였다. 이들은 Artotrogus 속의 4신종, Bradypontius속의 3신종, Cryptopontius속의 4신종, Myzopontius 속의 1신종 1미기록종, Pteropontius속의 1신종 1미기록종, 1신속에 속하는 2신종이다. 두 미기록종은 Myzopontius pungens Giesbrecht와 Pteropontius decorus Ho이다. 이들 17종은 태형동물 2종, 멍게 1종, 해초, 그리고 항구에 가라낮아 있던 폐그물로부터 채집된 것들이다. Artotrogus속의 분류에 대해서도 재검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