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Hanok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2초

공업화 목조 건축 활성화를 위한 건물정보모델링(BIM) 적용방안 -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신한옥 보급 저해요인 감축 전략 제안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for the Activation of Industrialized Wooden Buildings - Focused on the Proposal of Reduction Strategies for Inhibiting Factors of the Spread of New Hanok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

  • 박우장;박준영;정상규
    • KIEAE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113-118
    • /
    • 2017
  • Purpose: This study amis at propos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BIM techniques to promote the spread of industrialized wooden buildings for implementation of sustainable architecture. Method: We employed social network analysis (SNA) technique to identify the mutual influences among factors that hinder popularization of new Hanok as the industrialized wooden building. Four strategies were established to reduce the factors with serious influences on each category and stakeholder using BIM techniques. Result: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problems occurred in spreading new Hanoks can be reduced by changing the influence structure of social network according to the proposed strategies.

유진경 가옥(현 북촌문화센터)의 원형과 궁궐요소 차용 (A Study on the Original Form and Architectural Elements in the Palace of Yu, Jin gyeong's Hanok)

  • 박상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23권5호
    • /
    • pp.7-22
    • /
    • 2014
  • It is identified that an initial person who built of 'Seoul Gyedong Modernized Hanok(former Min Hyeong-gi house)' used as 'Bukchon Culture Center' in present, was not Min Hyeong-gi, but his wife, Yu Jin-gyeong, and she built it when 8 years went on after his death(1879~1973), and the construction year was at the gate of Chuseok in 1921. Yu Jin-gyeong was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in family of Yeo Heung-min who was an influential person at the late Joseon Dynasty and was widow who had only son for 3 generations. And she built this house and moved to gain daughter and live futher grandchilds together in law in new nest. It is arranged that an annex surrounds with main building as the central figure. And this house emulates Yeonkeong-dang in backyard of the Changdeok Palace for 'preservation of main building' and Chim-bang-ga-toe applied on a bedroom in a palace is applied around nobleman family's the main room. It is rare case and expresses that a palace factor is borrowed. Yu Jin-gyeong's house is that a tradition Hanok is adjusted closely in city and central and basing mode as 'protective bedding' and building concept as 'a noble and protective architecture' is realized. So it has a character that development of Hangrang architecture is appeared and Head Family's Eldest Daughter-in-law widow of modern upper class had a special benefit. As well as, a meaning that it is experimental house based on tradition and is build of Hanok with housekeeping as the central figure for appear a form which has minimal Hangrang for housekeeping in yangban family of modern city, can be found.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 (Study of apartment plan technology adopting structural element of Hanok)

  • 박경현;노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66-6371
    • /
    • 2014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기존의 장식적인 요소로서의 한옥 특성들을 구조적인 측면으로 분석하여 규칙을 제안하고 이를 공동주택의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선이 미적으로 분석되었다면 이를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지붕처마를 해석하였으며, 대청마루와 쪽마루, 툇마루의 각 방에 대한 비율을 현대 공동주택의 평면비율과 비교하였으며, 전통 기둥의 안쏠림과 귓기둥 솟음을 안정감과 착시효과 개선 방안이 아닌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지붕구조하중과 연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평면을 제시하였으며, 기존의 평면이 가지고 있는 단점들을 극복하여, 도시미관상의 효과와 더불어 각 세대의 채광, 환기, 통풍을 개선하고 한옥의 안마당 요소를 접목하여 보다 진화된 평면을 제안하였다.

전라남도 농촌한옥의 규모특성에 관한 연구 -평면 형태에 따른 실별 면적을 중심으로- (A Research on features of rural Hanok in Jeollanam-do by housing scale -Centered around area of the room depending on shape of the plan-)

  • 최일;이창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1-88
    • /
    • 2013
  • The recently built rural Hanoks have shown changes in appearances regarding its shape, space and size in the traditional floor plan. This is probably the transformation process to suit the needs of modern residence as new spaces and other factors are considered these day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innovation and construction of future Hankoks by analyzing the size features of the Hanoks in the rural areas of Jeeollanam-do and changing trends. They were divided into 5 types depending on the shape and the spacing of the living room and kitchen. Then size features per each type were analyzed. From this, it was revealed that there needs to be reasonable development of types in the standard design of Hanok because the size of the rooms is actually bigger than the standard design of Hanok in Jeollanam-do. The composition of the utility rooms should be classified as either domestic space or agricultural workspace considering that this area is rural but there are not enough storage spaces for agricultural machines and materials in most houses as they did not install external storage spaces. Therefore, it was analyzed that the size varies with the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space because of Hankok's similarities in the area of the rooms with typical apartments.

식품접객업 인허가 추이 및 입지패턴 변화 분석을 통한 지역별 젠트리피케이션 전개 특성 연구 - 경복궁서측, 익선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rogression Characteristics of Gentrification by Region through Analyzing the Change of Permit and Location Patterns of the Food Service Businesses - Focused On the District Unit Planning Areas of Seochon, Ikseon -)

  • 김수영;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111-12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iming of Gentrification by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licensing data for food service businesses under the correlation with regional policies and system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hange in location patterns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in the district unit plan zones, the cause, development patterns and regional differences were identified. Starting with the Seoul hanok declaration in 2008, the approval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began to increase, and the floating population increas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Suseong Valley in 2012, and the concentration of food service busines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waterway (Jahamun-ro 7-gil). Since the designation of Ikseon-dong as an urban environment readjustment zone in 2004, the approval of new food service business has been very low until around 2014, when the cooperative establishment committee is dissolved, and as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preservation of hanok and regional management is being established, the number of new permits has exploded to date and restaurants in hanok conservation zones has been active.

온톨로지를 활용한 신한옥 시공기술정보의 체계적 관리 방안 (Ontology-based Information Management for the Systematization of Modernized Hanok Construction Data)

  • 이희우;문경필;정영수;이윤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51-60
    • /
    • 2023
  • 본 논문은 온톨로지를 이용한 건설정보의 체계적인 관리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설계자와 시공자가 필요로 하는 공법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정보는 10년간의 신한옥 기술 개발의 결과물인 실증 시공 사례이다. 개발된 신한옥의 신공법은 온톨로지 에디터인 Protege를 이용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 대한 고찰을 통해 온톨로지 개념과 온톨로지 구축 과정을 정리하였다. 또한 신한옥 시공법 도메인 온톨로지를 구성하기 위한 개념도를 제안하였고, Protege의 SPARQL Query 기능을 이용하여 제안된 온톨로지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의된 클래스와 시공법 메타데이터를 OWL을 사용하여 웹에 발행하였다.

한옥의 경사처마와 이중바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lined balcony and double deck structure of Korean traditional housing)

  • 노영숙;김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408-8415
    • /
    • 2015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적용 가능한 한옥구조 평면기술에 관한 연구로서, 한옥의 특징들을 구조적, 기능적 측면으로 분석하여 이를 공동주택 평면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존 지붕처마 각도를 중심으로 하지, 동지의 남중고도를 반영한 실내 일사깊이를 계산하여 효율적인 슬래브 경사 및 층고를 갖는 경사발코니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는 해당 슬래브 하부층에 적용되는 것으로 기존의 단층적인 한옥의 한계를 극복하여 모든 층의 동일한 일사량 및 전망권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한옥의 정원개념을 수직공동주택에 적용가능하게 해준다. 전통 한옥의 처마 내밀기와 귀솟음을 응용한 경사발코니의 각도는 30o도 내외가 적당하고, 층고는 $4.5{\pm}0.25m$가 경제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존 한옥의 뜬 바닥 구조를 분석하여 소음, 진동, 온도 전달에 관련된 원리들을 공동 주택 평면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선안을 모색하였으며 기존 공동주택과 달리 복층바닥구조는 단일슬래브에 비하여 바닥충격음 66%정도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바닥구조는 주택 평면에서 사라지고 있는 수직적 공간(다락 및 하부저장공간)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내.외부 공간관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한 신한옥형 공공건축물을 위한 디자인 요소 기초연구 - 서울, 전라도, 경상도를 중심으로 - (Basic Study of new Hanok Style Public Buidings Design Trend Analysis - Focused on Seoul Jeolla-do Gyeongsang-do Region -)

  • 박민영;이현수;임수영
    • KIEAE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111-116
    • /
    • 2014
  • Han-ok has been forgotten by rapid industrialization, however, recent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eco friendly architecture are increasing. Government is also processing various policies and research in Han-ok for historical reasons. Still Han-ok is considered as temporary discover stage not daily space. Moreover, previous weakness of Han-ok made it difficult to supply. There is a need to build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different from traditional or new Han-ok for revitalization of Han-ok. Moreover, development of new Han-ok style public buildings model are needed for the public which include updated concept and function. From public buildings model development and supply people can visit and explore Han-ok. Therefore Han-ok tradition can be modernized. In addition to this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mode of living can be developed and conserved. This research focuses on public buildings of Han-ok supplication and aims design elements and regional trend.

서울 북촌(北村)의 역사경관보전정책 변천에 따른 건축물 변화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Building appearances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ies and urban fabric in Bukchon of Seoul, since 1980's)

  • 송인호;김영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15권3호
    • /
    • pp.99-118
    • /
    • 2006
  • We have focused on the building appearanc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y and urban fabric in Bukchon, Seoul. The Urban Hanok, urban traditional housing type, had been evolved in modern contort from 1920's to 1960's, that is to say, many buildings(Urban Hanok) in Bukchon area has built up with a lot and road at the same time. But the change of conservation policy has an effect on the urban fabric and building(wooden structure, RC and brick building). Thus many types of building in Bukchon has undergone a various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a change factor of Bukchon buildings. Thus we need to pay attention to policy and urban fabric. We reached the result as follows. First, the change of architecture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several policies(an aesthetic area, an altitude area for sky line restriction and so on) brought into building deformation and eventually the historic scenery of Bukchon has been spoiled. Second, the change of policy had an effect on the change of roads and lots. Buildings on a widen road and a united lot was built newly. But new buildings built up with a concrete or brick structure was not in harmony with the historic scenery of Bukchon area. Third, a development method of a large lot with lack prudence(disregarded a scale and size of lot) did damage to Urban hanok and urban fabric. With the understanding on the relationship of buildings, a urban fabric and a policy in Bukchon, we can define the identity and correspond with the urgent request for a the conservation of historic urban scenery In addition we can suggest the policy and the design guidelines for the reservation and rehabilitation for Bukchon, Seoul.

  • PDF

역사문화도시 공주의 고도담장정비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ncient City Wall Renewal in Gongju, a Historic Cultural City)

  • 온형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254-269
    • /
    • 2020
  • 본 연구는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의 하나인 담장에 대한 이론과 담장 디자인 선행 연구를 통하여 고도에서의 담장에 어울리는 담장 정비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선행 연구를 유목화하고, 담장 디자인 이론을 고찰한 후, 고도 지정 지구의 의의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고도담장정비 사례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여러 특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담장의 선행 연구는 담장의 성격 분석, 담장 디자인 원리 응용, 담장 구조·색채와 형태 및 응용, 현대적 재해석, 궁궐 담장, 주택·사찰·마을의 담장 등 6개 항목으로 유목화되었다. 담장은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 중 가로경관개선 사업에 해당하며 시지각적 인지도가 내부 건축물보다 선경험으로 제공되는 특성이 있다. 고도담장정비 사례 대상지는 고도별 특별보존지구와 보존육성지구의 구성 분포 비율을 기준으로 무령왕릉과 인접한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을 선정하였다. 공주시 송산리길 주변 마을의 '고도 이미지 찾기 사업'은 한옥 신축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담장 정비는 한옥 신축과 동시에 시행된 게 아니었다. 가로변 건축물 외관 정비 사업으로 추후에 지원과 정비가 이루어진 것이다. 한옥과 담장이 동시에 설계되어 심의 후 신축되었다면 한옥의 규모 및 디자인과 조화를 이루는 담장이 되었을 것이지만 서로 기간을 두고 신청, 설계, 시공되었기에 한옥의 처마와 담장이 대지 경계선에 거의 맞닿아 있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공간적으로 가깝고 높은 한옥 본채와 담장의 배치는 답답하게 닫혀 있는 구조물로 인식된다. 송산리길의 담장 디자인은 고도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형태와 색상과 재료로 차분하고 은은하며 안온한 분위기를 자아내야 하는데, 날카롭고 옹색하여 난처한 지경에 놓여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려면 담장 설계 디자인을 먼저 고려한 후, 한옥 본채 설계 디자인을 후순위로 진행하는 방안의 도입도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 사례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담장 지원 사업의 문제 요인은 전통 담장이 가져야 할 미적 요건에 상당히 부족하다. 첫째, 담장의 자연 재료 선정 및 활용에서 미적 의식이 실종되었다는 것이다. 둘째, 디자인 완성도와 조화의 부재이다. 조사 대상지인 공주시 송산리길 고도담장정비의 문제 요인을 분석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옥 설계와 담장·대문 시공 설계 도면을 함께 심의해야 한다. 둘째, 한옥 담장 디자인의 자연석 돌담 일변도를 재검토 진단하여야 한다. 셋째, 계획·설계 과정에 주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조정하는 상시 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넷째, 한옥의 개별성을 집단화하여 지역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문화 자산으로 가치를 높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