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Brand

검색결과 1,066건 처리시간 0.029초

Can Brand Affinity Outperform Political Parties' Rejection When Nominating Celebrity Politicians in a Post-Rebellion Multi-Party Context?

  • Maya A. BouNassif;Alaaeldin Abbass;Amal El Kurdi
    • Asian Journal for Public Opinion Research
    • /
    • 제11권2호
    • /
    • pp.107-144
    • /
    • 2023
  • In competitive political contexts, sustaining power is the ultimate goal for political parties. Nominating celebrity politicians can be a double-edged sword for parent brands in attracting votes and influencing voting inten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affinity towards celebrity politicians. It considers celebrities' cognitive perceived benefits and voting intention relationship in a multiparty parliamentarian election.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a stratified proportional random sampling technique in fifteen Lebanese districts ensured a representative sample. One thousand two hundred sixty-nine responses were found eligible for analysis. Findings indicate that brand affinity positively moderates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benefits and voting intention. This study offers a new understanding of celebrity politicians' implementation strategy and campaign management and considers the contribution of the affective intelligence theory. It provides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promising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elebrity politicians.

컬러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이미지 일치성의 조절효과를 고려하여 (The Effect of Color Incongruity on Brand Attitude: Moderating Effect of Self-Image Congruence)

  • 이상은;김상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1권4호
    • /
    • pp.69-93
    • /
    • 2010
  • 본 연구는 통합적 브랜드 관리에 있어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가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소비자 자아 일치성이 이 영향에 조절적 효과를 가져 온다는 가정을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매체는 컬러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시각적 영향이 부각되는 매체로 제한하였으며, 컬러 이외의 시각적 요인은 일관되도록 하였고, 브랜드에 대한 친숙도가 낮은 브랜드, 브랜드에 대한 이전의 지식이 없는 브랜드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는 매체 간 컬러의 불일치에 따른 브랜드 태도는 컬러의 일관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소비자의 자아일치가 낮은 경우에 높은 경우보다 태도의 변화가 높게 나타나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다. 이 결과는 브랜드의 관리적 요소로서 브랜드 표현, 즉 시각적 요인 중 컬러를 통하여 브랜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긍정적인 브랜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브랜드 관리자의 직관에 의지하던 브랜드 표현의 일관성과 다양성의 수준이 일반적 의식보다 더 폭넓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증명하고, 이전의 연구에서 성숙브랜드(mature brand)를 리포지셔닝 repositioning)하는 전략으로만 연구되었던 불일치를 신생 브랜드의 인지를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그 범위를 확장시켰다고 할 수 있다.

  • PDF

브랜드 선호에 따라 제휴 로열티 프로그램 가입이 가맹점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ining Coalition Loyalty Program : How the Brand affects Brand Loyalty Based on Brand Preference)

  • 이진화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7권1호
    • /
    • pp.87-115
    • /
    • 2012
  • 제휴 로열티 프로그램(coalition loyalty program; 이하 CLP라고 한다)이란 하나의 로열티 프로그램 안에 다수의 제휴 기업들이 참여하며, 이들과 독립된 (로열티 프로그램 운영)기업이 관리하는 로열티 프로그램으로 정의된다(Blattberg 등 2008).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브랜드에 대한 사전 선호 수준에 따라, CLP가 고객 충성도를 증가시키는 원인과 제휴 네트워크 안의 주체 간 인식의 전이에 차이가 있을 것임을 밝히는 데에 있다. 고객 충성도의 동기는 전환장벽(switching barrier) 관점(Balabanis 등 2006; Colgate와 Lang 2001; Jones 등 2000)에 따라 자발적인 이유(브랜드 매력도)와 비자발적 이유 (브랜드 전환비용)로 설명하였다. CLP안에서 브랜드(비선호)-CLP-브랜드(선호)간 전이효과(spillover effect)는 인지적 일관성(Aaker과 Keller 1990; Hamilton 등 1989)과 정보 통합 이론(Anderson 1981; Simon과 Ruth 1998)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세 가지로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 첫째, 브랜드에 대한 사전 태도에 따라 정보처리 경향이 달라진다는 소비자 행동 연구의 견해를 CLP 제휴 상황에서 검증하였다. 고객은 브랜드 선호가 높을수록 자발적 동기를 강화하고, 반대의 경우 비자발적 동기를 강화한다. 둘째, 브랜드에 대한 사전 태도가 해당 브랜드와 연관된 주체 간 인식 전이에 긍정적 조절효과를 함을 검증하였다. 즉 선호 브랜드와 어떤 주체가 연관될 때(비선호 브랜드와 연관된 경우에 비해) 인식의 전이가 더 많이 발생한다. 셋째, 기업이 CLP가입에 대한 전략적 선택을 할 때 마케팅 목적에 따라 고려해야할 사항이 달라진다. 기업의 목적이 충성고객의 유지라면, 로열티 프로그램 자체의 보상 방식과 활용 방식 등이 고려되어야한다. 하지만 목적이 비충성고객의 확보라면, 유명 브랜드의 제휴 여부를 따져야 한다. 또한 기업은 CLP의 효과(브랜드 충성도)에 안주할 것이 아니라 그 원인을 알아야 하는데, 비선호 브랜드처럼 비자발적 동기 강화에 따른 충성도 증가는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견해가 있다(Egans 2001).

  • PDF

브랜드이미지가 구매태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rand Image on the Purchasing Attitude of Customer)

  • 정서란;이진호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1호
    • /
    • pp.59-68
    • /
    • 2005
  • 시대변화에 따라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 결정기준과 제품 공급방법은 끊임없는 변화가 거듭되었다. 디지털기술을 응용한 on-line 시스템이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고 생산과 구매가 동시적으로 일어나는 시장체제가 형성하게 되었다. 그 결과 소비자 중심의 브랜드 구축이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실증조사를 통하여 경제 사회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의식구조를 파악하고, 이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결정 기준을 이해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구매태도를 만족, 선호, 재구입, 추천으로 기준을 설정하고, 이들 4개의 기준에 미칠 수 있는 브랜드 이미지의 요인들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브랜드 이미지의 효율적 형성을 위하여서 생성되는 소비자(고객) 중심의 브랜드 가치는 실증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면 사회생활가치, 정서가치, 개성적가치 수용하여 브랜드이미지에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서 도출된 브랜드 이미지의 공통적 요인으로는 차별성가 고객 중심의 일관성 및 개성적, 감성적 요인들을 부각 시를 수 있는 행태로 브랜드 이미지화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 지향적이고, 소비자에게 인지 연상되는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도록 고객 중심의 브랜드 창출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store image components on consumers purchasing retailer brands in Korea

  • Chung, Lak-Chae;Cho, Young-Sang
    • 유통과학연구
    • /
    • 제9권4호
    • /
    • pp.15-27
    • /
    • 2011
  • Although a huge number of academic researchers have paid considerable attention to exploring both the degree to which store image influences retailer brand customers and how to develop store personality, they have overlooked the contemporary retail context in which retailers have developed many different types of retailer brands, that is, price-oriented or quality-oriented retailer brand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latter, much literature has looked at the former. Accordingly, even though there are many articles related to store image, a few authors have shown their interest in identifying the extent to which store personality affects customers purchasing retailer brands at lower prices. As a result, their efforts have been to illust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 and consumer behaviours buying retailer brands. In that multiple retailers over the world such as E-Mart, Lotte-Mart, Tesco Korea and Tesco UK have actively introduced not only the quality-focused retailer brands that quality is better than, or equal to national brands, and prices are slightly higher than, or equal to them, but also price-focused retailer brands, academicians should make an effort to investigate how store image affects customers purchasing a quality-oriented retailer brand, comparing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That is why the authors illustrate the extent to which store personality components influence retailer brand customers, including particularly quality-oriented retailer brand customers through an empirical research. By adopting a questionnaire method as a research technique to illumi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 components and retailer brand customers, research validity increases and further, data gathered through a field survey are analysed through a few statistic analysis methods, in order to minimise statistical deviations. Compared with the prior research concentrated on price-focused retailer brands, the authors have significantly shed light on customer behaviours purchasing retailer brand products with higher quality. When it comes to store personality components,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five items: merchandise attributes, services, physical facilities, promotions, and institutional image, considering the subcomponents mentioned by the previous research. Proposing the conceptual research model which those elements are differently hypothesised, according to retailer brand types: PR (Price-oriented Retailer brand) and QR (Quality-oriented Retailer brand), the research is proceed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e authors found that amongst the five items, only promotion influenced retailer brand customers in the Korean retailing marketplace, unlike other countries explored by many researchers, such as UK. Although much literature emphasises that those el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retailer brand buying proneness, it is completely not fit to the Korean market. Also, research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degree of store image effects on retailer brand customers for academiciansand practitioners. Whether the retailer brand development program that a retailer has carried simultaneously both price-focused and quality-focused retailer brand types is practically profitable should be explored in the future.

  • PDF

이동통신 서비스 브랜드 자산의 결정요인과 HSDPA 사업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The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in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Its Influence on HSDPA Service Provider Choice)

  • 홍승혜;김문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2권8B호
    • /
    • pp.553-562
    • /
    • 2007
  • 성숙기에 접어든 이동통신 시장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는 반면에, 서비스 차별화가 어려워지고 있으며 번호이동성의 도입으로 인해 전환장벽이 완화되면서 사업자간 고객유지 및 확보를 위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HSDPA라는 신규 서비스의 도입으로 세대간 고객전환을 위한 치열한 마케팅 활동이 펼쳐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지속적 경쟁우위를 가져올 원천으로 브랜드 자산의 중요성이 더욱 대두되고 있다. 그런데 선행연구에서는 이동통신 브랜드 자산에 대한 연구가 제한적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특히 CDMA 시장에서 형성된 고객자산이 HSDPA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고객혜택, 가격, 품질, 마케팅 활동을 중심으로 이동통신 서비스의 브랜드 자산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신규 서비스인 HSDPA 서비스 가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의 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다차원 척도기법을 이용한 여성 기성복의 상품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Brand Image of Korea Women's Apparel Market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

  • 황선진
    • 복식
    • /
    • 제15권
    • /
    • pp.253-265
    • /
    • 1990
  •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wo purposes in mind. The first purpose was to introduce clothing and textile community who may not be familiar with Multidimensional Scaling(MDS) with usefulness of the new technique in the area of fashion merchandising. The second purpose was to present the results of an empirical study on brand image utilizing MDS and its related technique as the main analysis tools. The main objective of the empirical study wa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consumer's brand image by relating differences in perception and attributes of clothing in women's ready-to wear market. For this empirical study, the ten brands and the fifteen attributes of clothing were chosen. The questionnaire consisting of questions asking about the similarity and attributes of clothing between selected brands was administrated to 185 career women during summer in 1989. Data were analyzed cluster analysis, and KYST and PROFIT in MD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imilarities data for the ten selected brand by using KYST program of MDS drawed the perceptual map. The results of this perceptual map showed that the selected brand were grouped into three clusters. 2. In order to get a somewhat objective view of which attributes consumers are attributing to each brand, PROFIT program was used. As a result, it was revealed that assortment depth / width, price, youth-oriented style, possibility of various social activity were significant attributes in consumer's brand choice rather than physical attributes of clothing such as quality or durability. This may imply that consumer orientation in rapidly changing environments of women's apparel market was its basic idea, and the focus of all fashion merchandising activities was put on need's and the response of consumer group who are the object of the target. Implicating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for strategy of brand positioning were also suggested.

  • PDF

브랜디드 콘텐츠의 서사 구조 연구 -모바일 음식 배달 어플리케이션을 중심으로 (The Study about Narrative Structure of Branded Contents -Focused on the Mobile Applications for Food Delivery Service)

  • 이영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03-515
    • /
    • 2016
  •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보여주는 다양한 광고를 포괄한 개념이 브랜디드 콘텐츠다. 새로 생겨난 모바일 음식 배달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업체들은 브랜디드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도입기에는 낯선 서비스를 친숙하게 만들고, 정교화기에는 경쟁 업체에 비해 독특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려 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배달통', '배달의 민족', '요기요' 등 가장 대표적인 세 업체의 브랜디드 콘텐츠를 대상으로, 시기별로 달라진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유형을 나누고 구조를 분석하여 그 전략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서사를 표현하는 양식에 따라 각기 다른 정서적 효과를 거두게 됨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브랜드 스토리텔링의 유형 및 구조를 고찰한 연구는 별로 없다. 본문에서는 노드롭 프라이의 서사 유형론을 빌려와, 브랜드가 하는 역할을 가지고 그 유형을 로맨스, 희극, 비극, 아이러니와 풍자로 나누었다. 그리고 이를 세 업체의 브랜디드 콘텐츠에 적용하여 그 유형을 분석하고 시기별로 달라진 전략까지 살펴보았다. 고전적인 로맨스 서사 유형을 넘어 다양한 서사적 유형은 시장 진입 시기를 극복하고 브랜드 포지셔닝을 하는데 효과를 거두고 있다. 본 연구가 앞으로 브랜디드 콘텐츠의 서사 전략을 연구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Operation of Domestic Women's Apparel Fashion Designer - Focusing on Brand type and Fashion Merchandising Process -

  • Lee, Eun-A;Kwon, Hae-Sook
    • 패션비즈니스
    • /
    • 제10권3호
    • /
    • pp.87-99
    • /
    • 2006
  • For comprehending the duties of fashion designer, Sharon(1989) has suggested to look at the procedure how the goods are being produc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task of domestic fashion designer by comparing and analyzing one's work range and performing level in the fashion merchandi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brand types which one is involv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for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5 chief designers of woman's apparel manufactures in Seoul. They were asked to judge if designer's tasks fit to their carry-out operations in the pre-fixed questionnaire which had been done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es and literatures related with fashion merchandising process. The contents of research questionnaire are 11 questions to understan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ompanies and the participated subjects, and 42 questions to understand the designers' operations. For the selection of NB, among 503 domestic female apparel brands that were in 'Korean Textile Fashion yearbook (2002-2003), the companies that were located in Seoul and possible for cooperation by researcher's personal relationship were selected. For DB, cooperation was requested for brands that were located in Seoul among the 137 brands that participates on Domestic Collection. For GB, 50 stores were selected at random or by personal relationship among 32 GB shops such as Freya Town, Doosan Tower, New Zone, and so on. Total 300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the designers, 192 copie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Sceffe test were used using SPSS V. 11 1. The participated fashion designers operated 41 categories of suggested 42 categories in the fashion merchandising process. 2. The ranges and contents of tasks in the fashion merchandising process that fashion designers mainly carry-out are very different according to the brand types and showed much different level of task carry-out. Only in the categories of 'fashion trend information' and 'design ideation', all three brand type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ask performance. And the design related tasks presented common higher level of performance than the other tasks in all brand types. In order to comprehend the operation of fashion designer, various approaching methods are required according to various apparel manufactures' characteristics.

국내(國內) 의류업계(依類業界) 머천다이저의 상품구성(商品構成) 업무(業務)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Merchandise Mix Aspect in the Job of Korean Fashion Merchandisers)

  • 원선혜;정성지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2호
    • /
    • pp.91-101
    • /
    • 2004
  • This research classified fashion merchandisers into different categories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anies they worked for and inquired into their line of work. In so doing, the authors attempted to outline the work for merchandise mix performed by each type of merchandiser and provide some raw data, which can be utilized to enhance their work efficiency. The evaluation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 made on the basis of preceding studies, literature, and trade journals, which was then modified through one on one interviews with fashion merchandisers. The questionnaire contained 15 questions about merchandise mix. For data analysis, SPSS Package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Tukey's test.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spent most time on merchandise planning, then department store buyers, followed by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and lastly buying office merchandisers. 2. In merchandise planning,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did more work overall compared to other merchandisers. In production planning, buying office merchandisers spent more time than any others on searching for new suppliers and decision-making. 3. Production planning took up a greater portion of their work for National brand merchandisers and buying office merchandisers compared to department store buyers and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4. Imported brand merchandisers spent more time on purchase planning and actual purchase compared to any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