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강박장애 환자의 지능과 신경심리검사 소견 (Intelligence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Findings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 김찬형;이성훈;김지웅;이희상;김경희;이홍식
    • 수면정신생리
    • /
    • 제5권2호
    • /
    • pp.194-201
    • /
    • 1998
  • 목적 : 저자들은 강박장애 환자의 대뇌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신경심리검사 바테리를 이용하여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방법 : 강박장애군(12명)과 연령 및 교육을 짝짓기한 정상대조군(17명)에게 신경심리검사 바테리를 시행하였다. 결과 : K-WAIS 검사상 전체지능은 강박장애군 115.2(${\pm}9.9$), 정상대조군 111.8(${\pm}8.4$)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언어성 지능의 경우 강박장애 환자군($118.0{\pm}10.6$)이 정상대조군($110.3{\pm}9.4$)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P=0.049), 동작성 지능은 강박장애군($108.4{\pm}11.7$)이 정상대조군($114.4{\pm}11.2$)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다. 양군간의 소검사 항목점수를 비교하면 tactual performance test의 전체시간에서 강박장애군(15.26분)이 정상대조군(9.56분) 보다 유의하게 길었으며(P=0.028), 양손 수행에서도 강박장애군(0.16)의 수행이 정상대조군(0.38) 보다 유의하게 떨어졌다(P=0.047). 전체적인 Halsted Reitan 손상지수도 강박장애군($3.17{\pm}2.1$)이 정상대조군($1.31{\pm}1.8$)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9). 웨슬러 기억검사의 시각회상에서도 강박장애군($12.3{\pm}1.6$)이 정상대조군($13.4{\pm}0.9$)에 비해 기능이 유의하게 떨어졌다. 결론 : 강박장애 환자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공간구조 인지기능의 장애, 과잉된 언어 및 집중력을 보이고 있고, 이는 강박장애 환자의 언어기능과 공간구조 인식기능의 불균형이 강박장애 환자의 정신병리와연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 강박장애 환자에서 신경 심리 검사상 보이는 이상소견이 강박장애의 특정적인 소견인가, 치료경과에 따라 선경 심리검사상의 이상소견이 영향을 받는가에 대한 연구가 이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손톱 주름 총 시도(叢 視度) (Nailfold Plexus Visibility)와 임상양상, 신경심리 기능과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Nailfold Plexus Visibility, and Clinical Variables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in Schizophrenic Patients)

  • 강대엽;장혜련
    • 생물정신의학
    • /
    • 제9권1호
    • /
    • pp.50-61
    • /
    • 2002
  •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손톱주름 총 시도와 발생연령, 정신 병리, 진행성, 병전 기능, 신경심리 기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DSM-IV의 진단기준에 맞는 정신분열병 환자 40명과 대조군 38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정신분열병 대상군($7.2{\pm}5.3$)과 정상 대조군($3.4{\pm}4.2$)간의 총 시도 점수(PV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t=-3.48, p=0.001), 고도의 PVS비율도 두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x^2$=10.12, p=0.001). 둘째, PVS와 PANSS의 양성증상 및 종합 점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고(각각 r=-0.318, p=0.023 ; r=-0.411, p=0.004), 음성 증상, 일반 정신병리, PANSS 총점과의 상관 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고도의 PVS군은 저도의 PVS군에 비해 PANSS의 양성 증상(t=2.179, p=0.036)과 종합 점수(t=2.379, p=0.022)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넷째, PVS는 신경심리검사에서 지속적 수행검사 중 반응 편향 항목과 역상관관계를 보였을 뿐(r=-0.290, p=0.035), 지능, WCST, 단어 유창성 검사 항목과는 연관성이 없었다. 단지 단어 유창성 검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각 항목과 총 시도 점수 사이에 역 상관관계의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소견들은 총 시도가 정신분열병의 음성 증상의 경향이 있는 환자들과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나, 정신병리에 있어 음성증상 자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지 못했다. 또한 총 시도와 수행기능에 민감한 신경심리검사 소견들과도 연관성을 찾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는 손톱주름 총 시도가 정상인과 비교하여 정신분열병 환자들에서 더 많이 관찰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소견은 일부 정신분열병의 원인에 있어서 기질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다. 향후 정신 생리적, 신경발달학적, 신경심리학적 소견 등과 연관시켜 연구해 본다면 정신분열병의 원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 PDF

뇌의 기능적 국소화를 위한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의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ized Neuropsychological Tests for Functional Localization of Brain)

  • 이성훈;안창범;박혜정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49-157
    • /
    • 1999
  • 정신과 임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산화 신경심리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뇌의 전반적인 인지 기능과 뇌의 기능적 국재화를 평가할 수 있는 14개의 신경심리 검사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시스템은 멀티미디어와 객체 지향 개념에 의해 설계, 구현되었고, 마이크로 소프트 Windows에 기반을 둔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채용하여 운용이 용이하도록 하였다. 또한 마우스와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피검사자로부터 입력을 손쉽게 받아드릴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색채 단어 검사, 범주 검사, 그리고 언어 기억 검사, 언어 지각 검사 등은 한글화하여 검사의 효율성을 향상시켰다. 개발된 시스템을 뇌손상 환자와 정신과 환자에 적용한 결과 그 인지 장애와 뇌의 기능적 국재화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 PDF

발달 신경심리학 (NEUROPSYCHOLOGY IN NEURODEVELOPMENT)

  • 신민섭;김현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33-46
    • /
    • 2005
  • 본고에서는 인간의 뇌 발달과 주의력, 지각, 기억, 언어 등 다양한 인지기능의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Luria의 발달 신경심리 이론 및 그에 입각하여 개발된 아동용 Luria-Nebraska신경심리검사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내, 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의력 검사, 시-지각 검사, 시각-운동 협응 능력 검사, 그리고 전두엽의 집행기능검사 등을 포함한 아동용 신경심리 평가도구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 PDF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환자에서 OROS-Methylphenidate 투여 후 신경심리학적 변화에 대한 개방 연구 (An Open-Label Study of OROS-Methylphenidate for Neuropsychological Chang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국소담;김주영;천근아;정경운;송동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3호
    • /
    • pp.157-163
    • /
    • 2013
  • Objectives :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resulted from a deficit of selective attention and sustained attention.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result of methylphenidate-induced changes of the cerebral frontal execu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ADHD. Methods : The subjec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16 ADHD patients whose age ranged from 7 to 12. We used ADHD Diagnostic System (ADS) for the attention improvement, and the Stroop Test for the executive function response to pharmacotherapy with MPH. Results : After pharmacotherapy with methylphenidate for 12 weeks, the study group showed improvement in the clinical aspects through Clinical Global Impression-Severity, ADHD-rating scale and Inattention/Overactivity With Aggression Conner's Parents Rating Scale. In the ADS test, only in auditory task there was a decrease of both the response tim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esponse time significantly. In the Stroop Test, there was a decrease in the word task, color task and color-word task significantly. Conclusion : Our results show that psychostimulant medication improves neuropsychological function, including the cerebral frontal executive function. This study implies that we have to consider the improvement of executive function, as well as attention when evaluating the efficacy of treatment.

일회 Donepezil 투약이 알쯔하이머병 환자에 미치는 영향 및 반응군 예측 인자로서의 가능성 (Whether Alzheimer's Disease is Responsive to a Single Oral Dose of Donepezil and this Response is Predictive Factor in Alzheimer's Disease)

  • 곽용태;양영순;노용우
    • 생물정신의학
    • /
    • 제18권1호
    • /
    • pp.36-45
    • /
    • 2011
  • Objectives : Though a proportion of Alzheimer's disease(AD) patients treated with donepezil have shown positive response on cognition, but the responders' characteristics are still uncertain.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ether a single oral dose of donepezil(5mg) can change cogn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dose responder items and long-term responder are examined. Methods : Twenty-three AD patients for single donepezil challenge study group and eleven AD patients for control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Seven days after baseline study for neuropsychological test and EEG, same studies were rechecked after donepezil medication in study group. In donepezil study groups, 12 weeks after donepezil medication, neuropsychological test and EEG were rechecked. Results : After single donepezil challenge, forward digit span, Rey-Osterrieth Complex Figure Test copy, SVLT delayed recall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nd beta spectra power in anterior, theta spectra power in posterior fiel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ward digit span after single donepezil challenge was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ed with long-term responders.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single donepezil medication can significantly change cognitive functions and EEG in AD patients. Among these responsive items, forward digit spa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ong-term responder.

Cognitive Function and Self-care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A Pilot Study from Korean Patients

  • Kim, Jin Shil;Shin, Joon-Han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9권1호
    • /
    • pp.45-50
    • /
    • 2012
  • Purpose: Despite poor cognitive function in heart failure (HF), few studies have examined cognition and its probable implication in self-care among Korean HF 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describe cognition in the domains of global,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s, (2)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on and self-care, and (3) to determine the amount of dietary sodium intake among Korean HF patients. Method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7 HF patients (3 men, mean age 68 years) completed face-to-face interviews for neuropsychological tests of cognition and self-care including dietary sodium intake. Results: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had impaired global cognition, memory, or executive function; patients with more severe HF were at higher risk of poor cognitive function. Korean HF patients exhibited poor self-care, with a high dietary sodium intake (5.6 g/day), approximately twice more than the suggested guideline of 2~3 g/day for patients with stable HF. Conclusion: Cognitive dysfunction and inadequate self-care with noncompliance with dietary sodium restriction were evident in Korean HF patients. More studies are warranted that examine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areas of deficit using neuropsychological tests in a larger sample and that examine how cognition affects self-care and compliance in salt-intake.

  • PDF

지각 장애의 신경 심리학적 기전 (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ceptual Disorder)

  • 이성훈;박윤조;김동화;박혜정;김지웅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2호
    • /
    • pp.143-148
    • /
    • 1999
  • 목 적: 지각 장애가 어떤 뇌의 부위와 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과와 뇌손상 환자에서 신경심리 검사와 지각 장애와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정신과 환자 69명, 뇌손상 환자 50명, 총 119명에서 Halstead Reitan 신경 심리 검사와 K-WAIS, MMPI를 시행하였다. MMPI 항목 중 지각 장애와 관계되는 9개 항목에서 산출된 점수와 신경심리 검사의 결과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 정신과 환자에서 지각 장애 점수가 높은 지각 장애군 21명과 지각 장애가 없는 지각 장애 17명을 t-test로 비교하였다. 결 과: 뇌손상 환자군에서 지각 장애가 전두엽 기능을 보는 범주화 검사, 선로 잇기 검사, 촉각 수행 검사, 손끝 숫자 쓰기 검사와 우측 반구 기능을 보는 촉각 수행 검사의 위치, 동작성 점수, 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등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피질하 기능을 보는 숫자 상징, 산수, 숫자 외우기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정신과 환자의 높은 지각 장애군은 우측 반구 편측화 지수와 빠진 곳 찾기, 토막 짜기와 같은 우측 반구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또 이해, 어휘, 공통성과 같은 좌측 반구 기능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지각 장애는 전두엽, 우측 반구, 피질하 구조의 기능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이 되며, 정신과 환자군에서는 좌측 반구의 기능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ong-term cognitive, executive, and behavioral outcomes of moderate and late preterm at school age

  • Jin, Ju Hyun;Yoon, Shin Won;Song, Jungeun;Kim, Seong Woo;Chung, Hee 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6호
    • /
    • pp.219-225
    • /
    • 2020
  • Background: There is increasing concern that moderate preterm (32-33 weeks' gestation) and late preterm (34-36 weeks' gestation) birth may be associated with minor neurodevelopmental problems affecting poor school performance. Purpose: We explored the cognitive function, cognitive visual function, executive function, and behavioral problems at school age in moderate to late preterm infants. Methods: Children aged 7-10 years who were born at 32+0 to 36+6 weeks of gestatio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August 2006 to July 2011 a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lsan Hospital were included. We excluded children with severe neurologic impairments, congenital malformations, or chromosomal abnormalities.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s consisted of 5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3 questionnaires. Results: A total of 37 children (mean age, 9.1±1.2 years) participated. The mean gestational age at birth was 34.6±7.5 weeks, while the mean birth weight was 2,229.2±472.8 g. The mean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was 92.89±11.90; 24.3% scored between 70 and 85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ing). An abnormal score was noted for at least one of the variables on the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iagnostic system for 65% of the children. Scores below borderline function for executive quotient and memory quotient were 32.4% and 24.3%, respectively. Borderline or clinically relevant internalizing problems were noted in 13.5% on the Child Behavior Check List. There were no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perinatal factors or socioeconomic status and cognitive, visual perception, executive function, or behavior outcomes. Conclusion: Moderate to late preterm infants are at risk of developing borderline intelligence functioning and attention problems at early school age. Cognitive and executive functions that are important for academic performance must be carefully monitored and continuously followed up in moderate to late preterm infants.

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증상 심각도에 따른 신경인지적 특성 (Neurocognitiv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epression Sever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황선희;이헌정;김명선
    • 생물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149-154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associations between symptom severity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using comprehensive neuropsychological tests. Methods Ten patients with low depression (LD) and 22 patients with high depression (HD) participated. Symptom severity was determined by both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Additionally, anxiety was measured by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KYZ). Ten subtests of the 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 (K-WAIS), Stroop test, the word/design fluency tests were administered to assess cognition. Results The LD and HD groups did not differ in any of cognitive measures but anxiety level. Namely, the HD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the state (U = 29.50, p < 0.01) and trait (U = 28.50, p < 0.001) anxiety scales than the LD group.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rait anxiety and depression severity was observed on the picture arrangement subtest of the K-WAIS [F (1, 27) = 5.09, p < 0.05]. Conclusions Cognitive deficits observed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ay be related to other factors rather than current symptom severity. Trait anxiety possibly moderates the effect of current symptom severity on social judgment in these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