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uropsychological Mechanism of Perceptual Disorder

지각 장애의 신경 심리학적 기전

  • Lee, Sung-Hoon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
  • Park, Yun-Zo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
  • Kim, Dong-Wha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Hae-Jung (Yonjung Brain Function and Sleep Research Center) ;
  • Kim, Ji-Woong (Department of Psychiat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성훈 (연정 뇌기능 수면 연구소) ;
  • 박윤조 (연정 뇌기능 수면 연구소) ;
  • 김동화 (연세의대 정신과학교실) ;
  • 박혜정 (연정 뇌기능 수면 연구소) ;
  • 김지웅 (연세의대 정신과학교실)
  • Published : 1999.12.30

Abstract

Objectives: We studied correlations between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perceptual disorder in patients with head trauma and psychiatric patients in order to explore the functional localization of brain in perceptual disorders. Methods: Halstead Reitan Neuropsychological Test Battery, Korean Wechsler Intelligent Scale, and Minnesota Multiphasic Peronality Inventory(MMPI) were administered to one hundred ninteen patients consisting of sixty nine psychiatric patients and fifty patients with brain damage. We tested the correlation between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peceptual disorder scale PDS) made from nine items related with perceptual disorder in MMPI. T-tests between twenty one higher scorers and seventeen lower scorers of PDS were also performed in the psychiatric group. Results: In brain damage group,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in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frontal lobe such as category tests, trail making tests, tactual performance test, and fingertip number writing test,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also noted in the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right hemisphere such as tactual performance test, performance, picture completion, picture arrangement and block design. Tests related with subcortical function such as digit symbol test, arithmetic and digit span were signigicantly correlated, too. In psychiatri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DS in the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right hemisphere such as picture completion, block design, and right laterality index, and in the tests related with function of left hemisphere such as comprehension, vocabulary, and similarities. Conclusion: Perceptual disorder seems to be related with functions of frontal lobe, right hemisphere, and subcortex in both groups. In a psychiatric group, left hemisphere may be also partially related with perceptual disorder.

목 적: 지각 장애가 어떤 뇌의 부위와 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발생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정신과와 뇌손상 환자에서 신경심리 검사와 지각 장애와 관계성을 조사하였다. 방 법: 정신과 환자 69명, 뇌손상 환자 50명, 총 119명에서 Halstead Reitan 신경 심리 검사와 K-WAIS, MMPI를 시행하였다. MMPI 항목 중 지각 장애와 관계되는 9개 항목에서 산출된 점수와 신경심리 검사의 결과와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 정신과 환자에서 지각 장애 점수가 높은 지각 장애군 21명과 지각 장애가 없는 지각 장애 17명을 t-test로 비교하였다. 결 과: 뇌손상 환자군에서 지각 장애가 전두엽 기능을 보는 범주화 검사, 선로 잇기 검사, 촉각 수행 검사, 손끝 숫자 쓰기 검사와 우측 반구 기능을 보는 촉각 수행 검사의 위치, 동작성 점수, 빠진곳 찾기, 차례 맞추기, 토막 짜기 등과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또 피질하 기능을 보는 숫자 상징, 산수, 숫자 외우기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정신과 환자의 높은 지각 장애군은 우측 반구 편측화 지수와 빠진 곳 찾기, 토막 짜기와 같은 우측 반구 기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또 이해, 어휘, 공통성과 같은 좌측 반구 기능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 론: 지각 장애는 전두엽, 우측 반구, 피질하 구조의 기능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발생이 되며, 정신과 환자군에서는 좌측 반구의 기능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