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pathic Pain

검색결과 411건 처리시간 0.022초

Cold Allodynia after C2 Root Resection in Sprague-Dawley Rats

  • Chung, Daeyeong;Cho, Dae-Chul;Park, Seong-Hyun;Kim, Kyoung-Tae;Sung, Joo-Kyung;Jeon, Young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1권2호
    • /
    • pp.186-193
    • /
    • 2018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ain-related behaviors after bilateral C2 root resection and change in pain patterns in the suboccipital region in rats.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groups (n=25/group); $n{\ddot{a}}ive$, sham, and C2 resection. Three, 7, 10, and 14 days after surgery, cold allodynia was assessed using $20{\mu}L$ of 99.7% acetone. c-Fos and c-Jun were immunohistochemically stained to evaluate activation of dorsal horn gray matter in C2 segments of the spinal cord 2 hours, 1 day, 7 days, and 14 days after surgery. Results : Three days after surgery, the response to acetone in the sham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in the $n{\ddot{a}}ive$ group, and th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ddot{a}}ive$ and sham groups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p<0.05 at 3, 7, 10, and 14 days). Seven, 10, and 14 days after surgery, the C2 root resection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 to acetone than the $n{\ddot{a}}ive$ group (p<0.05), and both the sham and C2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ly greater responses to acetone compared with 3 days after surgery.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allodynia was observed between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Two hours after surgery,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increases in c-Fos- and c-Jun-positive neurons compared with the naive group (p=0.0021 and p=0.0358 for the sham group, and p=0.0135 and p=0.014 for the C2 root resection group, respectively). One day after surgery,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exhibited significant decreases in c-Fos -positive neurons compared with two hours after surgery (p=0.0169 and p=0.0123, respectively), and these significant decreases in c-Fos immunoreactivity were maintained in both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7 and 14 days after surgery. The sham and C2 root resection groups presented a tendency toward a decrease in c-Jun-positive neurons 1, 7, and 14 days after surgery, but the decrease did not reach statistical significance. Conclusion : We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ld allodynia and the early expression of c-Fos and c-Jun between the sham and C2 resection groups. Our results may support the routine resection of the C2 nerve root for posterior C1-2 fusion, but, further studies are needed.

신경결찰에 의한 신경병증성 통증 쥐에서 NMDA Antagonist 전처치가 이질통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NMDA Antagonist for Tactile Allodynia in Nerve Ligation Induced Neuropathic Pain Rat)

  • 이윤우;윤덕미;이종석;안은경;이영숙;김종래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9권2호
    • /
    • pp.311-317
    • /
    • 1996
  • Background: Following peripheral nerve injury, rats will show a tactile allodynia and hyperalgesia. But the mechanism of allodynia is still obscur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is allodynia was reversed by intrathecal alpha-2 agonists and NMDA antagonists, but not by morphine. In formalin test, either the pretreatment of NMDA antagonist or morphine prevents the hyperalgesia. The present studies, using rats rendered allodynic by ligation of the left L5 and L6 nerves,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etreatment of MK-801 and morphine o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Methods and Material: Male Sprague-Dawley rats (100~150g) were anesthetized with halothane, the left L5 and L6 spinal nerves were ligated tightly by 6-0 black silk. For sham operation muscle dissection was performed but the spinal nerve was not ligated. For pretreatment of drugs, MK-801 (NMDA antagonist; 0.3 mg/kg). CNQX (non-NMDA) antagonist; 0.3 mg/kg), morphine (1 mg/kg) or saline (placebo)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30 minutes before operation. A second dose was administered subcutaneously 24 hours after operation and further doses were given daily for 2 days further. The volume of injection was 5 ml/kg. To assess the mechanical allodynia, paw withdrawal thresholds of ipsilateral limb were determined using 8 von Frey hairs. Results: Within 2 days saline, CNQX or morphine injected rats developed tactile allodynia (paw withdrawal threshold was about 2g), and persisted for over 2 weeks. Pretreatment of MK-801 delayed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for 3 days comparing to that of saline injected rat. Conclusion: NMDA receptor in the central nerve syste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actile allodynia induced by peripheral nerve injury. But the mechanism may be different from hyperalgesia developed in formalin test.

  • PDF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이용한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 증례 (Case Report : Treatment of Burning mouth Syndrome Using a Removable Anti-Nociceptive Appliance)

  • 노병윤;안종모;윤창륙;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1호
    • /
    • pp.1-7
    • /
    • 2012
  • 구강작열감증후군(Burning Mouth Syndrome: BMS)은 특기할 임상적인 증상 없이, 구강 내에 나타나는 병적인 작열감 또는 통증을 지칭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주로 혀 전방 그리고 측방에 증상이 나타나며, 경구개 전방, 입술 등의 다른 구강점막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원인은 분명하게 밝혀져 있지 않으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과 외상 같은 국소적 요인, 내분비 변화, 당뇨, 영양결핍(비타민, 아연 등), 철분 또는 엽산 결핍과 관련된 빈혈과 같은 전신적인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불안, 우울, 암공포증과 같은 심리적 요인 또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의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이 신경학적 병변에 의한 신경병변성 통증의 특성을 나타냄을 보고하고 있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치료는 알려진 원인이 분명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 또한 여러 각도로 시행되고 있다. 그 중, clonazepam의 국소적 적용, capsaicin, alpha lipoic acid 투여 등의 약물요법이 주로 이루어지며, 저주파 에너지 레이저 조사, 침술요법과 같은 치료법도 보고되고 있다. 최근의 몇몇 연구들은 혀를 국소적 자극요인으로부터 보호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증상을 완화시킨 사례들을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강작열감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하악 치아에 가철성 유해자극차단장치를 장착하여 증상이 개선된 증례를 소개하고, 구강 이상악습관과 구강작열감증후군의 연관성 및 이에 대한 치료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구강작열감증후군의 병인론과 병태생리에 대한 고찰 (A Review of Etiopathogenesis of Burning Mouth Syndrome)

  • 임현대;강진규;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5권1호
    • /
    • pp.41-47
    • /
    • 2010
  •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임상적 증상이나 검사실 소견없이 구강점막에 나타나는 작열감을 말하며 중년이후 폐경기 여성에게 높은 발생율을 보인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보여지는 통증은 자발적이며 뚜렷한 악화요인을 보이고 있지 않다. 통증 유발과 관련해서 치과적 술식, 최근의 질환, 투약(항생제 요법)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작열감이 한 번 시작되면 수년간 지속된다. 대부분의 구강작열감 환자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요인을 가지고 있으며, 구강작열감증후군은 신경병리학적 활성화에서 기원되는 만성구강증상으로 고려할 수 있으며, 정신학적 원인에 대한 역할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 구강작열감의 신경학적 측면에 대하여 연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런 연구는 구강작열감에 중추신경계, 말초신경계가 관여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 중에 하나로 대두 되고 있는 것이 미각에서의 이상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supertaster의 존재에 대해 언급하고 있으며, 이는 미각과 유해수용성 기전에 상호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즉 중추신경계에서 미각과 구강 통증 감각이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구강작열감증후군에서 고삭신경, 설인신경수준에서 미각체계 변형에 의한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가 같이 상호 작용하여 구강작열감증후군을 발생시킴을 보여준다. 이에 본 저자는 만성구강통증으로 여겨지는 구강작열감증후군을 유발하는 요인과 병태 생리를 고찰하여 환자의 진단과 원인 지향적인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당뇨병성 말초신경병증 환자에서 통증 정도와 당화혈색소 간의 상관성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ain Intensity and HbA1c for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 정세호;성희진;임수지;이참결;조나영;노정두;이은용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2권4호
    • /
    • pp.17-27
    • /
    • 2015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HbA1c and pain intensity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an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divided by the risk of complication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46 men and women suffering from neuropathic pain diagnosed with diabetes mellitus who visited the Hospital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emyung University from June, 2014 to August, 2015. Ag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numeric rating scale(NRS), and Michigan neuropathy screening instrument(MNSI)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Results : 1. In all 46 cas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bA1c and ag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NRS, MNSIQ, or MNSIE. 2. Among 23 cases with a high risk of complications (more than 7.0 % of HbA1c, group A),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bA1c and ag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NRS, MNSIQ, or MNSIE. 3. Among 23 cases with a low risk of complications(less than 7.0 % of HbA1c, group B),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HbA1c and age,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NRS, MNSIQ, or MNSIE. 4. Means of duration of diabetes mellitus, NRS, MNSIQ, and MNSIE were higher in group A than group B,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in statistics. Conclusions : This study could not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pain intensity and HbA1c in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patients, so more stud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사이버 치과 진료 상담을 통해 살펴본 구강내과 질환의 중요성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for the Importance of Diseases Associated with Oral Medicine by Analyzing the Dental Cyber Consultation)

  • 김수범;정재용;김철;김영준;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4호
    • /
    • pp.317-322
    • /
    • 2008
  • 현대화 사회로 갈수록 현대인들은 대도시 중심의 생활환경의 변화와 함께 일상적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측두하악장애, 구강점막 질환, 만성 신경병변성 통증 등의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환자들의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홈페이지의 사이버 진료실에 게재된 질문들의 내용들을 검토해서 치과 진료과별로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해 구강내과 영역에 해당되는 질환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전체 2000여 개의 질문 중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질문은 20.92%이었고, 구강악안면외과 진료에 속하는 질문이 16.87%, 치과보존과 16.67%, 치과교정과 14.02%, 치과보철과 12.25%, 치주과 8.36%, 소아치과 4.93%, 예방치과 2.08%, 기타 질문이 3.90%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진료에 대한 상담에 속하는 403개의 질문 중 구강점막 질환에 대한 질문이 44.17%, 측두하악장애에 관한 질문이 41.19%, 구취에 관한 질문이 4.47%, 구강 건조와 관련된 질문이 3.23%, 다른 구강안면통증에 관련된 질문이 2.23%, 법치의학과 관련된 질문이 1.49%, 기타 질문이 2.98%로 나타났다. 구강내과 영역 질환에 대한 질문의 비율이 타과 진료 영역 질환과 관련된 질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해 볼 때, 구강점막 질환과 측두하악장애를 포함한 구강내과 질환에 대한 일반인들의 관심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수술을 통하여 수지신경을 압박하는 혈관종을 성공적으로 제거한 증례 보고 (Microscopic Decompression of Digital Nerve Surrounded by Hemangioma: A Case Report)

  • 고준걸;김준혁;나은영;이준용;유결;백상운
    • Archives of Hand and Microsurgery
    • /
    • 제23권4호
    • /
    • pp.301-305
    • /
    • 2018
  • 혈관종은 내피세포로부터 기원한 양성종양의 일종으로, 수부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62세 여자환자로 우측 2수지 요골측의 통증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시행한 자기공명영상에서 수지신경을 압박하는 것으로 보이는 혈관종이 의심되었다. 수술을 시행하여 요골측 수지신경 및 수지혈관을 압박하고 있는 혈관종을 확인하였으며, 수지신경 및 혈관을 가능한 보존하기 위하여 미세수술을 통해 혈관종을 제거하였다. 공간점유성 병변에 의한 압박성 신경병증은 드문 일로,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으나, 본 증례와 같이 자기공명영상을 통한 술 전 평가와 및 미세수술을 이용한 병변 제거 및 신경 보존을 통하여 신경병성 통증을 성공적으로 호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djuvant에 의해 유발된 관절염 백서모델에 있어서 대방풍탕의 진통효과 (Analgesic Effect of Daebangpung-tang on a Rat Model of Adjuvant-induced Arthritis)

  • 성병곤;박영일;김재주;김미선;김남권;임규상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4-132
    • /
    • 2002
  • Daebangpung-tang(DBPT) is one of the prescriptions used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RA) in oriental medicin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analgesic effect of DBPT on a rat model of CFA-induced arthritis, which is not identical to human auto-immune arthritis although it does have many features in common with RA, and the relation between DBPT-induced analgesia and steroid hormones. CFA-induced arthritis rat model used to test the effect of DBPT was chronic pain model. After the induction of arthritis, rats subsequently showed a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limb for at least the next 18 days. The reduced stepping force of the limb was presumably due to a painful knee, since oral injection of indomethacin produced temporary improvement of weight bearing. DBPT dissolved in water was orally administrated. After the treatment, behavioral tests measuring stepping force were periodically conducted during the next 4 hours. DBPT produce significant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hindlimb affected by the arthritis lasting at least 3 hours. The magnitude of this improvement was equivalent to that obtained after an oral injection of 3mg/kg of indomethacin and this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was interpreted as an analgesic effect. The reduced stepping force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10-30g, 30-50g, and 50-70g). All experiments was performed at 50-70g of stepping force, since both DBPT and indomethacin showed the most excellent analgesic effect at 50-70g of stepping force. DBPT produced the improvement of stepping force of the affected hindlimb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showed analgesic effect on neuropathic pain as well. DBPT-induced analgesic effect could not be blocked by systemic injection of steroid antagonist mifepristone. The present study suggest 1) that DBPT produces a potent analgesic effect on the chronic knee arthritis pain model in the rat and 2) that steroids system does not mediate DBPT-induced analgesia.

근관치료 후 발생한 하악신경 손상 환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atients with Mandibular Nerve Damage after Root Canal Therapy)

  • 이지수;송지희;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3호
    • /
    • pp.327-336
    • /
    • 2011
  • 치과에서 임상적으로 신경병성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주로 하악신경이 손상 받은 경우이며 그 원인으로는 발치, 인공치아매식, 악안면 수술, 치주치료 및 근관치료 등이 있다. 본 연구는 근관치료 후 발생한 하악신경 손상 환자의 신경병증의 원인과 증상에 따라 약물치료를 통해 개선된 정도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근관치료 후 발생한 이상감각 또는 통증을 주 증상으로 2004년부터 2011년까지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환자 중 32명의 의료기록을 분석하였고, 약물치료를 시행한 경우 환자의 증상이 개선된 정도를 평가하였다. 초진시 감각저하 또는 감각부전의 증상을 호소한 총 32명의 환자 (남자 9명, 여자 23명, 평균나이 44세)를 분석하였다. 신경병증의 발생 원인은 근관치료 시 마취 (46.9%), 근관 내 적용한 약재에 의한 화학적 손상 (25%), 근관수술 (15.6%), 기타 원인이 불분명한 경우 (12.5%) 순으로 많았다. 처방된 약물은 스테로이드, 항경련제, 항우울제, 진통제 등이었고, 환자의 증상이 개선될 때까지 약물 용량은 조절되었으며, 약물 복용 기간은 1주일에서 11개월까지 다양하였다. 증상이 나타난 부위에 따라 하치조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가 25명, 설신경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가 7명이었으며, 약물치료 후 증상이 개선된 경우가 21명 (66%), 증상 개선이 미미하거나 없는 경우가 11명 (34%)이었다. 그 증상은 감각저하와 감각부전으로 분류하였고, 감각저하는 67%, 감각부전은 65% 개선을 보였다. 근관치료와 연관된 하악신경 손상으로 인해 신경병증이 발생된 경우 약물치료를 통한 증상 개선을 도모해 볼 수 있다. 다만, 신경병증의 종류와 회복 수준은 신경 손상의 원인, 정도와 손상 발생 후 치료 시기, 처치 방법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각각의 변수에 따라 통증 강도나 회복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향후 더 많은 개체 수에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정량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Miniscalpel Needle Therapy with Integr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 for Carpal Tunnel or Tarsal Tunnel Syndrome: Case Series of Three Patients

  • Kim, Jae Ik;Kim, Hye Su;Park, Gi Nam;Jeon, Ju Hyon;Kim, Jung Ho;Kim, Young Il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34권3호
    • /
    • pp.139-152
    • /
    • 2017
  • Objectives : This study reports the clinical effects of miniscalpel needle therapy in patients with carpal tunnel or tarsal tunnel syndrome. Methods : Three patients with carpal tunnel syndrome (CTS) or tarsal tunnel syndrome (TTS) (first case, patient with CTS and TTS; second case, patient with CTS; and third case, patient with TTS) were treated with miniscalpel needle (MSN) therapy and integrative Korean medical treatment. The Numeric Rating Scale (NRS), Neuropathic Pain Scale (NPS), Boston scale score, and AOFAS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nkle-hindfoot score were measured. Results : In general, outcome measures after treatment showed improvement in all cases. In the first case (CTS and TTS), scores on the NRS, NPS, and Boston scale decreased, and AOFAS ankle-hind foot scores increased. In addition, Tinel's sign showed improvement. In the second case (CTS), scores on the NRS, NPS, and Boston scale, and Tinel's sign, were decreased. In the third case (TTS), scores on the NRS and NPS, and Tinel's sign, showed improvement, and AOFAS ankle-hind foot scores were increased.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SN therapy has a meaningful clinical effect in CTS and T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