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logical function

검색결과 368건 처리시간 0.024초

DMSO 투여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SOD1-G93A 형질 변환 마우스 모델에서의 근육 기능과 생존 기간 증가 효과 (DMSO Improves Motor Function and Survival in the Transgenic SOD1-G93AMouse Model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 박경호;김연경;박현우;이희영;이정훈;패트릭 스위니;박래리종;박진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611-621
    • /
    • 2022
  • DMSO (dimethyl sulfoxide)는 친유성 화합물을 용해하는 성질과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을 투과하는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근위축성 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등의 퇴행성 뇌신경질환을 타겟으로 하는 전임상 연구에서 용매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DMSO를 활용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본 물질에 대한 생화학적 효과는 간과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근위축성 측삭경화증의 질환동물 모델인 SOD1-G93A형질 전환 마우스에 5% DMSO를 장기간 경구 투여하여 질병 표현형에 미치는 영향을 생존기간을 포함하여 신경학적, 기능학적, 조직학적으로 분석하였다. DMSO를 투여한 SOD1-G93A 동물군에서 DMSO 비투여군 보다 생존 기간과, 로타로드와 악력 측정으로 평가한 근육 기능이 유의미하게 증가했고, neurological score 가 감소했다. 반면, DMSO 투여군에서 DMSO 비투여군 대비하여 척수 운동 신경 세포와 신경근접합부가 보존되지 않았다. DMSO 투여는 SOD1-G93A형질 전환 마우스의 운동 신경 세포의 조직학적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신경 증상 완화와 생존 기간 등 개선된 마우스의 quality of life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DMSO를 이용한 퇴행성 뇌 질환 전임상 연구 및 후보 약물 효능 평가 시 DMSO의 생화학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3 Tesla MRI에서 트랙토그래피 분석을 이용한 시상 탐색 (Exploring the Thalamus of the Human Brain using Tractography Analysis at 3Tesla MRI)

  • 임상진;김주연;백현만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55-564
    • /
    • 2021
  • 시상은 신경 기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의 중앙에 위치한 시상은 수면, 각성, 감정 조절에 관여하며, 다발성 경화증, 본태성 떨림, 파킨슨병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시상의 철 침전물이 나이가 들면서 우울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연구 간에 차이가 있지만, 시상과 감정 조절, 처리 등의 신경 기능이 밀접한 관계가 있어 시상 영역이 신경 장애에 분명한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다. Tractography 분석을 통해 각 피질하 영역의 세부 영역 간의 연결성을 매트릭스 형태로 조사하여 강한 연결성과 약한 반구간 연결성을 보였다. 60세 이상 그룹에서 시상의 WM 연결성이 두 그룹보다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그룹을 비교한 결과 젊은 그룹(10-39세 및 40-59세)가 60세 이상 그룹보다 연결 강도가 높았고 각 반구에서 3개의 연결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노화로 인한 시상 관련 연결 강도의 감소는 불안 및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 및 신경학적 장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측정은 임상 조건 전반에 걸쳐 인지 장애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아동의 운동기능 평가 및 중재방법에 관한 문헌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Evalua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Children's Motor Function)

  • 사재덕;박혜연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2호
    • /
    • pp.53-74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운동기능 평가 및 중재방법에 대한 국외 문헌들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0년 1월부터 2020년 3월까지의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을 PubMed, Cochrane library(Embase)를 통하여 검색하였으며, 주요 검색용어는 motor function test, motor function measure, movement assessment, motor proficiency test, motor scale, motor skill, children을 사용하여 검색하였다. 결과 : 총 37편의 연구 중 14편의 평가, 23편의 중재로 분석되었으며, 중재에 관한 연구 디자인은 모두 RCT design이었다. 운동기능 중재보다 평가 연구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연구분야는 재활분야에서 가장 빈번하였으며, 평가에 관한 연구는 AIMS와 MABC-II, 중재에서는 GMFM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중재 종류는 Task-oriented training(6편)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국외에서 실시된 아동의 운동기능 중재와 평가에 관련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치료사들이 임상에서 효과적인 운동기능 평가와 중재를 선택할 수 있도록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추신경계 손상 성인 대상 손 기능 향상을 위한 우쿨렐레 활용 치료적 악기연주(TIMP) 사례 (A Ukulele Playing Intervention for Improving the Hand Function of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amage: A TIMP Case Study)

  • 주예은;박진경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9권2호
    • /
    • pp.81-103
    • /
    • 2022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우쿨렐레 활용 치료적 악기연주(Therapeutic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TIMP) 중재 참여에 따른 손 기능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추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손 기능 장애를 동반하는 성인 3명이며, 약 6주간 주 2회 30분씩 총 12회기 중재에 참여하였다. 우쿨렐레 중재는 손가락 동시 움직임, 손가락 협응 움직임, 손가락 개별 움직임 총 3가지 유형의 연주패턴을 기반으로 구성되었으며, 대상자의 손 기능 수준별 개별화된 중재 적용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검사도구 'Box and Block Test (BBT)', '9-Hole Peg Test (9-HPT)', 'Jebsen and Taylor Hand Function Test (JTHFT)'를 활용하여 대상자들의 사전 및 사후 손 기능을 측정하였으며, 사후 개별 인터뷰를 통해 중재 참여경험을 살펴보았다.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 모두 사후검사에서 BBT 수행점수가 향상되었으며, 9-HPT 수행시간과 JTHFT 지표 중 '글씨쓰기'와 '카드 뒤집기' 영역의 수행시간이 단축되는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개별 인터뷰 내용에 따르면 손의 기능적 움직임을 위해 악기를 활용함으로써 환측 손을 더욱 적극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아지고, 손 기능 재활훈련에 대한 인식이 더욱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 대상 우쿨렐레 활용 TIMP 중재가 손의 기능적 움직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나아가 개인의 재활동기 차원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도 불러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외관(外關) 자침이 Auditory P300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upuncture at Oegwan(TE 5) on Auditory P300)

  • 김미선;박현철;유경;김락형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9-136
    • /
    • 2006
  • Objective : Audio-evoked potential is technique used for measuring brain functions such as memory, attention, and concentration. Although a number of studies on acupuncture for pain, there are few reports on the effect of acupuncture cognitive function. Methods : Fifteen healthy volunteers with no neurological condition took part of the study. $(23.27{\pm}2.09)$.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s in auditory P300 by acupuncture stimulation to 'Oegwan' on the left hand. Auditory P300 was recorded before, during and after acupuncture. The amplitude and latency of P300 at Fz, Cz, Pz point were calculated. Results : Auditory P300 amplitude decreased during and after acupuncture,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P< .05) Auditory P300 latency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and after acupuncture.(P< .05) Conclusions : The decrease of Auditory P300 latency time suggests that acupuncture at Oegwan has some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 PDF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an overview of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 Ji Soo Kim;Seonha Lee;Won-Kon Kim;Baek-Soo Han
    • BMB Reports
    • /
    • 제56권9호
    • /
    • pp.488-495
    • /
    • 2023
  •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is a promising therapeutic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mitochondrial diseases caused by mutations in mitochondrial DNA, as well as several metabolic and neurological disorders. Animal studies have shown that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can improve cellular energy metabolism, restore mitochondrial function, and prevent cell death. However, challenges need to be addressed, such as the delivery of functional mitochondria to the correct cells in the body, and the long-term stability and function of the transplanted mitochondria. Researchers are exploring new methods for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including the use of nanoparticles or CRISPR gene editing. Mechanisms underlying the integration and function of transplanted mitochondria are complex and not fully understood, but research has revealed some key factors that play a role. While the safety and efficacy of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have been investigated in animal models and human trials, more research is needed to optimize delivery methods and evaluate long-term safety and efficacy. Clinical trials using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have shown mixed results, highligh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is area. In conclusion, although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holds significant potential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more work is needed to overcome challenges and evaluate its safety and efficacy in human trials.

뇌졸중 환자의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훈련 효과: 예비연구 (Effects of Occupation-Based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Chronic Stroke: Pilot Study)

  • 김선호;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47-58
    • /
    • 2017
  • 목적: 뇌졸중 환자에게 의미 있는 작업을 기반으로 한 양측성 상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로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를 가진 환자 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2명)과 대조군(2명)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2016년 5월부터 8월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 당 총 5주간, 주 3회, 회기 당 60분의 작업기반 양측성상지훈련 중재와 전통적 양측성 상지 훈련을 각 각 실시하였다. 중재 전 후로 EMG, 가속도계, ARAT, Y-BAT, SIS, COPM를 실시하여 각 군간 비교 하였다.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노쪽 손목폄근과 앞 어깨 세모근의 근 활성도, SIS에서 손 기능(Hand function), 기억력(Memory)항목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으며, 양손의 사용량을 측정한 가속도계와 COPM, Y-BIT, ARAT평가의 잡기(grasp), 집기(pinch), 대동작 (gross movement)항목에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중재 전 후 큰 변화량을 나타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이 신경학적 변화를 통한 상지기능 회복 및 사회참여 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작업기반 양측성 상지 훈련 프로토콜의 내용에 대해 높은 내용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한 개발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토대로 많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무작위대조군 실험 연구를 통한 효과 검증과 효과지속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순환운동과 전통적 운동이 만성 뇌졸중환자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ircui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on Walking Ability in Chronic Stroke)

  • 송우석;박민철;심제명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93-201
    • /
    • 2010
  • Purpose : This study achieved to search the effect of the circuit exercise and conventional exercise on walking ability(walking speed, endurance, dynamic balance, speed, endurance and pedestrian crossing) in chronic stroke. Methods : Since is diagnosed by stroke, to 30 chronic stroke patients who more than 1 year past the 15 circuit exercise group, the 15 conventional exercise group random the circuit exercise group applied circuit exercise 3th 8 weeks each week after neurological treatment because assigning and the conventional exercise group executed round trip walk exercise in parallel bar 3th 8 weeks each week after neurological treatment. The data of 25 patients who complete experimental course were statistically analysed.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were as following : 1)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perimental of 10 meter walk test, 6 minutes walk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 in circuit exercise group (p<.001). 2) Ther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experimental of 2, 4 and 6 lane road crossing mobility in Walking circuit exercise group(p<.01). 3)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after experimental of 10 meter walk test, 6 minutes walk test and Timed "Up and Go" test change quantity between circuit exercise group and conventional exercise group(p<.05). 4) There wer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TUG test and 2, 4 and 6 lane road (2 lane road; r=.463, p<.01., 4 lane road; r=515, p<.01., 6lane road; r=.710, p<.01), and there wer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10 meter walk test and 6 minutes walk test(r=.595, p<.01), TUG test(r=.662, p<.01) and 6 lane road(r=.527, p<.01). Conclusion : Even if improvement of walk function through training consists in room, transfer of actuality pedestrian crossing is no change outside the room. Because it is much variable of the weather, seasonal factor, temperature, pedestrian number, state of underneath etc. outside the room. Then, in room after direction promotion of walk function to be promotion of walk function in actuality life and need development of connectable training method consider.

노인의 인지기능과 상지기능의 관련성에 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n the Association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in the Elderly)

  • 문미숙;정민예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2호
    • /
    • pp.23-33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인지기능과 상지기능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근거 자료들을 P.I.C.O. 방법에 따라 제시하였다. 연구방법: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00년 1월부터 2015년 10월까지 국외 학술지에 개재된 논문을 Medline과 PubMed를 통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용어로는 elderly, dementia, Alzheimer's disease, Mild cognitive impairment, age-related, aging, cognitive, upper extremity function, hand function, hand-grip strength, grip force, complex motor function, bimanual, dexterity, UE performance, coordinat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고찰에 포함된 총 8개의 연구 중 7개의 연구에서 상지기능이 노화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으로 나타났고, 1개의 연구에서는 노화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나, 쥐기 힘 및 성별에 의해 물건조작능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분석 결과 노인 및 치매환자의 인지기능이 상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며 상호 관련성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인지기능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인지기능 정도에 따른 작업치료 적용 및 중재기법을 선택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 연구에서는 다양한 평가도구를 사용하고 질적 수준이 높은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연구 (The Effects of Upper Limb Reaching task on Upper Limb Function and Self-Efficacy for Patients with Stroke: Case Study)

  • 송승일;조영남
    • 재활치료과학
    • /
    • 제3권2호
    • /
    • pp.59-69
    • /
    • 201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팔 뻗기 과제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단일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중인 만 39세 뇌졸중 진단을 받은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팔 뻗기 과제는 6주 동안 주 3회 실시하였고 1회당 30분간 실시하였다. 과제 전-후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자의 상지기능은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에서 중재 전 왼손 10개, 오른손 40개에서 중재 후 왼손 22개, 오른손 43개로 증가하였다. 자기효능감은 구체적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중재 전 41점에서 중재 후 70점으로 증가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팔 뻗기 과제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