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hormon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2초

Melatonin-induced Calbindin-D9k is Involved in Protecting Cells against Conditions That Cause Cell Death

  • Yoo, Yeong-Min;Jeung, Eui-Bae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37-247
    • /
    • 2009
  • Melatonin (N-acetyl-5-methoxytryptamine) is the major neurohormone secreted during the night by the vertebrate pineal gland. The circadian pattern of pineal melatonin secretion is related to the biological clock within the suprachiasmatic nucleus (SCN) of the hypothalamus in mammals. The SCN coordinates the body's rhythms to the environmental light-dark cycle in response to light perceived by the retina, which acts mainly on retinal ganglion cells that contain the photopigment melanopsin. Calbindin-D9k (CaBP-9k) is a member of the S100 family of intracellular calcium- binding proteins, and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involvement of melatonin and CaBP-9k with respect to calcium homeostasis and apoptotic cell death. In future studies, we hope t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roles played by CaBP-9k in cell signal transduction, cell proliferation, and $Ca^{2+}$ homeostasis in vivo and in vitro.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Marine Medaka Fish (Oryzias javanicus) Exposed to Cadmium

  • Woo, Seon-Ock;Son, Sung-Hee;Park, Hong-Seog;Vulpe, Chris D.;Ryu, Jae-Chun;Yum, Seung-Shic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4권4호
    • /
    • pp.293-299
    • /
    • 2008
  • To screen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in cadmuim-exposed marine medaka fish (Oryzias javanicus), a candidate marine test fish for ecological toxicity, the differential display polymerase chain reaction (DD-PCR) was carried out, since the genome-wide gene expression data are not available in this fish species yet. A total of 35 clones were isolated from cadmium-exposed fish and their nucleotide sequences were analyzed. The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candidates were categorized to response to stimulus (3); ion binding (3); DNA binding (1); protein binding (6); carbohydrate binding (1); metabolic process (4); biological regulation (3); cellular process (2); protein synthesis (2); catalytic activity (2); sense of sight (1); immune (1); neurohormone (1); signaling activity (1); electron carrier activity (1) and others (3). For real-time quantitative RT-PCR, we selected catalase,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heat shock protein 70, and metallothionein and confirmed that cadmium exposure enhanced induction of these four genes.

한약의 항우울 효과에 대한 국내 실험연구 고찰 (A Review of the Korean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Herbal Medicines)

  • 한다영;김상호;정대규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71-88
    • /
    • 2019
  •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review the antidepressant effect of herbal medicines reported in Korean local journals. Methods: We searched in electronic databases (Koreantk, KISS, OASIS, NDSL) for studies, published in Korean national journals, that assessed herbal medicine effect of depression model. The search term was 'depression' in the abstract or whole text. Depression model, herbal material, experimental results, mechanisms were extracted. Results: We included 43 articles in which 38 studies were in vitro experiments, and the rest 5 were in vivo experiments. The most common experiment subject model was a rat and the most widely used method to induce depression was Despair behavior test. 21 studies used simple herbal medicines, and 22 studies used complex herbal medication. Glycyrrhizae Radix was the most commonly used herbal material to improve depression model. The most common mechanisms of herbal medicine with antidepressant effect were inhibition of Monoamine activation mechanism and depression related neurohormone secretion. Conclusions: Herbal medicines may be a promising resource for treating depression.

8주간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성의 신체 성분, 혈청 호르몬 및 섭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8-week Resistance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Serum Hormone Profiles and Feeding Patterns of Obese Females)

  • 최상호;조민화;신동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7권10호
    • /
    • pp.888-898
    • /
    • 2004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8-week resistance exercise by using dumbell on the body com-position, serum hormone profiles and feeding patterns in young and healthy female students with over 30% of body fat, aged 22 years in Masan, Korea. The subjects were all six, performed successfully the entire exercise-program. Anthropometry, serum lipid and neurohormone profiles of subjects were analyzed at 0, 4 and 8 weeks after exercise. And also their food and nutrient intakes were self-reported by 3-day record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riceps skinfold-thickness of the subject student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he exercise to 46% less than before (p < 0.002) . The serum concentrations of leptin, insulin and catecholamine appeared to decrease steadily, but not significantly. Total protein in serum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and Na (p<0.005), K (p<0.001) and Fe (p<0.058) concentrations increased remarkably within the normal range. The 8-week resistance exercise tended to induce fiber consumption (p<0.089) of subject students and changed the P/M/S ratio changed into the desirable way from 0.8 : 1 : 1 to 1 : 1 : 1, and that of n-6/n-3 PUPA from 11 : 1 to 6 : 1. After taking exercise, the intake frequency of cookies (p<0.058) and raymeun (p<0.085) decreased, but finally this feeding pattern returned to the way as before even though at marginal significance. Consequently the resistance exercise may induce the desirable changes of body fat and improve serum lipid profiles and feeding patterns in young obese females.

B-type natriuretic peptide 분석을 위한 항 BNP scFv 항체의 대장균 세포질 내에서의 기능적 발현 (Functional Expression of Anti-BNP scFv in E. coli Cytoplasm for the Detection of B-type Natriuretic Peptide)

  • 맹보희;남동현;김용환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91-597
    • /
    • 2009
  • 심장이상증상의 상태에서 분비되는 심장혈관호르몬인 BNP의 혈중 농도측정은 심장기능부전환자의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 되고 있다. 혈청 또는 혈장에서의 BNP 농도측정은 샌드위치형태의 면역학적 검정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 항 BNP 항체를 BNP 탐지 인자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탐지 인자로의 사용을 위해서는 항원항체 반응부분을 링커로 연결하여 전체 항체에 비해서 경제적이며 효율 면에서도 뛰어난 scFv의 사용이 용이하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scFv의 취약점인 대장균에서의 불용성 형태의 발현을 최소화 시키고 기능적 발현을 극대화하여 심장질환 진단용 센서의 센서 칩 항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항 BNP scFv 항체의 발현을 대장균 세포질 내에서 유도 하였다. 대장균 세포질내에서의 scFv 제작을 위하여 항 BNP scFv 항체 유전자를 pColdⅣ 벡터와 pET22b (+)벡터에 각각 클로닝한 후 발현 하였으며, 그 결과 대량 생산의 장점이 있는 강력한 T7 promoter를 지닌 pET22b (+) 벡터를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단백질의 발현을 느리게 유도할 때 적절한 단백질 접힘 현상이 일어나 기능적인 scFv의 발현이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IPTG의 투여에 있어서 그 농도가 높아지면 빠른 단백질 유전자의 전사를 도와 발현율이 증가하지만 과도한 농도의 IPTG 투여는 세포내의 독성을 일으켜 단백질의 생산을 저해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며,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항 BNP scFv 항체가 오직 BNP 항원과의 결합특이성을 가진다는 사실도 확인 가능 하였다.

황점볼락과 조피볼락의 뇌 조직에 분포하는 neuropeptide Y성 물질 (Neuropeptide Y like Substance Distributed in the Brain Tissues of Two Rockfish Species, Sebastes oblongus and S. schlegeli)

  • 손영창;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3-391
    • /
    • 1995
  • 출산 전후의 황점볼락 및 조피볼락 어미의 뇌 조직에서 GtH 분비를 자극하는 신경호르몬으로 알려진 NPY를 검출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을 실시하고 뇌하수체내 GtH 분비세포의 활성을 서로 비교하였다. 두 어종 모두에서 뇌 조직중 NPY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세포는 후각망울, 종뇌 및 중뇌에서, 신경섬유는 후각망울, 종뇌, 시각신경, 시상하부, 중뇌 및 시각엽에서 각각 관찰되었다. 뇌하수체내에서 NPY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신경섬유는 성숙에 관계없이 두 어종 모두 앞원위부분의 AF 음성세포에 인접한 신경엽에 분포하였고, 성장 및 성숙기의 난모세포를 가진 어체에서는 앞원위부분의 신경엽과 중간원위부분의 GtH 분비세포에 인접한 신경엽에서 관찰되었다. 뇌하수체내의 GtH 분비세포는 출산전의 황점볼락 및 성숙기의 조피볼락 개체에서는 AF 염색성이 약했으나, 출산후 황점볼락 및 조피볼락의 GtH 분비세포는 출산전 및 성숙기에 비해 AF 염색성이 증가하였다. 두 어종에서 출산전 난소를 가진 개체들의 GtH 분비세포와 핵경의 크기는 출산후(황점볼락)이거나 출산 이후 휴지기의 난소를 가진 개체(조피볼락) 보다 유의하게 컸다(P<0.01).

  • PDF

급성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혈장 B-type Natriuretic Peptide의 역할 (The Role of Plasma B-type Natriuretic Peptide Measurements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Acute Dyspnea)

  • 문지용;배중호;김태형;손장원;윤호주;신동호;박성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6호
    • /
    • pp.656-663
    • /
    • 2005
  • 배 경 : 급성호흡곤란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에서 그 원인질환을 감별하는 것은 효율적인 치료에 매우 중요하나 임상양상만으로 감별진단하기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최근에 쉽게 측정하고 확인이 가능한 생화학적 표지자인 B-type natriuretic peptide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방 법 : 2004년 3월부터 7월까지 한양대학교병원 응급실로 급성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26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BNP를 측정하였고 임상적 소견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를 증상의 원인에 따라 크게 심부전군(n=119, 382, 113-1230 pg/ml)과 비심부전군(n=142, 29, 7-81 pg/ml)으로 나누었고(사람수, 중위수, 백분위수 25-백분위수 75), 하위집단으로 심부전군은 COPD와 좌심부전이 동반된 군(n=5, 820, 354-1620 pg/ml), 폐성심군(n=3, 1650, 239-1990 pg/ml), 좌심부전군(n=111, 378, 106-1120 pg/ml)으로, 비심부전군은 COPD군(n=20, 39, 21-101 pg/ml), 기타 호흡기질환군(n=56, 59, 10-129 pg/ml), 기타 다른 원인군(n=66, 15, 6-47 pg/ml)으로 분류하였다. 혈장 BNP는 원인 질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1), COPD군과 좌심부전이 동반된 COPD군을 비교했을 때 심부전이 동반될 때 혈장 BNP가 의미있게 높았다(p=0.002). 당뇨병, 고혈압, 흡연 및 신부전 등 심질환의 위험인자가 없는 환자들에서 심부전의 동반 유무와 BNP값을 비교해 보았을 때, 심부전이 동반된 경우 의미있게 BNP값이 증가되어 있었다(p<0.001). 또한, BNP가 133 pg/ml이상일 경우 예민도 0.73, 특이도 0.87로 심부전에 대한 치료에 반응할 수 있는 환자군을 감별할 수 있었다. 결 론 : 혈장 BNP는 급성호흡곤란의 감별진단에서 심부전의 유무를 알아내고 효율적인 치료를 앞당기는데 유용한 검사이다. 특히, 기존의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심장질환의 위험요인이 없더라도 BNP가 높은 수치를 보일 경우에는 심부전의 가능성을 고려해서 환자에게 접근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