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9초

네트워크형 조직 이론에 근거한 혁신 효과 증대 방안 연구 (Improving Process Innovation Effectiveness through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 이춘열;강재화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75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rationales for a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and their impact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shows characteristics that may be used to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process innovations. However, some conditions are to be satisfied to build a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This paper summarizes such pre-conditions for a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Korea is evaluated to be a good place to build a network centric organization because of its successful adoption of IT.

  • PDF

네트워크 중심전(NCW)하의 정보보호체계 구축방안 연구 : 정보보호체계 평가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curity Plan for Network Centric Warfare : Development of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Assessment Index)

  • 권문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83-91
    • /
    • 2007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중심전(NCW)을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해 구축된 정보보호체계의 수준을 평가하고 미흡한 부분을 도출함으로서 미래전에 대비하는 예방적 지침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 정보체계 분야에 다년간 근무했던 전문가들로 워킹그룹을 편성하여 그룹의 사결정기법을 활용한 연구방법을 통해 NCW하에서의 정보보호체계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제시한 평가지표를 활용하여 시스템 수준을 평가하고 미흡한 점을 보완한다면 보다 완벽한 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NCW 정보보호 대책 (A Study on the Network Centric Warfare Information Security for Ubiquitous Network Computing)

  • 권문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22
    • /
    • 2010
  •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중심전(NCW)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보호 대책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대책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NCW가 구현 되었을 때 예상되는 전투양상을 전장기능별로 조명해보고,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정보보호 위협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국방 정보보호 대응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대응방안을 바탕으로 추후 세부 실행과제를 도출한다면 보다 완벽한 NCW 개념 실현을 위한 국방정보보호 대책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네트워크 중심전(NCW)하의 국방정보체계 제대별/기능별 정보보호지침 연구 (A Study on the Defense Information System Security Guideline for Network Centric Warfare)

  • 권문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8
    • /
    • 2008
  • 본 연구는 네트워크 중심전(NCW) 환경하에서 국방정보체계에 대한 정보보호 지침을 마련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국방정보체계 분야에 다년간 근무했던 전문가들로 워킹그룹을 편성하여 그룹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연구방법을 통해 네트워크 중심전(NCW)하에서의 정보보호 지침을 제대별, 기능별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제대별, 기능별 정보보호 지침을 활용하여 현존하는 국방정보체계의 정보보호 수준을 평가하고 미흡한 점을 보완한다면 보다 완벽한 정보보호 대책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정보화 시대의 전쟁양상 - Network Centric Warfare(네트워크 중심 전쟁)을 중심으로 (Aspects of Warfare in the Information Age - NCW Concerning)

  • 우희철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45-50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우리 일상 생활에 많은 변화를 야기하는 정보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일반사회뿐만 아니라 국가가의 전쟁 양상도 기존 재래식 중심의 전쟁에서 정보화시대의 전쟁 즉 정보전의 개념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는 시점에서 정보전의 개념과 미래 정보전의 개념, 특히 네트워크 중심의 전쟁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정보전에 대한 개념 및 효율적인 운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정보전하에서 완벽한 임무수행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코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보화시대의 전쟁양상을 시대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으며, 미래전쟁양상의 변화에 대해서는 미래전의 기본구도, 미래전장의 변화, 미래 정보전의 양상에 대해 다루었으며 미래 정보전의 핵심인 네트워크 중심 전쟁에 대해 전쟁수행방식과 전쟁에서의 영향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고찰해 봄으로써 네트워크 중심 전쟁의 올바른 운용방안에 대해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을 위한 IPv6 주소 할당 방안 (A Method for IPv6 Address Assignments of the Next Generation Defense Network)

  • 김권일;이상훈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4호
    • /
    • pp.441-445
    • /
    • 2008
  • 우리 군은 장차전 양상인 네트워크 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과 같은 새로운 전쟁 수행 개념 구현에 대한 연구 및 발전을 추진하고 있는데, IPv6는 이러한 미래 전장을 지원하는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에 필수적인 기반 요소이다. 국방정보통신망의 IPv6 주소 할당과 관련된 연구들이 있었지만, 군 조직 구조 기반으로 계층적 할당을 하거나, 서비스망부터 할당하여 경로 요약(route aggregation)이 비효율적이고 라우팅 테이블 크기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국방정보통신망의 토폴로지를 검토하고, 네트워크 토폴로지 기반으로 서비스망을 구분하는 필드의 위치를 조정하여 경로 요약 및 라우팅 테이블 크기를 기존 연구보다 효율적으로 개선했으며, OPNET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이를 검증했다.

Access Control to Objects and their Description in the Future Network of Information

  • Renault, Eric;Ahmad, Ahmad;Abid, Mohamed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6권3호
    • /
    • pp.359-374
    • /
    • 2010
  • The Future Internet that includes Real World Objects and the Internet of Things together with the more classic web pages will move communications from a nodecentric organization to an information-centric network allowing new a paradigm to take place. The 4WARD project initiated some works on the Future Internet. One of them is the creation of a Network of Information designed to enable more powerful semantic search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curity solution for a model of information based on a semantic description and search of objects. The proposed solution takes into account both the access and the management of both objects and their descriptions.

국토 공간조직에 미친 고속철도망 건설의 영향 : 프랑스 TGV 교통망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High-Speed Railroad Construction on Territorial Organization : A Case Study of the French TGV Transportation Network)

  • 이현주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52-266
    • /
    • 2004
  • 본 연구는 신개념의 교통수단이 국토공간에 도입됨으로써 발생하는 공간조직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프랑스 TGV교통망 건설이 가져온 프랑스 국토공간 조직의 변화를 국토 전체적인 공간조직 변화, 도시체계의 수정, 교통체계의 변화 양상 및 유럽 통합공간체계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프랑스는 TCV 교통망 건설이후 20여년간 커다란 국토공간조직상의 변화를 겪게 되는데 지리적 단위마다 독특한 변화양상을 보이고 도시권의 관계적 위치에 따라서도 상이한 변화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 국토 차원에서 TGV망 건설의 가장 큰 효과는 국토공간 수렴효과와 프랑스 국토가 Paris를 정점으로 한 고속교통망 체계로 연결된 것이다. 그러나 시간거리 축소효과는 각 지역의 고속철도망으로의 접근성과 연결성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이는 지역간 개발기회의 불균등을 더욱 증폭시키는 부작용을 낳아 국토 공간의 불균형개발을 강화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지역적 차원에서는 TGV의 중간 경유역이 있는 지방 중소도시는 기존의 지역행정중심도시와 함께 지역경제 중심권으로 발전하여 단핵구조에서 다핵구조의 지역 공간구조로 이행하는 변화 양상이 나타난다. 도시권차원의 변화는 TGV역세권을 중심으로 신시가지 개발 및 경제집적지구의 성장으로 새로운 경제활동지구가 성장하였다. 현재 유럽국제 고속철도망의 연계건설 추진으로 각 유럽도시 권은 새롭게 편성되는 유럽 도시체계에서 경쟁력을 갖춘 고차 계층의 도시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새로운 공간조직 전략을 통한 새로운 도시경쟁력창출을 모색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KTX교통망의 구축 또한 국토공간 조직의 변화를 동반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나타날 효과와 부작용을 미리 예견하여 세계화와 지방화시대에 적합한 경쟁력 있고 유연적인 교통체계로 발전시켜가야 한다.

  • PDF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Author's Institution in Korean Journal Papers for the Decision Support in Disaster Situations

  • Kim, Byungkyu;You, Beom-Jong;Shim, Hyoung-Seop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85-9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재난 상황에서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의사결정 및 대응을 지원하기 위하여 학술 연구 논문의 저자소속 기관을 식별하고 이를 바탕으로 협업관계 분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 69종에 수록된 재난안전유형 논문 2,308건을 대상으로 KISTI의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데이터베이스와 기관식별데이터를 기반으로 실험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협업관계 분석은 기관, 기관유형, 기관지역, 대학기관의 단위별로 출현빈도 등의 통계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사회네트워크분석 기법을 사용하여 각각의 동시출현 네트워크의 기본 속성과 주요 중심성 지수를 산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단위별 네트워크 협업관계를 전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도록 시각화 맵을 생성 및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효과적인 재난 대응을 지원하는 기관 및 협업 그룹의 탐색 활동과 관련 정보서비스체계 기반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1세기 미래전과 한국적 군사사상 형성의 조건 (The Future War in the 21st Century and the Groundwork for the Korean Style Military Thought)

  • 김광수
    • 안보군사학연구
    • /
    • 통권7호
    • /
    • pp.55-89
    • /
    • 2009
  • This article aims to critically review recent U. S. RMA-centered theories of warfare having prevailed after the 1991-92 Gulf War upon which the current ROKA military transformation project, the Vision 2020, largely based. In order to evaluate validity as a universal warfighing theory of NCW (Network Centric Warfare) and EBO (Effects-Based Operations), this article reviews the intrinsic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theories as well as results of several recent wars that the U. S. Army conducted based on doctrines derived form such theories, In addit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impact of certain military technology or weapon system in some well-known historical wars to draw less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logy(weapon system) and military victory. Historical examples has shown that victories in war were not achieved by new technologies alone in most cases. Rather military victories tended to owe to combination of new technology, original doctrine and well conceived organization. Although the U. S. Armed Forces showed brilliant records of operational successes anchored on the system of PGMs and NCW concepts in Iraq (1991-92; 2003) and Afghanistan (2001-02), it must be pointed out that the operational successes did not bring about political ones in cases of Iraq and Afghanistan. It reminds us of perils of too technologically tilted approach to the conduct of war. In sum, one ought to recognize that superior technology nowadays became a necessary condition of success but is not yet a sufficient condition, the ROKA needs to be abreast with development trends of military technologies and related theoretical concepts, it need not too be in a hurry in adopting cutting edged war-making technologies at the expense of large amount of budget. The essay recommends for the ROKA several basic requirements for coping with conduct of future wars as well as establishing a 'Korean style military thought'; (1)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technology in conduct of war; (2) Imposition of officer self-study hours in working days; (3) Establishing a lifestyle of military professionalism in the Korean officer corps; (4) Setting up small or large groups of think-tanks that are specialized in army doctrinal form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