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ighborhood information

검색결과 506건 처리시간 0.023초

아파트 거주자의 변인에 따른 주거환경 만족도의 차이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Apartment Dwellers)

  • 하규수;진선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3-96
    • /
    • 201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useful predictive variations for the qualitative supply of homes to provide information to real estate venture businesses and other business owners in neighborhood amenities and significant basic information to housing suppliers and policy makers. For this purpose, a number of apartment dwellers in Seoul were surveyed to examine their housing satisfaction, difference in hous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variables, and any relevant correlations. In detail, 500 apartment dwellers in Seoul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1, 2009 to September 20, 2009 to gather resources that were processed through SPSS 14.0 to find percentage of frequency, mean,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Duncan Multiple Ranger's Test. The following we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housing satisfaction of apartment dwellers in Seoul was above average with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Second, satisfaction with amenitie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weller-related variables. Gangnam dwellers were more satisfied with housing environment and community environment than Gangbuk dwellers. By age, people in 20s and 30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with community environment was high among 20s, 30s and 40s.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conditions was high among 20s. Also, satisfaction was high when housing period was between 1 and 10 years. By size, dwellers in 40py or larger home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housing environment and management conditions. Dwellers in 30py and 40py or larger homes were satisfied with community environment. By ownership, dwellers with ownership of their homes showed high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and social environments according to dweller-related variables. By region, dwellers of Gangnam area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By age, people in 20s, 30s and 40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Also,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environment was high when housing period was around 10 years. By size, dwellers in 30py and 40py or larger homes were satisfied with neighborhood and social environments. Fourth,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with housing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ty environment, and between satisfaction with community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management conditions. Thus, most dwellers that were satisfied with one variable of housing environment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other variables.

생활권계획 수립지원을 위한 공간적 접근성 불평등 지역 분석 (Derivation of Inequality Areas in Spatial Accessibility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Neighborhood Unit Plan)

  • 김호용;김지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99-114
    • /
    • 2024
  • 최근 지역 간 격차 해소와 지역 특성 반영을 통한 균형발전 및 지속 가능한 개발에 대한 기대로 생활권 개념이 주목받고 있다. 생활권 계획에서는 일상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필수적인 생활인프라 시설에 대한 접근성이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지며,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생활권계획에서 설정한 생활인프라 시설 및 접근범위를 기반으로 시설로부터의 접근성을 분석하고 생활권계획 및 공간적 군집성과 연계하여 접근성이 집중되는 지역과 떨어지는 지역에 대한 공간적 접근성 불평등 지역을 분석하였다.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접근성을 분석한 결과, 시설에 따라 접근성 범위가 다양하게 존재하였으며 생활권계획과 연계하여 살펴보면 중생활권인 동래권, 원도심권, 해운대권은 공간적 접근성이 높게, 강서권과 기장권은 공간적 접근성이 낮게 나타났다. 공간적 군집성과 연계하여 분석한 결과 강동권, 원도심권, 동래권, 해운대권에서 핫스팟 지역이, 강서권과 기장권은 콜드스팟 지역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적 불평등이 나타났으며, 같은 생활권내에서도 핫스팟과 콜드스팟이 동시에 존재하는 공간적 불평등이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특성을 고려하면 소생활권 단위에서 부족한 시설에 대한 세밀한 계획과 정책이 요구되며, 분석 결과는 최근 추진하는 균형발전이라는 도시정책을 실현하는 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 Stigmergy-and-Neighborhood Based Ant Algorithm for Clustering Data

  • Lee, Hee-Sang;Shim, Gyu-Seok
    • Management Science and Financial Engineering
    • /
    • 제15권1호
    • /
    • pp.81-96
    • /
    • 2009
  • Data mining, specially clustering is one of exciting research areas for ant based algorithms. Ant clustering algorithm, however, has many difficulties for resolving practical situations in clustering. We propose a new grid-based ant colony algorithm for clustering of data. The previous ant based clustering algorithms usually tried to find the clusters during picking up or dropping down process of the items of ants using some stigmergy information. In our ant clustering algorithm we try to make the ants reflect neighborhood information within the storage nests. We use two ant classes, search ants and labor ants. In the initial step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search ants try to gui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rage nests. Then the labor ants try to classify the items using the guide in-formation that has set by the search ants and the stigmergy information that has set by other labor ants. In this procedure the clustering decision of ants is quickly guided and keeping out of from the stagnated process. We experimented and compared our algorithm with other known algorithms for the known and statistically-made data. From these experiments we prove that the suggested ant mining algorithm found the clusters quickly and effectively comparing with a known ant clustering algorithm.

An Experimental Study of Image Thresholding Based on Refined Histogram using Distinction Neighborhood Metrics

  • Sengee, Nyamlkhagva;Purevsuren, Dalaijargal;tumurbaatar, Tserennadmid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9권2호
    • /
    • pp.87-92
    • /
    • 2022
  • In this study, we aimed to illustrate that the thresholding method gives different results when tested on the original and the refined histograms. We use the global thresholding method, the well-known image segmentation method for separating objects and background from the image, and the refined histogram is created by the neighborhood distinction metric. If the original histogram of an image has some large bins which occupy the most density of whole intensity distribution, it is a problem for global methods such as segmentation and contrast enhancement. We refined the histogram to overcome the big bin problem in which sub-bins are created from big bins based on distinction metric. We suggest the refined histogram for preprocessing of thresholding in order to reduce the big bin problem. In the test, we use Otsu and median-based thresholding techniques and experimental results prove that their results on the refined histograms are more effective compared with the original ones.

순환벡터처리에 의한 디지털 영상복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in Digital Image Restoration by a Recursive Vector Processing)

  • 이대영;이윤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05-112
    • /
    • 1983
  • 本論文은 線形空間的不變인 段損(blur)과 自色가우스性雜音에 의해 損傷된 映像에 대한 循環復元(recursive restoration)技法을 論하였다. 映像은 確率設計學的으로 그 平均과 相關函數(correlation function)에 의해 特徵지워진다. 隣接모델(neighborhood model)에 指數的自己相關函數(exponential autocorrelation function)가 사용되며 解析이 간단하고 편리하므로 映像度相關函數를 나타내는데 벡터 모델이 사용된다. 이 벡터 모델을 基本으로 한 映像表現에 있어서 離散的, 統計學的인 12點隣接모델이 開發되고 次元의 增加를 抑制하며 破損되고 雜音섞인 映像을 復元하기 위한 窓(window)移動處理技法이 使用되었다. 12點隣接모델 8點隣接모델보다 優秀한 것으로 나타나며 隣接의 많은 畵素를 요하는 精密畵像에 適合함을 보인다. 이 結果는 線形필터링을 요하는 映像處理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지역사회건강 연구와 근린의 사회경제적 수준 지표로서 주택 가격 수준의 이용 (The Use of Housing Price As a Neighborhood Indicator for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Neighborhood Health Studies)

  • 손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1권6호
    • /
    • pp.81-89
    • /
    • 2013
  • 최근 국외에서 수행된 몇몇 선행 연구들은 주택 가격과 개인 및 지역사회의 비만 수준 사이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보여준다. 이는 주택 가격이 개인 및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도 지역의 주택 가격수준이 지역에 거주하는 개인들의 집계된 건강수준을 잘 설명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우리나라에서도 해외의 사례에서와 같이, 지역의 주택 가격으로 대표되는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의 비만도가 낮아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지역의 평균적 주택 가격수준이 비교된 여타의 사회경제적 수준 지표들 못지 않게 지역의 비만인구 비율을 잘 설명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주택 가격이 다른 사회경제적 지표들과 같이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을 대표하는 효과적인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비전 트랜스포머 성능향상을 위한 이중 구조 셀프 어텐션 (A Dual-Structured Self-Attention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Vision Transformers)

  • 이광엽;문환희;박태룡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51-25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비전 트랜스포머의 셀프 어텐션이 갖는 지역적 특징 부족을 개선하는 이중 구조 셀프 어텐션 방법을 제안한다. 객체 분류, 객체 분할, 비디오 영상 인식에서 합성곱 신경망보다 연산 효율성이 높은 비전 트랜스포머는 상대적으로 지역적 특징 추출능력이 부족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윈도우 또는 쉬프트 윈도우를 기반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여러 단계의 인코더를 사용하여 연산 복잡도의 증가로 셀프 어텐션 기반 트랜스포머의 장점이 약화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보다 locality inductive bias 향상을 위해 self-attention과 neighborhood network를 이용하여 이중 구조 셀프 어텐션을 제안한다. 지역적 컨텍스트 정보 추출을 위한 neighborhood network은 윈도우 구조보다 훨씬 단순한 연산 복잡도를 제공한다. 제안된 이중 구조 셀프 어텐션 트랜스포머와 기존의 트랜스포머의 성능 비교를 위해 CIFAR-10과 CIFAR-100을 학습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Top-1 정확도에서 각각 0.63%과 1.57% 성능이 개선되었다.

비선형 최적화 문제의 해결을 위한 정수계획법과 이웃해 탐색 기법의 결합 (Integration of Integer Programming and Neighborhood Search Algorithm for Solving a Nonlinear Optimization Problem)

  • 황준하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7-35
    • /
    • 2009
  • 정수계획법은 조합 최적화 문제의 최적해를 매우 효과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기법인 반면에 대상 문제가 선형적으로 표현되어야만 적용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수계획 법의 뛰어난 탐색 능력과 이웃해 탐색 기법의 유연성을 결합함으로써 비선형 최적화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1단계에서는 주어진 문제로부터 선형적으로 표현 가능한 부문제만을 대상으로 정수계획 법을 적용한다. 2단계에서는 전체 문제를 대상으로 이웃해 탐색 기법을 적용하되 1단계의 결과를 초기해로 설정한 후 탐색을 수행한다. 비선형 최대 커버링 문제를 대상으로 한 실험 결과, 이와 같은 간단한 결합만으로도 이웃해 탐색 기법만을 적용했을 때보다 훨씬 좋은 해를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기본적으로 정수계획법의 탁월한 성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온라인 커뮤니티를 매개로한 공동체가 근린관계에 미치는 영향 - 목동 'The Sharp' 공동주택 중심으로 (The Effect of Internet Community on the Neighborhood Relationship - Case study of Mokdong 'The Sharp' apartment area)

  • 김성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1-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 단지 내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채팅, 게시판 카페 등과 같은 온라인 커뮤니티가 근린공동체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근린관계의 다양한 요소를 도출하여 주민들의 근린관계 의식 및 공동체적 활동이 온라인 커뮤니티의 활성화와 관계되어 있는지를 관찰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온라인 커뮤니티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근린관계특성을 비교분석하였고 근린 공통체관계에 미치는 요인들을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온라인 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주민은 상대적으로 이웃과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 정보 등을 원활히 교류할 수 있어 주거단지 내 근린관계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공동주택 내 단절되어 가는 이웃관계를 개선시키기 위해 공동주택 계획의 중요한 요소로서 온라인 커뮤니티가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공동주택 내 범죄와 사고에 대한 예방과 해결을 위한 향후연구에 기초자료로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생활밀착형 치유정원 연관키워드 분석 (An Analysis of Keywords Related to Neighborhood Healing Gardens Using Big Data)

  • 황지루이;이애란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81-90
    • /
    • 2022
  • 본 연구는 도심내 정신건강의 녹색치유공간의 사회적 필요성에 기인하여 생활밀착형 정원에 대한 현 시대의 사회적 인식요소 분석을 통해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빅데이터 툴 중 덱스톰을 활용하여 웹정보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을 진행하여 키워드 분석, 네트워크 분석과 담론분석을 통해 요소의 추출과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치유공간과 치유환경은 도시 내부인 생활밀착의 공간 안에 친화적 건강 환경을 구축하고 있었다. 둘째, 생활밀착은 시설뿐 아니라 생활문화와 도시환경을 연동하여 국가와 지방행정,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과 활동을 담고 있으며 생활밀착형 정원은 녹색복지와 서비스 프로그램을 통해 내실화되고 있다. 결론으로 정신건강에 유익하고 친근한 생활권의 공익형 정원은 긍정적 자극을 줄 수 있는 치유 환경으로서의 녹색인프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