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waveform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32초

임계모드에서 동작하는 단일 전력단 고역률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ingle-Stage High-Power-Factor Electronic Ballast for Discharge Lamps Operating in Critical Conduction Mode)

  • 서철식;박재욱;심광열;김해준;원재선;김동희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기기및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B
    • /
    • 제54권12호
    • /
    • pp.601-608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single-stage high-power-factor electronic ballast for fluorescent lamps operating in critical conduction mode. The proposed topology is based on integration of boost converter as power factor corrector(PFC) and a half-bridge high frequency parallel resonant inverter into a single stage. The input stage of the boost converter is operating in critical conduction mode for positive and negative half cycle voltage respectively at line frequency(60Hz). So that a boost converter makes the line current follow naturally the sinusoidal line voltage waveform. The simulated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100W fluorescent lamps operating at 42kHz switching frequency and 220V line voltage have been obtained. This proposed inverter will be able to be practically used as a power supply in various fields as induction heating applications, fluorescent lamp and DC-DC converter etc.

자동차 조명장치용 고압 방전등 시스템의 특성해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utomotive Ballast System)

  • 이두호;김병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795-3801
    • /
    • 2011
  • 자동차 방전 램프의 전압과 전류에 대한 수학적 해석은 고전압 안정기 해석 및 설계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방전 램프에서 발생되는 램프 전력과 음극 전압 강하 현상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에 적용된 수치해석 알고리즘을 구현하였고 여기에서 발생된 해석결과는 실험과 비교 검토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설계 기반의 해석방법을 적용하여 자동차용 고전압 안정기 핵심 부품에 대한 설계 인자를 도출하였다.

교류구동방식에 의한 형광 OLED의 주파수 응답 특성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Fluorescent OLED with Alternating Current Driving Method)

  • 서정현;주성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40-46
    • /
    • 2019
  • To study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lternating-current-driv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s), we fabricated blue-fluorescent OLEDs and analyzed their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lternating current voltage and frequency. The luminance-frequency characteristics of alternating-current-driven OLED was similar to that of a low-pass filter, and the luminance of high-voltage OLED decreased at higher frequency than low-voltage OLED. The luminance characteristics of the OL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is due to the capacitive reactance in the OLED, generated during the alternating current driving.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OLED according to the voltage is due to the decrease in internal resistance of the organic layer. In addition, the negative voltage component of the alternating current did not affect the frequency response of the OLED. Therefore, the electroluminescent characteristics of OLED with an alternating current power of 60 Hz are not influenced by the frequency.

고역통과필터 값이 P300의 파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pass filter settings on P300 waveform)

  • 엄진섭;음영지;손진훈;박광배
    • 감성과학
    • /
    • 제13권1호
    • /
    • pp.179-186
    • /
    • 2010
  • 본 연구는 Duncan-Johnson과 Donchin(1979)과 Soskins, Rosenfeld와 Niendam(2001)의 연구를 부분적으로 확장한 것으로, EEG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고역통과필터의 값이 P300의 파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시각자극을 이용한 세자극 오드볼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Fz와 Pz에서 측정한 뇌파를 0.01Hz, 0.3Hz와 1.0Hz의 고역통과필터를 사용하여 여과시켰다. 0.3Hz의 고역통과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P300 진폭이 크게 감소하지 않았지만, 1.0Hz의 고역통과필터는 P300의 진폭을 크게 감소시켰다. 0.01Hz의 고역통과 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P300 이후 부적 정점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0.3Hz와 1.0Hz의 고역통과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P300 이후 부적 정점이 관찰되었다. 비목표자극과 표준자극에 대한 P300의 진폭을 변별할 때에는 0.3Hz 고역통과필터와 정점-정점 P300 측정치를 사용하는 것이 0.01Hz나 0.3Hz, 1.0Hz 고역통과필터와 기저선-정점 측정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효율적인 경향이 있었으며, 1.0Hz의 고역통과필터를 사용한 경우에는 정점-정점 P300 측정치가 기저선-정점 P300 측정치보다 더 유용한 경향이 있었다.

  • PDF

CNT/PDMS 복합체로부터 방사된 초음파의 파형 특성 (Waveform characteristics of ultrasonic wave generated from CNT/PDMS composite)

  • 김기석;김무준;하강렬;이주호;팽동국;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59-466
    • /
    • 2019
  • 투명한 PMMA (Poly methyl methacrylate) 기판 위에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와 PDMS (Poly dimethylsiloxane)를 코팅한 복합체에 레이저 펄스를 조사하면 열탄성효과에 의해 수중에 강한 초음파가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 초음파 발생과 관련한 열음향 이론을 정립하고, 가우시안 파형을 갖는 레이저 펄스를 두께가 $20{\mu}m$인 CNT/PDMS 복합체에 조사했을 때 어떤 파형의 초음파가 발생하는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파악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CNT/PDMS 복합체에서는 충격 초음파가 발생하며, 그 파의 형상은 복합체의 각종 물성 값이 ${\pm}20%$ 변하여도 크게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정(+), 부(-)의 피크 값은 열팽창계수가 증가하거나 밀도, 열용량, 음속이 감소하면 증가하며, 열전도도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변하지 않음을 알았다. 나아가, 직접 제작한 CNT/PDMS 복합체에서 방사되는 초음파의 측정 결과와 시뮬레이션 결과의 비교로부터 그 물성 값을 추정할 수 있었다.

호흡 감지를 위한 복부 부착형 전도성 고무소자의 계측특성 (Characteristics of conductive rubber belt on the abdomen to monitor respiration)

  • 김경아;김성식;조동욱;이승직;이태수;차은종
    • 센서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4-32
    • /
    • 2007
  • Conductive rubber material was molded in a belt shape to measure respiration. Its resistivity was approximately $0.03{\;}{\Omega}m$ and the resistance-displacement relationship showed a negative exponent. The temperature coefficient was approximately $0.006{\;}k{\Omega}/^{\circ}C$ negligible when practically applied on the abdomen. The conductive rubber belt was applied on a normal male's abdomen with the dimensional change measured during resting breathing. The abdominal signal was differentiated ($F_{m}$) and compared with the accurate standard air flow rate signal ($F_{s}$) obtained by pneumotachometry. $F_{m}$ and $F_{s}$ differed in waveform, but the start and end timings of each breaths were clearly synchronized, demonstrating that the respiratory frequency could be accurately estimated before further processing of $F_{m}$. $F_{m}-F_{s}$ loop showed a nonlinear hysteresis within each breath period, thus 6 piecewise linear approximation was performed, leading to a mean relative error of 14 %. This error level was relatively large for clinical application, though customized calibration seemed feasible for monitoring general variation of ventilation. The present technique would be of conveni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as a new wearable respiratory transducer.

벼멸구의 섭식 패턴과 벼 조직내에서 구침의 이동 (Electrical Feeding Patterns and Stylet Movement of Ric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Homoptera), in the Rice Tissues)

  • 윤영남;장영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8-217
    • /
    • 1993
  • 벼멸구의 식이행동을 전기적인 측정 방법을 통하여 관찰하였으며 이들을 각각의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고, 그결과 type P, S, SB, O, X, Ph 등 6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Type P는 벼멸구가 식물에체 처음 접근하여 기주를 탐색할 때 볼 수 있었으며, 구침을 조직내에 찔어 넣거나조직내에서 이동할 때에는 type S를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매우 규칙적인 S패턴은 체관부에 구침을 찔어 넣을때만 볼 수 있어 type SB로 따로이 분류하였다. X와 Ph패턴은 각각 물관부와 채관부에서 흡즙할 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type O는 기타 다른 조직내에 구침이 있을 때 이러한 전기적 패턴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각각의 전기적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원하는 패턴이 나타날 때에 식흔이 있는 벼의 조직을 잘라서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각각의 타입별로 벼멸구 배설물을 측정하였다.

  • PDF

Wavelet변환을 이용한 청각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뇌파의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nalysis of EEG Signals Evoked by Auditory Stimulus using Wavelet Transformations)

  • 김정환;유일회;신정욱;임재중;황민철;김철중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33-236
    • /
    • 1996
  • We are exposed to the various external stimuli input from the environment, which cause emotional chang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imuli. Unfortunately, there are no quantitative results on relationship between human sensibi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hysiological signa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EEG signals evoked by auditory stimulation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analysis of the variabilit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EG waveform may provide the significant information regarding changes in psychological states of the subject. The experiment was devised with seven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are control and six different types of auditory stimulation. Twenty subjects were used to obtain EEGs while introducing auditory stimulation. Wavelet transformation was employed to analyze the EEG signal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constructed signals at the decomposition level revealed the different energy value on the EEG signals. Also, general patterns of EEG signals in rest state compare with negative and positive stimulus were found. This study could be extended to estabilish an algorithm which distinguishes psychophysiological states of the subjects exposed to the auditory stimulation.

  • PDF

전자방사식 고압 저전력 방전을 이용한 OH radical 발생기의 개발과 성능 평가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Hydroxyl Radical Generator using Electron Emission Type High Voltage and Low Current Discharger)

  • 강형섭;홍영표;이인호;김기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558-566
    • /
    • 2017
  • 본 연구는 MOSFET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구형파를 구현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전류의 상승을 최대한 줄여 전체 회로의 안정성 이 확보된 폐수처리용 전자방사식 OH radical generator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성이 확보된 전자방사식 고압 저전력 방전을 이용한 폐수처리용 전자방사식 OH radical generator를 개발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2016년 1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그 결과 AC 체배 변환기의 입력 단에 연결되는 Power MOSFET의 drain 전류는 CR-스너버 구조의 부궤환(negative feedback) 회로를 통해 안정적이고 일정한 펄스 파형을 제공할 수 있었으며 AC 체배 변환기의 여기 전류(excitation current) 감소 및 발진 회로의 안정성을 상승시킬 수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회로를 갖는 전자방사식 OH radical generator에서 OH radical을 안정정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었다. 또한 살균능을 평가한 결과, E. coli, S. aureus와 S. flexneri는 60분 후 최대 99.9%이상의 살균력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MOSFET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구형파를 구현함과 동시에 순간적인 전류의 상승을 최대한 줄여 전체 회로의 안정성이 확보된 살균능이 우수한 폐수처리용 전자방사식 OH radical generator를 개발하였다.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의 주파수 성분 특성에 따른 공동 현상 억제 효과 (Cavitation Suppression Effects by the Modification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High Intensity Focused Ultrasound)

  • 최민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8-77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고강도 집속형 초음파의 주파수 특성(파형)에 따른 초음파 공동 현상을 억 제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세가지 파형, 즉, 정현파(1 MHz, 5 MPa), 주파수 변조파(10 ㎲ 동안 1 MHz에서 6 MHz까지 선형적으로 증가, 5 MPa), 비대칭 충격파(기 본 주파수 1 MHz, 양압 12 MPa, 음압 -4 MPa)를 고려하였다. 동일한 강도(833 W/㎠)를 가지는 각 초음파에 노출된 초기 반경이 1 ㎛인 물 속에 있는 공기 기포의 반응을Gilmore bubble dynamic model 및 Church's rectified gas diffusion equation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기포 진동의 크기는, 정현파에 노출된 경우와 비교하여, 주파수 변조된 초음파의 경우 현저히 감소하였고, 비대칭 충격파의 경우 약간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흥미롭게도 주파수 변조파에 대한 기포의 반응은 변조된 초음파의 주파수 성분이 기포의 공진 주파수(3 MHz) 이상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사실은 주파수 변조를 현재의 1 MHz부터 6 MHz까지에서 1 MHz부터 3 MHz까지로 줄여도 유사한 공동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 실용적으로, 비교적 좁은 밴드 폭을 가지는 범용 초음파 변환기를 이 용하여 초음파의 공동 현상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한 주파수 변조를 구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음파의 적절한 주파수 성분 조절로 초음파의 공동 현상을 일정 수준 억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