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Parenting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5초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Smart Phone Addiction Model for Adolescent)

  • 이종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433-44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심화시키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4년 자료를 가지고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자아존중감, 부모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또래애착, 학교생활적응의 요인으로 스마트폰 중독 모형을 구성하고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결과로 부정적인 양육태도와 또래애착은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은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대해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을 감소시키기 위한 다양한 임상적,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기질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애정적 양육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Temperament on Subjective Well-Being: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 윤경희;이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03-81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subjective well-being in adolescents and to help improve it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temperaments, perceived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354 students from 4 different middle schools in Gwang-ju, Korea.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was conducted by means of the SPSS 21.0 program using Pearson'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emperament and perceived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were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temperament traits, novelty seeking and harm avoida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well-being, whereas affection,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bjective well-being. Second, after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affection on subjective well-being was confirmed, three temperament traits, viz.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were identified as mediating factor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adolescents' temperament and perceived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are related to their subjective well-being and can also predict their subjective well-being. Harm avoidance, reward dependence, and persistence, which are inborn temperaments, affect subjective well-being. Affection, which is a perceived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trait,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as a mediation variable.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influence perceived parenting affective attitude, which has growth potential, rather than temperaments which are hard to change.

학령 전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Adaptation Resilience in Relation to Parenting Stress for Mothers with Children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 양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80-293
    • /
    • 2014
  • 본 연구는 강점관점을 토대로 학령 전 발달장애아를 둔 어머니의 적응유연성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및 복지관에 다니는 학령 전 발달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이며, 수집된 자료 중 170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은 보통 수준 이상이었으며, 하위차원별 점수는 사회적 자원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성격구조화, 사회적 성취, 개인의 강점, 미래에 대한 인식, 가족응집력의 순이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양육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71점으로 보통 이하였으며, 하위차원별로는 부모의 고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발달장애아 어머니의 적응유연성과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회귀분석 결과 장애자녀 적응행동과 적응유연성 중 미래인식, 개인의 강점, 사회적 자원의 세 가지 하위 차원이 양육스트레스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넷째, 장애자녀 및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보다는 어머니의 적응유연성 관련 변인들이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데 있어 더 중요한 예측변수로 나타났다.

친지의 사회적지원, 부부특성, 어머니의 양육특성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Couple's Characteristics, and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upon Infant Development)

  • 임현주;최항준;최선녀
    • 아동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91-109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various factors,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couple's characteristics, and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and their impact upon infant developmen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data was taken from 2078 infants who were born in 2008 and their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1st Korean Children Panel Survey of the Child-Care Policy Research Institute.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by means of a structural model and the fit of the model was also found to be very goo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and couple's characteristics did indeed impact upon an infant's development, with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having a mediating effect. The direct effect of the social support of friends and relatives on infant development was positive and the results of the effect were the same even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The direct effect of a couple's characteristics on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was negative but the result of it was also positive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mother's parenting characteristics.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Depression and Parenting Behavior on Children's Problem Behavior)

  • 이소현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7-127
    • /
    • 2018
  • 본 연구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우울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형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만 3~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203명이며, 우울증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어머니 양육행동 척도(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한국판 유아행동평가 척도 부모용(K-CBCL)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하였고, 단계적 중다회귀(Stepwise Multi-Regression)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내재화 문제행동 및 외현화 문제행동은 어머니의 우울, 거부적, 통제적 양육행동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의 애정적, 자율적 양육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유아의 내재화,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우울과 양육행동 유형별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우울이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거부적 양육행동이 추가적인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어머니의 우울 감소 프로그램 및 거부적 양육행동과 같은 부정적 양육행동의 감소를 위한 부모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애착이 부모역할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the parenting perception for university student)

  • 마지순;박정환;문창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21-3330
    • /
    • 2009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이 지각한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이 부모역할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에 소재한 W대학의 대학생 223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대학생들의 인구변인학적 문항과 어머니와 아버지에 대한 애착 척도와 부모역할 인식에 대한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적률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어머니와 아버지 애착과 부모역할 인식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부모의 의사소통, 신뢰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난 반면 어머니와 아버지의 소외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부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대학생들의 부모애착 중 아버지의 신뢰감이 부모역할 인식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은 어머니의 의사소통 애착이었다.

과잉양육행동과 또래소외가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의존경향성의 매개효과 및 성별에 따른 다집단분석 (The Effects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The Mediating of Smartphone Dependency and Focus on Multi Group Analysis between Boys and Girls)

  • 박가화;이지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6권2호
    • /
    • pp.145-156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explores the mediating effects of smartphone dependency on the above relations. The subjects were 1,882 first grade students in middle school selected from the 7th year data of the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s, and Sobel test with SPSS 21.0 and Amos 18.0.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gender. However, boys were higher in the perception of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and girls were higher in smartphone dependency. Second, peer-alienation and smartphone dependency had negative impacts on the school adjustment. But over-parenting behavior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Third, smartphone dependency played a mediator role between over-parenting behavior and peer-alienation as well as the school adjustment.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relations among over-parenting behavior, peer-alienation, smartphone dependency and school adjustment. But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influ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erventions on how to use smartphone correctly are important for improving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In addition, gender differences in school adjustment should be consider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유아의 사고능력에 대한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 (Effects of the Parenting Attitude on Children's Thinking Ability)

  • 임호찬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613-634
    • /
    • 2008
  • 본 연구는 영재성의 기초인 유아의 사고능력이 연령 별로 모의 양육태도와 어떤 연관이 있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5시에 소재한 유치원에 등원하는 4$\sim$6세 유아 401명과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영재성 평가검사로 활용되는 레이쌀 검사 시리즈에서 가장 난이도가 낮은 유아의 사고능력을 알아볼 수 있는 레이븐 CPM 검사와 부모의 양육태도에 관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부모양육태도 검사는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간섭, 처벌, 감독, 과잉기대, 비일관성 등 8개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는 먼저 부모의 양육태도는 연령대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세 유아는 합리적 설명, 성취압력, 처벌, 감독 요인이 문제해결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밝혀졌고, 5세는 지지표현과 감독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6세는 지지표현, 합리적 설명, 처벌, 과잉기대가 사고력 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 영역별 정적 혹은 부적 효과를 논의하였다. 이 결과는 부모가 자녀의 연령에 따라 양육태도를 변화시켜 대응하는 것이 사고력 발달에 효과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부모의 양육효능감, 체벌지지도가 학령기 아동학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 in Corporal Punishment on Physical Abuse of Children in Korea)

  • 홍경자;안혜영;김혜원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0권4호
    • /
    • pp.479-487
    • /
    • 2004
  • Purpose: This survey was done to describe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as they are related to child abuse. Also demographic variables that influence child abuse were investigated. Method: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second week of April 2002. The 160 participants were parents of students in five elementary schools in the J area of Korea. They replied to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129 repl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e WIN SPSS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 Parenting self-efficacy,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and child abus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of the children. Child abuse by parents has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arenting self-efficacy (r=-.369, p=.000), socioeconomic states of family(r=-.290, p=.001), educational level of mother(r=-.211, p=.027), educational level of father(r=-.342, p=.000), parent's age(r=-.200, p=.028).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liefs in corporal punishment significantly influence child abuse in Korean parents. Conclusion: As parenting self-efficacy explained 49.7% of child abuse, it i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for preventing child abuse. Belief in corporal punishment was the second most important variable in preventing child abuse. These two variables explained 53.3% of variance in child abuse by parents.

  • PDF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특성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Features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 Infant-Mother's Job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Conflict)

  • 연은모;최효식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81-10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직무만족도, 심리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어머니의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심리적 특성(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 중, 취업 중인 어머니 44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심리적 특성인 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관계, 우울과 부적 상관관계, 결혼생활 관련 변인인 양육스트레스, 부부갈등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양육스트레스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어머니의 직무만족도는 부부갈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가 양육스트레스와 부부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대체로 심리적 특성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양육스트레스와 부부 갈등 분야에서의 본 연구의 의의와 가족 상담 과정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