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edle fir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16초

국산 침엽수구조재의 허용응력설정에 관하여 - 1종 구조재를 중심으로 - (Assignment of the Allowable Design Values for Domestic Softwood Structural Lumber - Structural I-grade -)

  • 오세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11-1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sent a summary of assignment design values according to domestic softwood structural lumber grading rules. Allowable stresses for visually graded lumber were determined from basic data on small. clear specimens. The data corrected for variability such as natural defects and other factors. The procedure adopted by Japan was used for assigning allowable design values. Strength ratios in relation to each defect were taken from ASTM D 245-81. Korean pine(Pinus koraiensis S. et Z.),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S. et Z.), Japanese larch(Larix leptolepis Gordon) and Needle fir(Abies holophylla Max) were applied to this study. The calculated allowable stresses were same in Korean pine and Korean red pine. These values were highest in Japanese larch lowest in Needle fir. So, it is desirable for these species to b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agories Species Group. However, accurate comparison in design values on lumber grading rules among U.S., Japan and Korea was somewhat difficult. And full scale testing will be necessary for accurate determination of the correction factors to setting up design values.

  • PDF

Ion chromatography에 의(依)한 나뭇잎의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有機酸) 분석(分析) (Determin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in Pacific Silver Fir Leachates by Using Ion Chromatography)

  • 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22-29
    • /
    • 1993
  • 나뭇잎으로부터 발생되는 저분자량 유기산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자연상태의 나뭇잎 (needle litter)을 유기용매의 추출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사용방법과 침엽수잎(Pacific Silver Fir)의 부후정도에 따른 유기산의 종류와 농도의 변이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초기의 침엽수잎 여과액으로부터는 $C_2$에서 $C_4$까지의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oxalic acid) 그리고 포름산(formic acid) 등이 주종을 이루지만 부후정도가 커짐에 따라 방향핵을 가진 방향핵 유기산(aromatic organic acid)이 발생한다.

  • PDF

한국 전나무(Abies holophylla), 일본 전나무(A. firma, A. homolepis), 그리고 법정 보호 전나무의 잎 형태적 특성 및 엽록체 DNA 분석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Needle Leaves and Analysis of Abies species based on Chloroplast DNA Sequences)

  • 안창호;최용의;박완근;한정연;곽유신;김세창;박찬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8권2호
    • /
    • pp.200-207
    • /
    • 2019
  • 본 연구는 한국 전나무(Abies holophylla) 및 2종의 일본 전나무(A. firma 및 A. homolepis), 그리고 우리나라 법정 보호 전나무 간의 구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각각 조사대상목의 잎 끝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A. holophylla는 뾰족한 형태를 보였고, 반면에 A. firma와 A. homolepis는 미요두(微凹頭) 형태를 보였다. 그리고 법정 보호 전나무의 잎 끝은 원두(圓頭) 형태를 보였다. 각각 전나무 종들 간의 잎 기공수를 비교한 결과, A. holophylla와 A. firma의 잎 기공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A. homolepis와 법정 보호 전나무의 잎 기공수는 매우 유사한 것으로 보였다. 엽록체 DNA 바코드(matK, atpF-atpH, rpoC2-rps2, rpoC1, psbA-trnH)를 이용하여 전나무 종간 유전적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atpF-atpH와 psbA-trnH 영역에서 A. firma와 다른 전나무 종들 간의 분명한 염기서열의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종명이 분명히 다른 한국 전나무(A. holophylla)와 일본 전나무(A. homolepis)간에 엽록체 염기 서열차이가 전혀 없으며, 또한 법정 보호 전나무와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이들 종간의 유전적 차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의 진행이 필요하다고 본다.

광릉 전나무 식재기록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lanting Records of Needle Fir in Gwangneung)

  • 김은경;이해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9
    • /
    • 2019
  • 본 연구는 고문헌을 통하여 광릉 전나무 식재의 사적 근거를 밝히고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일성록(日省錄)" 등의 식재기록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와 산림생태조사 및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현재 광릉 전나무의 수령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능제는 가장 보수적인 체제로 광릉 조성 과정 중 식재는 전례에 따라 이루어졌을 것이다. 건원릉을 시작으로 능침수목 식재기록을 통하여 소나무, 잣나무, 버드나무가 식재되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선후기 능침 작벌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조 22년 무오년 수교가 반포되었으며, 이후 봄 가을로 정기 식재가 이루어졌다. 정조 23년 기록을 통하여 조성 및 관리 연한이 오래된 9개 능을 대상으로 식재 주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광릉에는 잣나무와 잡목이 식재되었다. 셋째, 무오년 수교가 고종 치세 31년간 지켜지고 있으며, 예조별단을 통해 구체적인 식재 수종, 식재 장소, 식재 주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종 22년부터 25년까지 4년간 광릉에는 지속적으로 전나무가 식재되었으며 잣나무를 식재한 곳은 광릉이 유일하였다. 넷째,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수령 파악이 가능했으며, 현존 광릉 전나무 식재 시기는 철종 10년 이후부터 고종 연간으로 판단하였다.

오대산(五臺山) 전나무림(林)의 숲틈에서 발생(發生)된 전나무 치수(稚樹)들의 공간적(空間的) 유전구조(遺傳構造)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Needle Fir(Abies holophylla Seedlings on the Forest Gap Within a Needle Fir Forest at Mt. Odae in Korea))

  • 홍경낙;최영철;강범용;홍용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4호
    • /
    • pp.565-572
    • /
    • 2001
  • 본 연구는 오대산의 전나무 노령임분(老齡林分)내 숲틈에서 발생된 1~2년생 전나무 치수(416개체)의 공간적 유전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ISSR(inter-simple sequence repeats) 표지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 숲틈의 크기는 $1,500m^2(50m{\times}30m)$로 전나무이외 수종의 상층임관 일부와 중 하층임관이 제거되고, 전나무 성목은 입목고사(立木枯死) 혹은 수세가 불량한 상태이다. 31개의 다형성 ISSR 표지자를 이용한 공간의 자기상관성분석에서는 15.6m이내에 유전적 동질성을 갖으며, 이후 31.2m까지는 임의분포를 나타내었다. 숲틈내 전나무 성목의 평균수고(21.1m), 종자의 산포범위, 성목간 평균거리(23.7m)를 고려할 때, 전나무 치수의 유전적 군락 크기(genetic patch size)는 모수의 분포밀도에 따라서 제한받는 것으로 추정된다. 치수 산포에 대한 방향성 파악을 위하여 유전적 거리를 이용한 다차원척도법의 형상좌표를 '유전적 형상(genetic configuration)'으로 설정하고, 이를 이용한 분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향성 분산도에서는 동서방향으로 거리의 증가에 따라 치수간 유전적 동질성이 계속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대산 전나무림의 막대한 종자생산량과 조사구내 치수 발생수의 임의분포와 임상(林床)의 균일성을 고려하면, 이러한 전나무 치수의 유전적 방향은 모수간 충실율 차이나 국소환경보다는 종자 산포의 방향성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orbitol-Facilitated Preconditioning Improves Desiccation Resistance of Douglas-fir and Western Hemlock Seedlings

  • Guak Sung-Hee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0-106
    • /
    • 2006
  • A hypertonic solution of sorbitol was used to precondition Douglas-fir and Western hemlock plug seedlings to improve desiccation resistance. Seedlings were preconditioned by soaking their root balls in water, -0.75 or -1.50 MPa sorbitol solution for 22 hr, and then exposed to desiccation conditions for 8 days. During the desiccation period, a transpirational water los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sorbitol preconditioning, with its effect positively depending on concentration. This preconditioning-induced reduction in water loss was mainly caused by the decline in needle stomatal conductance. Sorbitol-induced stomatal control was more closely associated with reduction in plant water potential, rather than increase in abscisic acid concentrations. After rehydration of stressed-plants, most of the preconditioned seedlings with sorbitol were survived, while only 35% of Douglas-fir and 28% of Western hemlock seedlings treated with water were alive. The post-growth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preconditioned seedlings than only water-treated seedling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earlier stomatal control with sorbitol-facilitated preconditioning could play a role in improving desiccation resistance of evergreen woody plants at transplanting in the field where water supply is limited or dry conditions are prevailing.

결정성(結晶性) Dihydroquerceting의 새로운 분취방법(分取方法) (New Separation Technique of Crystalized Dihydroquercetin)

  • 송홍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9권3호
    • /
    • pp.72-76
    • /
    • 1991
  • The new preparative separation techneque of dihydroquercetin (2, 3-trans-dihdroxy-3, 3', 4', 5, 7-pentahydroxydihydroflavonol) was investigated by liquid chromatography. Also some typical coniferous wood bark were examined for the sources of dihydroquercetin. The good sources of dihydroquercetin were Douglas-fir[Pseudotsuga menziesii] bark and pitch pine [Pinus rigida] bark. There is no dependance the produced place and species dihyroquercetin which is separated by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was taken with white needle-like crystals. This crystals were very stable in the humidity and on the light. It also can stored very long without derivatives.

  • PDF

국립수목원의 전나무(Abies holophylla) 조림지의 물 이용 효율의 계절 및 경년 변동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bility of Water Use Efficiency of an Abies holophylla Plantation in Korea National Arboretum)

  • 빈두 말라 타쿠리;강민석;장용휘;천정화;김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66-377
    • /
    • 2016
  • 물 이용 효율(water use efficiency, WUE)은 생태계의 에너지-물질-정보의 흐름과 연관된 프로세스-구조 사이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생태학적 지표로 간주된다. 생태계 단위의 WUE 는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vity, GPP)과 증발산(evapotranspiration, ET)의 비로 정의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립수목원에 위치한 전나무(Abies holophylla) 조림지의 WUE 를 조사하기 위해 KoFlux 에서 장기간(2007-2015) 에디공분산 방법으로 관측된 이산화탄소와 수증기 플럭스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전나무 조림지의 WUE의 계절 및 경년 변동을 규명하여 탄력(resilience) 평가를 위한 총체적인 생태학적 지표의 개발에 활용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나무 조림지의 WUE는 8월에 최소값($1.8-3.3g\;C{\cdot}(kg\;H_2O)^{-1}$), 2월에 최대값($5.1-11.4g\;C\;(kg\;H_2O)^{-1}$)을 갖는 오목한 형태의 계절 변동을 보였다. 성장기(4 월-10 월)의 WUE 는 평균 $3.5{\pm}0.3g\;C{\cdot}(kg\;H_2O)^{-1}$ 이었고, 휴면기(11 월-3 월)의 WUE는 평균 $7.4{\pm}1.0g\;C{\cdot}(kg\;H_2O)^{-1}$로서 경년 변동의 폭이 컸다. 이 전나무 조림지의 WUE 는 문헌에 보고된 다른 온대 지역 침엽수림의 WUE 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범위에 속한다. 성장기는 4 월부터 10 월까지의 기간으로 정의하였으나, 실제 성장기의 길이(growing season length, GSL)는 매년 변화하였고, 이러한 GSL의 변화가 성장기 WUE의 경년 변동의 62%를 설명하였다. 이 연구는 생태계 단위 WUE의 장기 변동을 정량화 한 국내 첫 결과로서, 산림생태계 모형, 위성 알고리즘 및 탄력을 시험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SMUAP의 패턴분류를 위한 근 신호처리 알고리듬 (A EMG Signal Processing Algorithm for SMUAP Pattern Classification)

  • 이진;조일준;변윤식;홍완희;김성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7호
    • /
    • pp.106-111
    • /
    • 1989
  • 본 연구에서는 근신호로 부터 SMUAP의 패턴 분류를 위한 새로운 근신호처리 알고리듬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spike 카운터를 이용한 의사결정 방법으로서 ISI의 조합 및 규칙성을 검사하고, 주파수 평면에서 SMUAP 파형을 정렬하였으며 FIR 필터링을 통하여 스파이크를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IBM PC/AT 상에서 $10{\sim}50%$ MVC에 대한 5초 동안의 침 전극으로 검출된 근신호로 부터 $5{\sim}9$개의 SMUAP를 분류하였으며 인식율은 55% 이상이었고 컴퓨터 수행시간은 2분이었다.

  • PDF

서울대 광양연습림내 토양 미소 절지동물에 관한 연구 - 3. 날개응애와 식생과의 관계 (Soil Microarthropods at the Kwangyang Experiment (3. Relationship between Soil Oribatid Mite and Vegetation))

  • Kwak, Joon-Soon;Kil, Bong-Seop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2권3호
    • /
    • pp.191-202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mites(Acarina:Cryptostigmata) and vegetation in sampled area. From July 1984 to June 1985, samples were taken monthly from coniferous forests; a pinenut (Pinus koraiensis S. et Z.) forest (site C-1), a whitepine(Pinus strobus L.) forest (site C-2), a needle fir tree(Abies holophyla Max.) forest (site C-3), and three broad-leaved forests; site B-1, B-2, and B-3 in Cholanamdo province, southerm part of Korea. Vascular plants of 152 species belonging to 115 genera (53 families) were identified. The flora in the coniferous forests were more diverse than in the broad-leaved forest. Similarity coefficient to the flora was shown highly between the neighbouring sites. The oribatid species in the coniferous forests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in the broadleaved forests. The similarity index suggested that oribatid mites in those surveying sites could be divided into "coniferous forest type" and "broad-leaved forest type".d forest type".uo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