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bC

검색결과 1,380건 처리시간 0.032초

Zr-2.5wt.% Nb 합금의 인장강도 특성

초미세결정립 $ Fe_{73.5}Cu_{1}Nb_{3}Si_{16.5}B_6$ 합금의 $M\""{o}ssbauer$ 효과 연구 ($M\""{o}ssbauer$ Effet Studies on Nanocrystalline $Fe_{73.5}Cu_{1}Nb_{3}Si_{16.5}B_6$ Alloy)

  • 신영남;김재경;양재석;조익한;강신규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19
    • /
    • 1994
  • 비정질 $Fe_{73.5}Cu_{1}Nb_{3}Si_{16.5}B_{6}$ 합금의 $552^{\circ}C$에서 등온열처리시간에 따른 결정화 거동을 $M\"{o}ssbauer$ 분광법으로 연구하였다. 열처리된 시료는 $Do_{3}-FeSi$ 초미세결정립, Cu-cluster 및 비정질이 공존함이 $M\"{o}ssbauer$ spectrum 분석에 의해 확인되었다. 결정화 초기단계에 Cu-cluster가 형성되기 때문에 FeSi 초미세결정립의 Si함량은 높아지며, 열처리시간이 60분이 될 때까지 Si함량은 감소하는데 이는 FeSi 초미세결정립의 평균초미세자기장의 증가를 일으키며, 이후 Si함량은 거의 일정하다. 60분 이후의 열처리에서 FeSi 초미세결정립과 잔류비정질의 체적분율이 미소하게 변화함에도 잔류비정질의 평균초미세자기장이 감소하는 것은 잔류비정질에서의 Nb, B원자의 존재비의 증가에 기인된다. $552^{\circ}C$에서 60분 열처리 할 경우 FeSi 초미세결정립과 잔류비정질의 초미세자기장의 방향이 모두 무질서하게 분포된다. FeSi 초미세결정립과 Cu-cluster의 Avrami지수는 각각 0.51, 0.65, 잠복기는 각각 2.4분, 0.8분,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2.35 eV, 2.44 eV이며, Cu-cluster가 FeSi 초미세결정립보다 먼저 생성된다는 것은 Cu 원자가 FeSi 초미세결정립의 생성을 촉진시킨다는 해석과 부합한다.

  • PDF

SrO의 첨가에 따른 [Li0.04(Na0.5K0.5)0.96](Nb0.86Ta0.10Sb0.04)O3세라믹스의 유전 및 압전 특성 (Dielectric and Piezoelectric Properties of [Li0.04(Na0.5K0.5)0.96](Nb0.86Ta0.10Sb0.04)O3 Ceramics Doped with SrO)

  • 박민호;류주현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198-203
    • /
    • 2012
  • In this study, $[Li_{0.04}(Na_{0.5}K_{0.5})_{0.96}](Nb_{0.86}Ta_{0.10}Sb_{0.04})O_3+xSrO$ (x=0, 0.0025, 0.005, 0.0075) ceramics were synthesized by the conventional mixed oxide method.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demonstrated that ceramics possessed single perovskite structure. The SEM images indicate that microstructure can be obviously affected by a small amount of added SrO.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etragonal-cubic($T_c$) and orthorhombic-tetragonal($T_{o-t}$) shifts downward and upward with the increase of Sr addition, respectively. The excellent piezoelectric properties of $d_{33}=170[pC/N]$, $k_p=0.37$, $Q_m=64.12$, $T_{o-t}=153^{\circ}C$ and $T_c=370^{\circ}C$ were obtained from the 0.25 mol% Sr added ceramics sintered at $1,120^{\circ}C$ for 1 h.

분극된 <001> 방위 Pb(Mg1/3Nb2/3)O3-PbTiO3 단결정의 유전 특성 및 상전이 (Dielectric Properties and Phase Transformation of Poled <001>-Oriented Pb(Mg1/3Nb2/3)O3-PbTiO3 Single Crystals)

  • 이은구;이재갑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342-345
    • /
    • 2012
  • The dielectric properties and phase transformation of poled <001>-oriented $Pb(Mg_{1/3}Nb_{2/3})O_3-x%PbTiO_3$(PMN-x%PT) single crystals with compositions of x = 20, 30, and 35 mole% are investigated for orientations both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001] poling direction. An electric-field-induced monoclinic phase was observed for the initial poled PMN-30PT and PMN-35PT samples by means of high-resolution synchrotron x-ray diffraction. The monoclinic phase appears from $-25^{\circ}C$ to $100^{\circ}C$ and from $-25^{\circ}C$ to $80^{\circ}C$ for the PMN-30PT and PMN-35PT samples, respectively. The dielectric constant (${\varepsilon}$)-temperature (T) characteristics above the Curie temperature were found to be described by the equation$(1/{\varepsilon}-1/{\varepsilon}_m)^{1/n}=(T-T_m)/C$, where ${\varepsilon}_m$ is the maximum dielectric constant and $T_m$ is the temperature giving ${\varepsilon}_m$, and n and C are constants that change with the composition. The value of n was found to be 1.82 and 1.38 for 20PT and 35PT, respectively. The results of mesh scans and the temperature-dependence of the dielectric constant demonstrate that the initial monoclinic phase changes to a single domain tetragonal phase and a to paraelectric cubic phase. In the ferroelectric tetragonal phase with a single domain state, the dielectric constant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poling direction was dramatically higher than that measured in the parallel direction. A large dielectric constant implies easier polarization rotation away from the polar axis. This enhancement is believed to be related to dielectric softening close to the morphotropic phase boundary.

초미세결정립과 비정질이 공존하는 $Fe_{73.9}$$Cu_{1.0}$$Nb_{3.5}$$Si_{14.0}$$B_{7.6}$ 합금의 자기장 중 열처리 (Heat Treatment Effects of $Fe_{73.0}Cu{1.0}Nb_{3.5}Si_{14.0}B_{7.6}$Alloy with Imbedded Nanocrystalline Phase under Magnetic Field)

  • 양재석;손대락;조육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3-20
    • /
    • 1998
  • 초미세결정립과 비정질을 동시에 포함하는 리본형 Fe73.9Cu1.0Nb3.5Si14.0B7.6 합금을 자기장 중 열처리한 시편의 결정?적 특성 및 고주파 연기자 특성을 인가 자기장과 열처리 온도에 따라하여 조사아였다. 제조된 리본의 표면에 석출된 Fe-Si 초미세결정립은 (400) 우선방위를 나타내는 동시에 리본길이방향으로 [011] 결정측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엿다.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거나 길이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열처리할 때 45$0^{\circ}C$에소 Fe-Si 초미세결정립이 석출되다, 폭방향의 자기장을 인가한 경우 초미세결정립의 석출은 지연되어 55$0^{\circ}C$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길이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할 때 시편의 결정화 정도는 외부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조금 증가하였다. 그러나, 시편의 각도를 기울여 측정된 X-선 회절패턴으로부터 시편내부는 표면과 달리 결정화가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열처리한 시편의 포화자기유도는 1.3T로 비슷하였다. 열처리전 리본의 보자력의 크기는 1.06A/츠이었으나, 열처리한 시편은 열처리 온도가 40$0^{\circ}C$에서 55$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0.56A/cm에서 0.1A/cm로 감소하였다. 폭방향의 자기장을 인가한 경우 각형비는 자기장을 인가하지 않거나 길이방향으로 자기장을 인가하여 열처리한 시편의 각형비보다 작았다.

  • PDF

NiO-Doped Pb(Ni$_{1}$3/Nb$_{2}$3/)O$_3$-PbTiO$_3$-PbZr$_3$-O세라믹스의 전기 및 기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iO doped Pb(Ni$_{1}$3/Nb$_{2}$3/)O$_3$-PbTiO$_3$-PbZrO$_3$-ceramics)

  • 나은상;김윤호;최성철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45-251
    • /
    • 2000
  • Pb($(Ni_{1/3}Nb_{2/3})O_3-PbTiO_3-PbZrO_3$세라믹스에서 NiO첨가에 따른 유전, 압전 및 기계적 특성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Columbite precursor법을 사용하여 분말을 제조 후 공기중에서 $1100^{\circ}C$~$1250^{\circ}C$의 온도로 2시간 소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1150^{\circ}C$이하 온도에서 소결한 시편에서는 NiO를 1 mol% 첨가시까지 유전상수와 압전상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량이 그 이상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NiO가 소결조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1200^{\circ}C$ 이상 온도에서 소결한 시편에서는 NiO 첨가량 증가에 따라 유전상수와 전기기계결합계수가 감소하였으며, 기계적품질계수는 증가하였다. 경도 및 파괴인성은 1 mol% 첨가시 최대 값을 보이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다. NiO 첨가 PNN-PT-PZ 세라믹스의 전기적 및 기계적 특성은 결정립크기, 소결밀도 및 2차상의 양 등의 미세구조적 요소와 긴밀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 PDF

HfN/Si$_3$N$_4$와 NbN/$Si_3N_4$다층박막의 기계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HfN/Si$_3$N$_4$and NbN/$Si_3N_4$Multilayer Coatings)

  • 정진중;황선근;이종무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36-242
    • /
    • 2001
  • 고속도 공구강 기판에 반응성 스퍼터링법으로 증착된 HfN/Si$_3$N$_4$와 NbN/Si$_3$N$_4$다층박막의 기계적인 성질들을 막 증착 조건에 따라 평가하였다. HfN/Si$_3$N$_4$와 NbN/Si$_3$N$_4$ 다층박막의 강도는 $N_2$/Ar비가 0.4일 때가지 증가하다가 유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두 다층박막의 강도는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에 의해서는 거의 변화가 업지만 80$0^{\circ}C$ 정도의 고온에서는 열처리에 의한 산화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낮은 온도에서의 열처리는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반면 고온에서의 열처리는 강도의 감소 이외에 밀착성이 감소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 PDF

$Ti:LiNbO_3$ 도파로 제작을 위한 열처리 과정 동안 강유전 도메인 특성에 미치는 영향 (Ferroelectric domain inversion in $LiNbO_3$ crystal plate during heat treatment for Ti in-diffusion)

  • 양우석;이형만;권순우;김우경;이한영;윤대호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4-127
    • /
    • 2005
  • [ $Ti:LiNbO_3$ ], 광도파로 제작을 위해 큐리온도$(T_c)$ 아래에서 백금박스 내에서 알곤 과 산소 분위기 내에서 열처리 과정 동안 기판 표면의 강유전 도메인 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열처리 된 $LiNbO_3$ 기판의 +Z면의 경우 전체적으로 약 $1.6{\mu}m$ 두께로 도메인 반전이 이루어 졌으며, 표면에서 etch hillock이 관찰되었다. $LiNbO_3$ 결정 표면의 Li 이온이 외부로 확산 되는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에 있는 기판 면에서 하나의 도메인이 관찰되었으며, 이때 결정 표면에서의 식각특성, 결정성 및 양이온 분포변화에 관하여 X-선 회절, AFM 및 SI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유전체 재료를 활용한 이동통신 필터 기술

  • 김준철;방규석;이형규
    • 한국전자파학회지:전자파기술
    • /
    • 제12권3호
    • /
    • pp.25-34
    • /
    • 2001
  • 이동통신용 유전체 필터에 사용되는 유전체 재료 는 많이 상용화 되어 있다. 그러나 향후 IMT2000, BIuetooth. Wireless LAN등에 채용될 부품은 더욱 소형화로 여기에 필요한 새로운 유전체 재료가 요 구된다. 이러한 필터는 결국 적층 일체형 필터의 제작이 대두되고 이를 위해서는 높은 유전율에 높은 Q값을 갖는 저온소결(900˚C이하)재료가 필요하다. 본고에서는 저온소결이 가능한 BiNbO$_{4}$,재료를 갖고 설계, 적층공정 등을 통하여 적층일체형 필터를 제 작하였다.

  • PDF

MnO$_2$가 첨가된 Pb(Sn$_{1}$2/Nb$_{1}$2/)O$_3$-PbTiO$_3$-PbZrO$_3$ 세라믹의 유전 및 초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electric and Pyroelectric Properties of the Pb(Sn$_{1}$2/Nb$_{1}$2/)O$_3$-PbTiO$_3$-PbZrO$_3$ Ceramics doped with MnO$_2$)

  • 함영욱;이능헌;이덕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13
    • /
    • 1993
  • ln this study, x PSN - y PT - z PZ ceramics doped with w MnO$_2$were fabricated by the mixed oxide method at 1250[$^{\circ}C$] for 2[hr] and then the dielectric and pyroelectric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the 0.05 PSN - 0.4 PT - 0.55 PZ specimen with 0.5[wt.%] MnO$_2$, the pyroelectric coefficient was 6.6${\times}$10$\^$-8/[C/cm$^2$$.$$^{\circ}C$], respectib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