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 of science

검색결과 3,948건 처리시간 0.033초

과학사 주제에 따른 과학사-역할놀이가 대학생의 과학의 본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원자모형의 변천과 멘델레프의 주기율표의 변천 주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iveness of the change in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science depending on subjects of the history of science-role play -The atomic model transition and the Mendeleev's periodic table -)

  • 김도욱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1호
    • /
    • pp.15-2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본성을 현대적 관점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2 종류의 과학사-역할놀이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그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와 과학사 주제별 과학의 본성의 인식의 변화에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과학사 주제에 따른 역할놀이 활동 전후의 과학의 본성 인식변화 효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I 그룹(원자모형의 변천-역할놀이 활동)과 II 그룹(멘델레프 주기율 표-역할놀이 활동)을 수행한 그룹 사이에 과학의 본성 인식 정도가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동질한 그룹이었으나, 각각의 주제로 과학사-역할놀이 처치를 한 후 시행한 사후검사에서 I 그룹이 II 그룹보다 그 인식의 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과학사-역할놀이 활동을 처치한 후에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정도는 각각의 역할놀이와 결합시키는 과학사의 주제에 따라 그 효과가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주제의 흥미도와 난이도를 고려하기 보다는 시계열적 과정을 거쳐 다수의 과학자들이 과학적 이론을 정립해 가는 과정이 포함된 과학사 주제를 선택하여 과학사-역할놀이 활동을 할 경우 과학의 본성의 변화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절개사면 녹화지역과 인접 자연지역의 식생 비교 (Comparison of Vegetation between Cutting Slope Revegetation Area and Adjacent Nature Area in Korea)

  • 강희경;송홍선;조용현;박봉주;김원태;신경준;어양준;윤택승;장광은;곽무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9-89
    • /
    • 2012
  •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differences in the habita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in Korea. Plant number in plot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10.3 and 15.0 taxa, respectively, and coverage was 90.6 and 88.1%, respectively.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very heterogeneous, due to low similarity index (0.38) and less common plants. Festuca arundinacea frequency (56.7%) was highest in revegetation area,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 frequency (66.7%) was highest in nature area. Plant appearing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was 111 and 136 taxa, respectively. Herb appearing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s was 93 (83.3%) and 72 (52.9%) taxa, respectively, tree was 18 (16.2%) and 64 (47.1%) taxa, respectively. Plant communities of revegetation area was classified into Lespedeza bicolor, Indigofera amblyantha, Alnus sibirica, Festuca arundinacea, Eragrostis curvula, Miscanthus sinensis, Humulus japonicus, Setaria faberii, Rudbeckia bicolor, Pueraria lobata community. Plant communities of nature area was classified into Pinus densiflora, Quercus aliena, Quercus acutissim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Castanea crenata,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Populus tomentiglandulosa, Phyllostachys bambusoides community. Habitat,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revegetation and nature area showed a large difference.

'과학의 본성' 교육 -그 다원성 고찰- (A Study on the Plurality of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 조은진;김찬종;최승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721-738
    • /
    • 2018
  • 최근 유수 과학교육연구자들은 세계 여러 나라의 과학교육 현장은 물론, 과학교육 연구 전통에서 과학의 본성 교육의 중심축을 형성해 온 '합의 과학의 본성 관점'에 대한 비판과 옹호 및 대안적 견해들을 갑론을박 형세로 제기하고 있다. 합의 과학의 본성 관점은 다각적인 경로를 통해 NOS 교육 표준화를 위해 구축한 '보편적 과학 지식의 본성'에 해당한다. 그 교의에는 과학 지식의 잠정성, 주관성, 이론 의존성, 법칙과 이론, 관찰과 추론, 상상력과 창의성, 사회문화적 착근성 주제 등이 포함되며, 몇 가지 선언적 문장으로 구성된 리스트 형식을 취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서구 과학교육 연구 내 NOS 개념화 전통은 물론, 현 시점에서 논의되는 NOS 교육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현대적이며 미래 지향적 과학적 소양인 교육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특히 과학에 대한 전체론적 인식론을 주창해 온 저명 과학교육 연구자들이 제시한 합의 NOS 관점에 대한 논쟁과 비판의 요지를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이어 과학의 본성이 갖는 본유적 가치는 다양한 학문적 렌즈를 통해 과학이 기능하는 실제 방식을 표현하는데 있으므로, 그러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이끌 수 있는 과학의 본성 개념에 다가가기 위해, 여러 대안적 과학의 본성의 내용 요소에 대한 제안 및 과학의 본성 교육에 대한 의견들을 살펴 보았다. 즉 '과학의 본성 개념이 갖는 논쟁적 요소에 대한 교수', '비판적 과학의 본성', '비판적 사고력 과학의 본성', '전체 과학', '과학의 특성', '재개념화 된 가족유사성 접근 과학의 본성' 등을 고찰하여, 현대적 과학철학과 과학지식사회학에 기반을 두어 과학의 본성 내용 지식의 보편성과 다원성을 중심으로 그 함의를 제시하였다.

강원도 홍천강의 조류군집과 생물학적 지수에 의한 수질 평가 (The Water Quality Assessment based on the Algal Communities and Biotic Indices in Hongcheon river, Gangwon-do)

  • 백준수;김헌년;이옥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96-604
    • /
    • 2014
  • This research has studied the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and communities of epilithic diatom and phytoplanktons at Hongcheon river from December 2011 to September 2012. In case of TN, the result was hypertrophic, and for TP, it ranged from mesotrophic to eutrophic. As for BOD, Hongcheon river was rated level II or better, according to the water quality level; values were found to be below 3mg/L at most sites. Total of 83 and 114 taxa of epilithic diatom and phytoplanktons respectively, were found during the research. When assessed using the TSI, it ranged from oligomesotrophic to eutrophic. In case of DAIpo, it ranged from 64.1 to 99.5, and TDI ranged from 51.5 to74.0. These results signify good water quality, level B or better, for Hongcheon river. P-IBI was rated moderate to low, which showed higher pollution than other indices. Among the biological water quality measures analyzed in the Hongcheon river study, DAIpo best matches TDI and BOD, while TDI showed greater pollution. Therefore, P-IBI appears to be inappropriate when assessing the domestic small rivers and lakes.

자연유기체를 통한 산업제품 조형의 응용성에 대한 연구 - 제품디자인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ure Organic Form for Industrial Products -Mainly around Examples of Product Design-)

  • 곽희준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3호
    • /
    • pp.91-100
    • /
    • 2004
  • 자연은 끊임없이 신비한 산물들을 대량생산해내는 만물의 공장이며, 그 산물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또한 자연은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을 둘러싼 미적 아이디어를 끊임없이 제공한다. 그러므로 인간은 자연을 대상으로 시각적 관찰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자연스런 충동에 따른 조형을 추구하게 된다. 자연에 대해 인간이 얻을 수 있는 미적 체험은 그 대상에 대하여 시각적으로 연구할 때, 연상에 따른 형상들을 의식적으로 떠올릴 수 있게 해주는 미학적 변형의 원천인 것이다. 수없이 변화된 자연물과 마찬가지로 의식적으로 경험되는 인 공의 산업 생산물은 자연물과 구조적, 형태적 질을 공유하며 조형적 균형을 위한 의미를 갖게 된다. 자연을 관찰하여 질서나 원리를 통해 디자인에 적용시키고자한 시도는 바우하우스 이후 디자인의 한 방법으로서 부분적으로 실천되어 왔지만, 자연에 대한 연구과정이 서로 분산된 영역에서 진행되어왔다. 최근에 이르러서 이러한 연구는 관련 분야간에 복합되는 입장에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자연유기체의 다양한 범주들을 본 연구에서는 단지 부분적으로 제품디자인 측면에서 고찰하지만, 종합적으로 디자인학적 조형성과 자연유기체의 조형학적 접근은 기본적으로 중요한 것이라 생각하여 본 소고에서 고찰해 보고자 한다.

  • PDF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 김경대;강순민;임재항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743-752
    • /
    • 2006
  • 이 연구는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지 선다형 검사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영역별, 성별, 그리고 사사교육의 일종인 R&E 프로그램 이수 경험별로 나뉘어 조사하였다. 이 조사를 위하여 한국과학영재학교 273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결과,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은 과학지식의 잠정성에서 가장 높은 인식을 보였다. 성별과 R&E 프로그램 이수 경험별로 나뉘어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 집단별 인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R&E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못한 집단으로 나누어 인식 성향을 조사하였을 때, 프로그램을 경험한 집단이 과학자의 연구동기 및 연구활동을 보다 사회적인 맥락에서 인식하였고,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이를 통하여 R&E 활동 경험이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한 요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이들 결과는 과학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특히 R&E 프로그램의 운영과 평가, 그리고 과학영재 교육과정 개발 및 과학교사 교육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황야에 대한 인식과 미적 경험의 변화 - 조경의 이중적 자연관과 그 모순 - (Conceptual Shift of Wilderness and Its Aesthetics - A Perspective on the Contradictory View of Nature in Landscape Architecture Tradition -)

  • 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9-68
    • /
    • 2006
  •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ual shift of wilderness and its legacy to the contradictory view of nature in landscape architecture tradition. In hunting and gathering societies, there was no dichotomy between the cultivated environment and wilderness. 'Wilderness' is a word whose first usage marks the transition from a hunting-gathering economy to an agricultural society. We can identify two archetypal responses to wilderness: classical and romantic. In the classical perspective, wilderness is something to be feared-an area of waste and desolation. The conquest of wilderness and the creation of usable places is a mark of civilization. For the romantics, in contrast, untouched wilderness has the greatest significance; it has a purity that human contact tends to sully and degrade. Wilderness for the romantics is a place to revere, a place of deep spiritual significance, and an object of aesthetic experience. In the Western world, the classical position predominated until the last two hundred years when the romantic concept began to gain more ground. The shift was made possible by the change in the way nature is understood. Modernity and modern science objectified nature. The transition of the concept of wilderness exemplifies the objectification and pictorialization of nature. Wilderness in the modern era is not different from the pastoral landscape which can be controlled by landscape architects.

한옥의 친환경 특성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요소 분석 (An Analysis of the Natural Characteristics of Hanok that is Beneficial to Human Factors)

  • 안의종
    • KIEAE Journal
    • /
    • 제14권5호
    • /
    • pp.97-102
    • /
    • 2014
  • The beauty of Korean architecture is in its natural beauty. Traditional residence of Korea is architecture that expresses modesty that is embraces the nature. Hanok is designed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responding to it. For this reason, Hanok is a nature-friendly residential space. There are many unique traits of Hanok and one of them is that it is built based on scientific principles. Hanok, without using modern technology and machines, utilizes effectively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climate, e.g., the sun and the wind. Hanok, based on Korea's geographical condition and climate characteristics, have produced a variety of residential houses. The principle of Hanok is not to challenge the nature but embrace and accept it. Furthermore, in Hanok is embedded Korea's traditional philosophy and ideas and it is not simply a simple residential space but also a place for meditation and spiritual training. As the time passes, there are more researches are being done to enhance health in addition to traditional role of protection and convenience. Accordingly, m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bring the nature into human life. Hanok, the traditional residential form of Korea, has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e and characteristics that could promote human health and enhance our life. Therefore, the nature-oriented philosophy and environmental elements of Hanok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studied to take advantage of its architectural advantages and create healthier modern residential culture.

도시민의 농촌 야외여가활동의 동기, 여가혜택과 만족간의 영향 관계 (The Impact of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otivation, Benefits and Satisfaction derived from Rural Outdoor Recreation for Urban Residents)

  • 손호기;조록환;이정은;강명보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739-753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tendency and benefits of outdoor recreation in rural areas. The preferences and importance of the benefits of outdoor recreation activities in rural areas were simultaneously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discussion of a four quadrants portfolio map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he social benefits in quadrant i had the characteristics of 'sharing nice experiences with others', 'having contact/interchange with others', 'colleagueship/helping each other', 'being together with friends', and 'making new friends.' These social benefit types were perceived a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but the real level of achievement was rather low. Thus it seems necessary, in the process of program development, to apply the social benefit type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nature and relaxation benefits in quadrant ii had the characteristics of 'relaxation and recreation', 'understanding nature', 'nature experience', 'getting away from everyday life', and 'experiencing new things.' These benefits and experience of nature were regarded as very important characteristics by the participants in outdoor recre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ir real achievements were highly recognized, thus they seemed to be proper types for the goals involved in developing an outdoor recreation activity program in rural areas. The personal and challenge benefits in quadrant iv had the characteristics of 'training of mental ability', 'improvement of self-esteem', 'fitness', 'increase in determination', 'possible danger', 'achievement', 'excitement', and 'adventure.' These benefits had less importance to the participants, but had relatively high achievement, thus it might be important to make further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tendency, seasons and facilities.

Tolerance: An Ideal Co-Survival Crop Breeding System of Pest and Host in Nature with Reference to Maize

  • Kim, Soon-Kwo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59-70
    • /
    • 2000
  • In nature, plant diseases, insects and parasites (hereafter called as "pest") must be co-survived. The most common expression of co-survival of a host crop to the pest can be tolerance. With tolerance, chemical uses can be minimized and it protects environment and sustains host productivity and the minimum pest survival. Tolerance can be applicable in all living organisms including crop plants, lifestocks and even human beings. Tolerant system controls pest about 90 to 95% (this pest control system often be called as horizontal or partial resistance), while the use of chemicals or selection of high resistance controls pest 100% (the most expression of this control system is vertical resistance or true resistance). Controlling or eliminating the pests by either chemicals or vertical resistance create new problems in nature and destroy the co-survial balance of pest and host. Controlling pests through tolerance can only permit co-survive of pests and hosts. Tolerance is durable and environmentally-friend. Crop cultivars based on tolerance system are different from those developed by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GMO) system. The former stabilizes genetic balance of a pest and a host crop in nature while the latter destabilizes the genetic balance due to 100% control. For three decades, the author has implemented the tolerance system in breeding maize cultivars against various pests in both tropical and temperate environments. Parasitic weed Striga species known as the greatest biological problem in agriculture has even been controlled through this system. The final effect of the tolerance can be an integrated genetic pest management (IGPM) without any chemical uses and it makes co-survival of pests in nature.in n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