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e's intrinsic value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1초

지구과학교육을 위한 "활동적 고유한 가치" 제안 : Eratosthenes 지구 크기 측정을 중심으로 (Suggesting "Activity Inherent Value" for Earth Science Education: Estimating the Size of the Earth by Eratosthenes)

  • 오준영;이유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2-122
    • /
    • 2024
  • 연구의 목적은 지구과학교육의 주요한 대상인 자연이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그것의 외재적 유용성인 도구적 가치를 넘어선, 그 자체의 내재적 가치에 어떻게 접근하는가를 탐색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심리적 요소들이 포함된 실험 전체 전이과정에서 활동적 고유한 가치(Activity-based inherent value) 라고 하였다. 환경윤리의 핵심에는 가치, 그리고 무엇이 지속할 만한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공리적 질문이다. 그것은 단순히 지속을 넘어선 문제이다. 그 해답은 지속적인 자연환경의 가치로, 내재적인 가치, 즉 생명 애호가로서 유산가치(Leopold의 생명공동체의 건강함을 표현하는, 통일성, 안전성, 아름다움 등) 로, 특히 아름다움을 보전해야 하는 교육이다. 나아가 내재적 가치 대신 지속 가능한 가치로 가치평가 영역을 공시적 차원에서 통시적 차원인 윤리적 가치로 격상시켜야한다. 환경윤리학에서는 지식 자체의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내재적 가치를 유산가치(bequest value)라고 한다. 연구는, 기존의 경험을 무시하는 선험적인 내재적 가치와, 경험 중심의 활동 중심적 고유한 가치를 구분하였다. 또한 지구과학교육에서 과학적 실험으로, Eratosthenes의 지구크기측정 실험으로 활동 중심의 고유한 가치원리를 탐색하였다. 과학적 세계관에 따른 가치원리는 가치판단의 근거가 된다. 무엇보다도 실험결과를 추론하는 과정에서 미적 가치가 개입되는 실험의 활동적 가치 체험을 통하여, 내재적 가치가 발현되고 있었다. 교육적 시사점으로 우리가 지속가능한 사회와 자연을 만들어가는 근간이 되는 도구적 가치보다는 고유한 가치를 내면적으로 전이 될 수 있도록 돕는 가치-교육이 되어야한다.

듀이 교육목적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탐구 (A Study of Intrinsic Values in Dewey's Educational Aim)

  • 권정선;허경섭;김회용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88-110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rinsic values with respect to the nature of aim from the viewpoint of Dewey. The intrinsic values have been recognized as values independent of activities or the content that preexist before embodied into activities. But from the perspective of Dewey, intrinsic values can be revealed only through the activity. Because they are inherent in the activities. Dewey suggested that the educational aim that is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metaphysics should be meaningless in that it is given from outside and not related to human activities. The educational purpose that influenced by modern metaphysics and contemporary theories also can be regarded external, because the content and value of learning are assumed ahead activities. In the view of Dewey, the concepts of values are exposed through activities, so they can not exist independently. According to his own metaphysics that organism and its environment interact each other, all values c an be formed only in the course of activities. Thus, the intrinsic value of Dewey is a process per se, as the intrinsic value cannot be assumed ahead activities but can be exposed through activities. Bringing meaning to life through experience is Dewey's concept of growth as an educational aim. Education under such a purpose, would give the foundation to cultivate talent who are creative, proactive and communicate with their neighbors as a member of a democratic society.

A STUDY ON THE INTEGRATED APPROACH FOR CHARACTER EDUC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 CHUNGHYUN YU
    • Journal of Applied and Pure Mathematics
    • /
    • 제5권1_2호
    • /
    • pp.55-68
    • /
    • 2023
  • Character educa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al purpose in the current situation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current mathematics curriculum, character education is mentioned in terms of core competencies. However, it is very difficult to concretely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i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tradition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suggests that mathematics is regarded as a practical tradition by the nature of mathematics from a value-intrinsic perspective. In this respect, mathematics education is defined as an intrinsic and nurturing character through long history of practice. This paper searched for an integrated approach to practicing character education in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argued that the teacher's personal approach including the class model approach of the human factors by an example of the exponential law aman = am+n and the value-orient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mathematics was the core.

유치원생과 초등 학생이 가지는 자연 환경에 대한 가치관 및 태도 -연령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Children's View of Environmental Value and Attitudes : On the basis of Age and Gender)

  • 신동희;이동엽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2호
    • /
    • pp.63-7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wo-fold; 1)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view of environmental value between 6-years-olds and 12-years-old, 2)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he attitude towards animals and plants between male-and female students. To accomplish the purposes of this study, two researchers deeply interviewed ten 6-years-old and 12-years-old boys and girls, respectively. First, the interviewees are asked to rank six constituents in nature, human-being, tiger, ant, gingko tree, weed, and stone, from their views of environmental value. Then, the interviewees were asked to talk about their various interaction with animals and pl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evaluating the value of nature constituents, 12-years-olds tended to be affected by scientific knowledge. On the other hand, 6-years-olds tended to evaluate the value of nature constituents by their emotional feeling; 2) From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ethics, 12-years-olds showed attitudes in anthropocentric or holistic ethics. On the other hand, 6-years-olds showed attitudes in nonanthropocentric ethics; 3) In evaluating the value of nature constituents, 12-year-olds tended to consider the constituent′s instrumental values and 6-years-olds tended to consider their intrinsic values; 4) From the perspectives of "ethics of care", females, especially 12-years females tended to take care of plants. The results propose more emphasis of environmental "sensuous" in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And male- and female students should be expected fairly in their environmental attitudes, especially in taking care of natural creatures.

  • PDF

도교의 생명주체환경윤리 (Bioautonomous environmental ethics of Taoism)

  • 김태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28호
    • /
    • pp.61-85
    • /
    • 2010
  • 이 글은 도가·도교의 생명주체주의를 기초로 도교의 환경윤리를 고찰한다. 동아시아 전통사상 가운데 생명 개념을 가장 포괄적이고 심도 있게 발전시킨 것은 도교이다. 도교에서 모든 개체생명은 도성을 갖기 때문에 인간의 가치평가와 무관하게 내재적 가치를 갖는다. 그런데 도교에서 인간은 다른 개체생명과 달리 생명주체성을 갖는다. 도교에서 인간은 자신의 생명을 타율적 자연의 흐름에 맡기는 것이 아니라, 자기의식 아래 자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주체적 능동적 존재이다. 자신의 요절과 장수는 하늘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개체자아의 의지에 따라 결정된다. 그런데 인간의 생명주체성은 두 가지 상이한 의미를 내포한다. 하나는 인간이 다른 개체생명을 자신의 불로장생의 도구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인간이 우주생명의 내재적 가치 즉 각 개체생명간의 조화로움을 실현하는 주체라는 것이다. 그런데 도교는 우주생명의 조화로움을 상위가치로 본다. 따라서 개체생명으로서 인간의 가치 실현은 우주생명의 조화로운 질서 유지와 다른 개체생명의 가치 실현이 전제되어야 한다. 도교의 환경윤리는 생명중심주의가 아니다. 생명중심주의는 존재의 선과 생명의 목적론적 중심이라는 측면에서 인간과 다른 생명체를 동등하게 취급함으로써 인간이 해야 할 역할과 책임을 축소시킨다. 그러나 도교는 우주생명의 조화 실현에 대한 인간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한다. 그러므로 도교의 환경윤리는 생명중심주의가 아니라 생명주체주의이다. 도교의 생명주체환경윤리는 인간이 다른 개체생명과의 관계에서 책임적 존재가 되어야할 것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생태환경회복의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어업자원의 경제적 특성과 그 관리의 사회.경제적 목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Feature of Fisheries Resource and Socio-economic Objectives in Fisheries Management)

  • 유동운
    • 수산경영론집
    • /
    • 제12권2호
    • /
    • pp.73-100
    • /
    • 1981
  • Fisheries resources, due to their intrinsic biological -density dependent, and socio- economic -common property nature, might yield the sustained benefits to the society involved,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social management scheme, pursuing the optimum yield from each of them, is framed. And besides,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management on them would, with no doubt, lead parallelly to the direction on scientific study of "Natural Resource Economics." Thus the objectives of the management, to ensue the best use of these society's resource, should underlie the technical, economic, ana social efficiency all together to meet the maximization of society's benefits from yields, taking account of managerial efficiency. And those multiple conflicts need communications between biologists, social scientists, and managers given tile mandate, tobe coordinated to arrive at a unique value weighed, through the well-ordered system approach and resulting timely decision-making which accommodates dynamical fisheries aspects and varying social purposes. purposes.

  • PDF

소비자의 창의성, 창발성 그리고 공동가치창출 활동과의 관계: 소비자 동기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onsumer Creativity, Emergent Nature and Engagement of Co-Creation: The Moderating Roles of Consumer Motivations)

  • 강성호;강우성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2호
    • /
    • pp.107-118
    • /
    • 2016
  • Purpose - In today's markets, new technologies such as social network systems and user generated contents have provided consumers with access to unlimited amounts of information and an ability to communicate with other consumers in the world. Specially, the massive of the internet and the development of online communities and interactive platforms offer the potential to cocreate with a large number of consumers. Significant changes in marketplace suggest that simply being consumer oriented is not enough, so firms must learn from and collaborate with consumers to create values that meet their individual and dynamic needs. In these sense, emergent perspectives in marketing highlight new opportunities for co-opting consumers as a means to define and cocreate value through their engagement. Although the importance of consumer co-creation with firms, the current literature lacks the respond to two questions: (1) who are the most competent consumers for creating the values with firm? and (2) what are the stimulaters to help the consumers engage for co-creation? To this answer the question, this research investigate how to structure consumer motivations to encourage consumers to be more engaged for co-creation and what drives a consumer to get involved to respond to a call for co-cre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empirically test the hypothese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consumers who had experienced the co-creation including upstream, downstream, autonomous, and sponsored co-creation with the firms. We collected a total of 343 responses. After we excluded 37 questionnaire because of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306 questionnaire remained. Working with a sample of 306 responses in Seoul and Kwangju, hierarchical moderated regression is employed to test research hypotheses. Results -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umer creativity and emergent nature are positively related to engagement in co-creation including upstream, downstream, autonomous, and sponsored co-creation. Also, th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 creativity/emergent nature and engagement in co-creation were moderated by intrinsic motivation in case of upstream and downstream co-creation. Finall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consumer creativity/emergent nature and extrinsic motivation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rketing managers have to consider the consumer personality such as creativity and emergent nature and stimulate the intrinsic motivation of consumer to achieve the co-creation project successfully.

응용예술로서 건축 디자인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mbolism of Architectural Design as an Applied Art)

  • 송석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83-91
    • /
    • 2014
  • As a applied art, Architecture is a synthetic art for dwelling and settlement. It has started with the origin of the human. and Artistical-technological indicator, include not only materiality but also immateriality such as history and society. After 20C, various categories of thinking is a undergoing rapid change. especially, beginning in 1900, The intrinsic value of "Fine Art" had lost their competitive power in the face of industrial revolution's mass production. and it has been displaced by a "new concept", such as a conveyance of meaning or rational way of thinking. This change means free from the tradition and custom of a past. for that reasons, Due to the nature of applied art, it always include design symbolism and designer's thinking is mainly processed in their own system of thinking. Symbolism for the art was distinguished from a general concept by the connotative meaning that called "the dual image". Therefore, at the start, this study will define about design and symbolism with a architecture as a applied art. then, Analysis the expression tendency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modification. as a result, It aim to systematize mapping process and suggest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visual cue.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사회와 헌법: 환경국가 원리 선언 (Ecological Sustainable Society and Constitution: A Manifesto for Environmental State Principle)

  • 박태현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7-45
    • /
    • 2018
  • 인간 문명 사회의 구조와 체계에 기인하는 현대의 환경문제는 이제 지구 전체의 생태적 지속 가능성을 위협하는 생태위기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생태위기는 인간 사회의 존속 자체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또한 사회위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계적인 생태-사회 위기에 대한 우리의 대응은 사회 구조·체계적인 것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우리 사회는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지향, 추구해야 한다.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달성하려는 노력은 생산·소비 양식을 포함한 생활 전반의 양식과 사회의 확립된 권력 구조의 변화라는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 요청되는 이러한 변화는 자연과 올바른 관계 정립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우리는 가치구속적이고 가치지향적인 이념질서로 국가 공동체의 법적 기본질서인 헌법의 새로운 정립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종래 필자는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의 규범질서로 헌법의 생태화 곧 생태 헌법(ecological constitution)이 필요함을 주장하며, 생태 헌법의 핵심 가치로 ① 자연환경과 생명(동물등) 가치, ② 생태적 지속 가능성, ③ 환경국가 원리, ④ 참여를 제시하였다. 이 글에서 기존의 주장 내용을 더 발전시켜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한 사회를 위한 헌법 규범의 틀로 환경국가 원리를 제시하고자 한다. 1980년 후반 독일에서 환경국가(Umweltstaat) 개념을 처음으로 사용한 미하엘 클로푀(M. Kloepfer)에 따르면 "환경국가"는 "환경의 불가침성을 국가의 과제 및 결정의 척도와 절차 목표로 하는 국가(제도)"를 말한다. 여기서는 환경의 불가침성을 보다 적극적으로 형성적 측면에서 규정함으로써 환경국가를 "한편으로 자연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다른 한편으로 자연적 생활기반의 유지 간의 균형을 보증하고 그것을 함께 형성하는 국가" 곧 "환경형성국가"로 정립하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환경국가 원리의 구성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정립하고자 한다. 먼저 환경국가의 이념 토대는 ① 인간 존재와 비 인간 존재로 구성되는 지구 위 생명공동체의 존중, ② 자연의 내재 가치 인정, ③ 자연과 공존·조화로 한다. 환경국가의 핵심 과제로 ① 환경권 보장, ② 지구 생태계와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 그리고 ③ 동물의 이익주체성의 인정으로 본다. 환경국가 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사회체계로 ① 경제질서와 ② 국토 및 자연자원의 지속가능한 보전·관리 및 ③ 농어업 및 지역 공동체를 제시한다.

환경문제에 대한 율곡철학의 도덕론적 접근 (A Moral Approach of Yulgok Philosophy on Environmental Issue)

  • 정원교
    • 한국철학논집
    • /
    • 제43호
    • /
    • pp.33-53
    • /
    • 2014
  • 현대과학 기술 문명은 그 폐해에 대한 진지한 반성 없이 삶의 환경을 근본적으로 흔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위기감은 인류의 생존 가능성이라는 문제의식 속에 현대 생태론의 대두를 불러왔다. 진지한 반성이란 단순히 환경보호운동을 위한 캠페인이 아니라, 인간과 자연이 가지는 내재적 가치에 대한 철학적 사고와 실천을 통해 자연과 인간, 인간과 인간이 서로 상생, 조화 할 수 있는 가치관을 구축하고, 건강한 관계를 맺는 것을 의미한다. 이 시점에서 만약 율곡이 현대에 살고 있고, 21세기의 생태론자들로부터 '현재의 심각한 환경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라는 질문을 받았다면, 과연 율곡의 해명은 무엇이었을까? 본 논문은 서구 생태론 즉, 기술주의적 환경론 심층생태론 사회생태론의 주장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율곡철학이 그들의 생각과 어떤 점에서 같고, 무엇이 다른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현대 환경문제에 대한 율곡철학의 처방을 유추하려는 것이다. 현대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논의할 때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도모해야 한다는 데에는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다만, 이에 대한 율곡의 사상을 고찰할 때, 율곡이 유학자였음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환경문제는 결국 인간의 문제이다. 따라서 율곡철학에서 조화(調和)란 인간 스스로 자기 존재의 깊은 내면을 성찰함으로써 날 때부터 지니고 있었던 인간 본연의 본래성을 회복하는 일에서부터 시작한다는 유학적 사고에 바탕하고 있음을 주목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발전하여, 사회와 자연 및 우주 만물의 생장에 동참하고, 이를 성장 발전으로 이끌어가는 책임의식의 실천이라는 것이 유가적 도덕의식을 기본 축으로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을 통하여 율곡의 관점에서 현대 환경문제의 근원적 처방은 도덕실천주체의 확립에 있음을 주장하고, 현대 과학기술 문명에 대한 맹신에서 벗어나 건강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한국 환경운동에 일조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