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ized species

검색결과 562건 처리시간 0.031초

전남지역 귀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 서남권을 중심으로 - (The Distribution and Management Methods of Naturalized Plants in Jeollanamdo, Korea - A Focus on the South-Western Area -)

  • 임동옥;박문수;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3-361
    • /
    • 2007
  • 본 조사는 2005년 5월 10일부터 2006년 12월 20일까지 전남 서남해권 목포시, 진도군, 영암군, 해남군, 신안군, 완도군, 무안군, 강진군 지역을 중심으로 이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군락을 조사함으로서 귀화식물의 지리적, 서식지 특성별 분포실태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29과 84속 122종 8변종으로 총 130종류가 조사되었으며, 귀화률은 45%이고, 각 조사지역의 출현종수는 염암에서 103종, 목포에서 98종, 신안에서 97종으로서,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30개 귀화식물군락으로 분류되었다. 8개 조사지역에서 공통으로 나타난 귀화식물군락은 아까시나무군락, 족제비싸리나무군락, 돌소리쟁이군락, 능수참새그령군락, 토끼풀군락, 호밀풀군락, 큰금계국군락, 큰김의털군락, 개보리군락, 털물참새피군락, 원추천인국군락, 다닥냉이군락, 개망초군락, 겹달맞이꽃군락, 개망초-망초군락, 쥐보리군락, 돼지풀군락, 들묵새군락, 코스모스군락, 노랑코스모스군락 등이며, 귀화식물의 분포특징은 서식지의 생태적 특성에 따라 6개 지역으로 구분하였다.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의 식물상 변화연구 (A 4-year Follow-up Survey of Flora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 김창환;명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25-37
    • /
    • 2008
  • A field survey was performed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from March 2004 to October 2007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changes of flora for 4 years since its creation. A total of 15 species including 10 families, 13 genera, 12 species and 3 varieties were planted at the Human-made Wetlands along Boknaecheon of Juam Lake which was completed in December 2002. The survey conducted in 2004, 15 months after creation of the Human-made Wetlands, revealed a flora composed of 47 families, 102 genera, 112 species and 19 varieties, 131 taxa in total. In 2007, further increase was registered with 46 species added compared to 2004 reaching 177 species in total. A 4-year monitoring of naturalized plants showed that no quick but constant increase was featured yearly in their number of species with 12 in 2004, 17 in 2005, 18 in 2006 and 19 in 2007. As for changes in life form, 13 species of perennial plants and 2 woody species, 15 in total, were planted initially but, in the survey 2004, 1- or 2-year old therophytes numbered 73, perennial plants 54 and woody species 4, indicating a large change of life form accompanied with increase in overall number of species. The number of 1- or 2-year old therophytes and perennial plants featured a steady increase each year from 2005 to 2007. The distribution ratio of 1- or 2-year old therophytes, however, showed a gradually decreasing tendency while perennial plants tended to increase, instead. As evidenced in changes of flora at the Human-made Wetlands, most of species in it have been determined to be fit or not within 1 to 2 years after its creation and, since the stable settlement of these species onward, its life forms have undergone stepwise changes together with th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parallel with repeated extinction and penetration of plants.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 유주한;박경훈;윤영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6-105
    • /
    • 2010
  • 본 연구는 창원시 내동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하천의 생태적 특성과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화식물의 수는 18과 38속 43종 2변종 등 4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 등 3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의 생활형 분석 결과, 교목 2분류군, 관목 1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7분류군, 지중식물 1분류군, 일년생식물 3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내동천의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16.6%, 25.1%였다. 종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상류 30분류군, 중류 42분류군, 하류 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상류 11.1%, 중류 15.5%, 하류 11.8%, 귀화율의 경우 상류 21.7%, 중류 33.3%, 하류 37.2%로 분석되었다. 횡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제방 39분류군, 둔치 30분류군, 수변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제방 14.4%, 둔치 11.1%, 수변 2.6%였고, 귀화율의 경우 제방 30.5%, 둔치 30.6%, 수변 20.0%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관리방안의 경우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자생식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귀화 현황 (Current Status of Naturalization by Exotic Ornamental Plants in Korea)

  • 길지현;김창기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06-214
    • /
    • 2014
  • 외국으로부터 도입된 관상식물의 귀화 사례가 국내외에서 다수 보고되고 있다. 외래 관상식물의 국내 생태계 영향 파악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국내의 귀화식물 309종을 대상으로 관상식물로 분류할 수 있는 78종의 목록을 작성하고, 생활형과 원산지 전세계적인 귀화 및 규제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에 귀화한 외래 관상식물은 국화과 식물이 23종으로 가장 많았다. 75종이 초본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다년생 식물이 일년생 및 이년생 식물에 비해 많았다. 유럽과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식물이 가장 많았으며, 약모밀을 제외한 나머지 77종은 해외에서도 귀화 사례가 보고되었다. 미국쑥부쟁이와 양미역취 등 34종은 국내 또는 해외에서 규제 또는 주의 대상으로 분류된 종들이므로, 이들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주요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종 간 영향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and Working Type on Major Forest Restoration Sites)

  • 전용삼;박준형;권오일;이혜정;임채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81-495
    • /
    • 2022
  • 이 연구는 산림복원사업 이후 유입되는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 식물의 실태 및 사업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장조사는 산림청에서 수행한 산림복원사업지 29개소를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 봄철(5~6월), 여름철(8~9월)로 나누어 연 2회 실시하였고, 사업 범위 밖의 지역은 조사에서 제외하여 실제 복원사업 후 도입 및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는 식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지 내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복원사업 준공내역 확인을 통해 현장에 실제 적용된 공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29과 80속 108종 1아종으로 109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식물은 총 3과 7속 8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사업 후 소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귀화식물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권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훼손 유형별 귀화식물 분류군 수의 경우 백두대간 단절 구간과 채석지, 시설부지 등의 유형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p<0.05). 복원지 내 나지 및 비탈면의 녹화를 위한 식생도입 방법인 종자 파종, 나무 식재,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의 유무에 따른 귀화율 비교 분석 결과, 종자파종을 할 경우 귀화율은 평균 15.545%로 파종 공종이 없는 경우의 평균 9.167%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그 외 다른 식생도입 방법은 공종 적용 유무에 따라 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는 식물체의 형태를 확인하고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는 나무 식재와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과는 달리 종자 상태에서 귀화식물 여부의 파악이 까다로운 종자 파종 공종이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 도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원지 내 종자 파종 시 종자 전문가에 의한 검수 과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원사업 시 식생 도입 및 사후관리의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월출산국립공원의 식물상과 그 보전 대책 (Flora and Conservation of Weolchulsan National Park)

  • 임동옥;김용식;황인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30-142
    • /
    • 2006
  • 월출산은 남부형 식물의 북한계 선상에 위치하는 국립공원으로 식물지리학적으로 중요하며, 확인된 소산식물은 106과 318속 453종 59변종 4품종으로 총 516종류이다. 산림청이 지정한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산닥나무, 수정난풀, 께묵, 끈끈이주걱, 통발 및 이삭귀개 등 6종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산식물 종 중 III등급에서 V종은 12종으로 확인되었다. 귀화율은 4.65%, 도시화지수는 9.06%로 확인되어 비교적 낮은 비율로나타났다.

황장산(문경시)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Mt. Hwangjang (Mungyeong, Gyeongsangbuk-do))

  • 백원기;신창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10-323
    • /
    • 2008
  • 본 조사연구는 황장산(1,077.3m)의 관속식물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6년 4월부터 2007년 8월까지 9회에 걸쳐 채집된 관속식물은 97과 257속 357종 5아종 42변종 9품종, 총 413분류군이었다. 이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4,071종류의 10.1%에 해당하였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특산식물이 6분류군이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종은 8 분류군이었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55분류군이었고 귀화식물은 7과 15분류군으로 우리나라 귀화식물 290종류(김과이, 2006)의 5.2%이고, 소산식물의 3.6%가 분포한다.

경기도 수안산의 식물상 (Flora of Mt. Suan, Gyeonggi-do)

  • 김중현;김선유;이지연;윤창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89-505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Suan (Gyeonggi-do). The vascular plant were collected 13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11), and 402 taxa in total were identified, including 102 families, 274 genera, 354 species, 6 subspecies, 40 varieties and 2 forms. Among them, 8 taxa of Korean endemic plants and the Korea Forest Service-designated rare plants were identified as 5 taxa. Based on the list of plants which have been approved for overseas delivery, 10 taxa were recorded in the investigated a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designated specially plants were identified as 17 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41 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index (NI) was 10.2% of total 402 taxa vascular plants.

경기도 안산시 대송갯벌 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Daesong Tidal Flat Wetland, Ahnsan-si, Gyeonggi-do)

  • 오현경;김세천;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48
    • /
    • 2014
  •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offer the raw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idal flat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Daesong tidal flat wetland, Ahnsan-si, Gyeonggi-do coast, Korea. The results of surveying the flora were recorded as 186 taxa including 45 families, 121 genera, 170 species, 14 varieties and 2 forms. The halophytes checked around this site were 20 taxa including Atriplex gmelinii, Salicornia europaea, Suaeda glauca, Suaeda japonica, Phragmites communis, Carex scabrifolia and so forth. Polygonum bellardii that species had ecological value was the specific plant by floristic region. The growth locations of halophytes were 11 taxa of upper, 4 taxa of high tide line and 5 taxa of lower.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2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Chenopodium glaucum, Melilotus alba, Veronica persica, Bidens pilosa, Leptochloa fusca and so forth. Because Aster subulatusand Leptochloa fusca grew a upper tidal flat wetland, they had the characteristics of halophytes. The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Daesong wetland were halophytes and naturalized plants. Firstly, to maintain a halophytes communities, we will sow the halophytes seeds and plant the individuals. And In-Situ conservation was applied to Polygonum bellardii habitat. Secondly, to prevent the genesis of naturalized plant, we will don't disturb around the wetland environment. The invasive alien plant, Lactuca scariola, was removed by periodic monitoring and purification activity.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 이유미;박수현;정수영;오승환;양종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87-101
    • /
    • 2011
  • 국내에 보고 된 귀화식물은 전체 40과 175속 302종 15변종 4품종으로 총 321분류군으로 정리하였다. 이들 중 과별로는 국화과 68분류군(21.2%)과 벼과가 62분류군(19.3%)으로 가장 많았으며, 생육형에서는 초본식물이 314분류군(97.8%)으로, 목본식물(7분류군, 2.2%)에 비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입시기별로는 3기(1964-2010)에 귀화된 것이 221분류군(68.8%)으로 가장 많았으며, 원산지별로는 유럽원산이 134분류군(41.8%)으로 높은 귀화율을 보였다. 귀화도는 분포 유형별로 I-V등급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