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tural vegetation recovery

Search Result 3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위성영상을 이용한 산불피해 이후 자연복원과 인공복원 방법에 따른 식생회복 모니터링 (Monitoring of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Natural and Artificial Restoration Methods After Forest Fire Damage Using Satellite Imagery)

  • 황영인;강원석;박기형;이경철;한상균;권형근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4권3호
    • /
    • pp.33-43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vegetation recovery in the areas damaged by the forest fires on the east coast that occurred in April 2000. The study site was a forest fire-damaged area in Samcheok-si, Gangwon-do, and 21 monitoring areas (12 natural restoration sites, 9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vegetation recovery trend since 1998. The vegetation recovery trend was compared by calculating the values according to the year using th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dNBR)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based on satellite images (Landsat TM/ETM+ and Sentinel-2A).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ll 21 sites, vegetation was recovered, and both groups showed the greatest recovery in summer. In the case of the dNBR, the artificial restored sites showed higher values than the natural restored sites, and in the case of the NDVI, the natural restored sites were higher than the artificially restored sites in summer and autumn.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f natural and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as not significant. Therefore, the direction of forest restoration after forest fire damage can be effectively restored if properly implemented for the purpose of restoration of the target site.

Assessment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 Yu, Xinfang;Zhuang, Dafang;Hou, Xiyo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328-330
    • /
    • 2003
  • The land cover of burned area has changed dramatically since Daxinganling forest fire in Northeastern China during May 6 ? June 4, 1987. This research focused on determining the burn severity and assessment of forest recovery. Burned severity was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from June 1987 Landsat TM data acquired just after the fire. A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between the forest canopy closure from 1999 forest stand map and the NDVI values from June 2000 Landsat ETM+ data. The map of canopy closure was got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And vegetation cover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forest closure density. The change matrix was built using the classified map of burn severity and vegetation recovery. Then the change conversions of every forest type were analyzed. Results from this research indicate: forest recovery status is well in most of burned scars; and vegetation change detection can be accomplished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 PDF

산불발생 후 소나무 피해 및 식생복원 실태분석 (Mortality in Pine Stand and Vegetation Recovery after Forest Fire)

  • 이시영;전계원;이명욱;전근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1-79
    • /
    • 2008
  • 산불피해 임지의 식생복원 정도 및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산불발생 후 임목피해, 식생회복력 등의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나무 고사율은 수간 및 수관의 피해흔적이 심할수록 피해율이 높았다. 산불피해지에 있어서 수관화에 의해 임분이 전소되는 피해를 받은 지역에서의 식생회복은 대부분이 매토종자 및 맹아에 의한 식생의 회복이 진행되었다. 식생회복과 복원력은 전생 임분의 식생상태와 토심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인공복원의 경우 자작나무 조림지의 경우에는 병충해에 의한 피해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소나무, 해송 조림지의 경우 입지에 따른 생장차이 보다는 조사지내 개체목간의 생장차이가 다소 나타났다.

Comparison of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forest restoration technique using the satellite imagery: focus on the Goseong (1996) and East Coast (2000) forest fire

  • Yeongin Hwang;Hyeongkeun Kweon;Wonseok Kang;Joon-Woo Lee;Semyung Kwon;Yugyeong Jung;Jeonghyeon Bae;Kyeongcheol Lee;Yoonjin S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3호
    • /
    • pp.513-525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level of vegetation recovery based on the forest restoration techniques (natural restoration and artificial restoration) determined using the satellite imagery that targeted forest fire damaged areas in Goseong-gun, Gangwon-do. The study site included the area affected by the Goseong forest fire (1996) and the East Coast forest fire (2000). We conducted a time-series analysis of satellite imagery on the natural restoration sites (19 sites) and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12 sites) that were created after the forest fire in 1996. In the analysis of satellite imagery, the difference normalized burn ratio (dNBR) and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were calculated to compare the level of vegetation recovery between the two groups. We discovered that vegetation was restored at all of the study sites (31 locations). The satellite image-based analysis showed that the artificial restoration sites were relatively better than the natural restoration sit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a restoration technique that can achieve the goal of forest restoration, taking the topography and environment of the target site into account. We also believe that in the future, accurate diagnosis and analysis of the vegetation will be necessary through a field survey of the forest fire-damaged sites.

Sentinel-2B 위성 영상을 활용한 산불 피해지역 식생 회복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overy Rate of Vegetation in Forest Fire Damage Areas Using Sentinel-2B Satellite Images)

  • 천금성;천광일;박병배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6호
    • /
    • pp.463-472
    • /
    • 2023
  • 산불에 대한 피해액과 피해 면적은 전 세계적으로 커지고 있지만 피해 후 복원 방법에 따른 효과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Sentinel-2B 위성 영상과 임상도를 활용하여 산불 피해 면적을 산출하고, 임상에 따른 산불 피해 강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파장대를 활용하여 식생지수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복원 방법에 따른 식생 회복력을 -1.0에서 1.0 범위 내에서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침엽수림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높은 강도의 산불 피해가 발생하였고, 상대적으로 혼효림과 활엽수림의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낮은 강도의 산불 피해 경향을 보였다. 산불 발생 이후 인공림과 천연림에서의 식생 회복률을 분석한 결과, 인공림은 산불 발생 이전 대비 약 92%, 천연림은 약 101% 식생을 회복하였으며 인공림보다 천연림에서 식생 회복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임상에 따른 산불 피해 강도를 분석하고 복원 방법에 따른 식생 회복력을 평가함으로써 산불 피해를 줄이기 위한 수목 선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복원방법에 따른 식생회복력을 비교하는데 의의가 있다.

Deltacon공법을 통한 해안 침식지의 복구 효과 연구 (The Restoration Effect of Deltacon Method in Coastal Erosion)

  • 한봉호;박석철;이풍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35-50
    • /
    • 2017
  • This study is to see the recovery effect of the Deltacon method by investigating the amount of sand deposition, the topographical cross section and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o derive the effective recovery method of coastal erosion area. The target areas of this study include Jinri coastal dune, Bajireum coastal dune and Seopori coastal dune in Deokjeok-do Island, Ongjin-gun, Incheon. In order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coastal erosion area recovery, the soil profile structure map was prepared on the site and then the amount of sand deposition within 1m was calculated indoors. The vegetation recovery status of the costal erosion area was assessed via the analyses of the topographical profile structure and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we aim to derive the effective recovery plan of the Deltacon method with the results. With the Deltacon method, structures with ductile material, special non-woven fabric bags filled with soil and vegetation can be performed therefore the structuralstability and prevention of sand erosion can be achieved. The amounts of sand deposition of Bajireum coastal dune, Seopori costal dune and Jinri costal dune were calculated $0.98{\sim}2.54m^3$, $1.02{\sim}2.96m^3$, and $0.27{\sim}0.75m^3$, respectively, 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ostal erosion recovery is actively performed for Bajireum costal dune and Seopori costal dune. The analysis results of vegetation structures by topography show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send collecting net in steep areas has been highly effective and the Deltacon-constructed target areas have been restored to vegetation and the costal dune, which is similar to the natural dune. The investigation of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Deokjeok-do Island costal dune, Incheon displayed similar research results of the existing costal dune flora and confirmed the emergence of Lathyrus japonicus, Carex kobomugi, Elymus mollis, Vitex rotundifolia, and Calystegia soldanella and others. In order to carry out further effective recovery with the Deltacon method, improvements to rootage of herbaceous vegetation are needed in areas without foredune herbaceous vegetation, and continuos maintenance & management monitoring of connected windbreak forest to costal dunes are also necessary.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있어서 지형(地形)과 식생회복(植生回復) (On the Topographies and Recovery of Vegetation in the Hillside Erosion Control Districts)

  • 강위평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64권1호
    • /
    • pp.42-46
    • /
    • 1984
  • 산복사방공사시공지(山腹砂防工事施工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지형(地形), 지질(地質), 강수상황(降水狀況), 공법(工法) 등 여러 요인(要因)의 복합작용(複合作用)에 의하여 좌우(左右)되나 본(本) 조사지(調査地)에서는 지형(地形)을 제외(除外)한 타요인(他要因)은 그 조건(條件)이 같으므로 제외하고 지형(地形)과 식생피도(植生被度)의 관계(關係)를 조사하여 산복공사공법(山腹事工工法) 개선(改善)의 자료(資料)를 얻고자 조사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면별(斜面別) 평균피도(平均被度)는 하강사면(下降斜面)(80%), 평형사면(平衡斜面)(78.7%), 복합사면(複合斜面)(64.0%), 상승사면(上昇斜面)(56.5%)의 순위(順位)로 낮아지며, 4 사면(斜面)의 평균피도(平均被度)는 69.8%로 사면형(斜面形)은 피도형성(被度形成)에 영향을 준다. 2) 평균피도형성(平均被度形成)에는 토양함수율(土壤含率水), 평균경사(平均傾斜)가 영향을 준다. 3)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목본종피도(木本種被度)(14.8%)는 초본종(草本種)(55.0%)에 비하여 피도(被度)가 매우 낮다. 4) 독라지(禿裸地)에 대한 식생회복(植生回復) 방법(方法)은 인공식재(人工植栽) 혹은 파종(播種)으로 하여야 하고 특히 산복공사시공(山腹工事施工) 초기(初期)에 있어서는 자연식생종(自然植生種)에 의한 식생회복(植生回復)은 어렵다.

  • PDF

자연형 하천 복원구간의 하천유지유량 산정을 위한 기초조사 (Basic Survey for Evaluation of Instream flow at Natural Recovery Reach)

  • 서규우;우상환;김광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9-131
    • /
    • 2001
  • This study uses HEC-RAS for the quantitative aspects and the QUAL2E model for the qualitative aspects of the flow of urban streams, where the natural recovery system is applied. The instream flow of the small streams is estimated using the numerical model by verifying the existing data with the acquired data.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reach place more weight on the drought discharge around the ordinary discharge, and this is caused by the natural recovery system that maintains the existing bank. The data of direct discharge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through the inception pipe, BOD, DO, temperature, and so forth, are the official data from the department of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streams, the factors for the QUAL2E model are estimated with the focus on the hydraulic conditions and the stream view. This study proposes the future improvements for the natural recovery system by investigating the practical use of the waterfro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per instream flow. Also, the hydraulic and hydr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covering rate by the natural vegetation and the meandering by the varying river way is performed.

  • PDF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 유형과 주변 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 이상철;최송현;김동필;송재탁;오현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61-172
    • /
    • 2012
  • 본 연구는 기존에 건설된 터널 입 출구부를 중심으로 유형과 식생경관 등 주변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별 상세조사지를 선정하여 각 터널별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관 및 자연성을 증진시켜 향후 건설될 터널 입 출구부를 자연친화적으로 유도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터널을 전수 조사하였다.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을 갱문형식을 중심으로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구분하고 식생경관은 층위적 관점과 자연미적 관점을 고려하여 다층동질형, 다층이질형, 단층동질형, 단층이질형, 초지형(나지형)으로 총 5개로 분류하였다.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과 식생도입 가능성의 관점에서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였다. 구조적 안정성의 요소로는 사면높이와 법면경사를 선정하였으며, 식생도입 가능성은 생육기반 조성의 용이성을 구분하여 각 요소별 정량화 값을 부여하여 다소 변형된 정규 분포로 5개의 등급으로 식생복구 잠재성을 구분하였다. 터널 입 출구부의 유형은 면벽형이 33개소로 돌출형보다 많았으며, 식생경관은 단층이질형, 다층이질형, 초지형, 다층동질형 순이었다. 또한 식생복구 잠재성이 뛰어난 곳은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이 모두 돌출형이었으며 이는 돌출된 구조물 위에 성토를 실시하고 성토사면으로 인해 주변지형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사면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로 생육기반 확보가 용이한 것으로 사료된다. 개선안 도출을 위해 7개의 터널을 상세조사한 결과를 보면, 터널 입 출구부는 지형, 안정성, 공사비, 유지관리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공사비 및 안정성 등이 우선시 되어 비탈면을 최소화하는 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결과, 식생기반이 원활히 형성되지 못했으며 식생기반이 형성된 곳이어도 생태적으로 건전한 식생복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에 건설될 고속도로 터널 입 출구부는 입지 및 자연 생태 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 훼손면적 범위를 최소화하는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정성을 기초로 한 적극적 식생복원 기법을 도입하여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역의 특색에 맞는 터널 건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무등산국립공원 중봉과 누에봉 복원공사지역 식생회복 평가 (Evaluation of Vegetation Recovery after Restoration Works at the Jungbong and Nuebong Area, Mudeungsan National Park)

  • 김영선;심석영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4-7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무등산국립공원 식생복원사업후 경과년수에 따라 식생변화상태, 인위적 복원조치에 대한 효과 등 식생회복정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1996년에 시행한 중봉 군부대 이전 복원공사지역과 1999년에 누에봉 방송통신시설 철거 복원공사지역에 식물상,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유사도 등을 분석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험구 11개소, 복원공사지역 인근 자연림에 대조구 10개소 등 총 21개소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복원공사지역과 주변 자연림간 식생회복 정도를 평가하였다. 복원 후 17년이 경과한 중봉 군부대 이전 복원공사지역은 종구성의 유사도지수 평균치가 3.5%로 낮았으나 관목층의 수고는 112%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복원 후 14년이 경과한 누에봉 방송통신시설 철거 복원공사지역의 유사도지수 평균치는 5.05%이었고 산철쭉과 털진달래가 출현하는 관목층의 수고는 82.6%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과 다른 국립공원지역의 아고산대 복원평가방법과 복원공사기술개발을 위하여 복원공사지역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