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속도로 터널 입·출구부 유형과 주변 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and Type of Tunnel Entrance and Exit

  • Lee, Sang-Cheo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
  • Choi, Song-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P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Pusan National University) ;
  • Song, Jae-Tak (Hansol OakValle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2.09.14
  • 심사 : 2012.12.05
  • 발행 : 2012.12.31

초록

본 연구는 기존에 건설된 터널 입 출구부를 중심으로 유형과 식생경관 등 주변환경에 따른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유형별 상세조사지를 선정하여 각 터널별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경관 및 자연성을 증진시켜 향후 건설될 터널 입 출구부를 자연친화적으로 유도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경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일부 구간의 터널을 전수 조사하였다.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을 갱문형식을 중심으로 면벽형과 돌출형으로 구분하고 식생경관은 층위적 관점과 자연미적 관점을 고려하여 다층동질형, 다층이질형, 단층동질형, 단층이질형, 초지형(나지형)으로 총 5개로 분류하였다. 터널의 구조적 안정성과 식생도입 가능성의 관점에서 식생복구 잠재성을 파악하였다. 구조적 안정성의 요소로는 사면높이와 법면경사를 선정하였으며, 식생도입 가능성은 생육기반 조성의 용이성을 구분하여 각 요소별 정량화 값을 부여하여 다소 변형된 정규 분포로 5개의 등급으로 식생복구 잠재성을 구분하였다. 터널 입 출구부의 유형은 면벽형이 33개소로 돌출형보다 많았으며, 식생경관은 단층이질형, 다층이질형, 초지형, 다층동질형 순이었다. 또한 식생복구 잠재성이 뛰어난 곳은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이 모두 돌출형이었으며 이는 돌출된 구조물 위에 성토를 실시하고 성토사면으로 인해 주변지형과 조화를 이루었으며 사면 안정성이 확보된 상태로 생육기반 확보가 용이한 것으로 사료된다. 개선안 도출을 위해 7개의 터널을 상세조사한 결과를 보면, 터널 입 출구부는 지형, 안정성, 공사비, 유지관리 등을 총체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함에도 불구하고 공사비 및 안정성 등이 우선시 되어 비탈면을 최소화하는 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그 결과, 식생기반이 원활히 형성되지 못했으며 식생기반이 형성된 곳이어도 생태적으로 건전한 식생복구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므로 향후에 건설될 고속도로 터널 입 출구부는 입지 및 자연 생태 조사를 사전에 실시하여 설계에 반영하도록 하고 훼손면적 범위를 최소화하는 터널 입 출구부 유형을 지역의 특성에 맞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안정성을 기초로 한 적극적 식생복원 기법을 도입하여 생태적으로 건전하고 지역의 특색에 맞는 터널 건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evaluate and grade the existing highway tunnels to increase landscape and natural statistics keeping the structural safety about tunnel gates area and induce the ones that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by drawing the improvements and restoring the techniques as an environment-friendly. To examine the types of tunnel gate area, total 54 tunnels were investigated by selecting Gyeongbu Expressway, Yeongdong Expressway, and Jungang Expressway. Tunnel entrances and exit ports were classified as a Wall-closed type and Protruding type, which is based on tunnel gate type. Vegetation Landscape types were classified as Multilayer-Same as the surrounding landscape_(MS), Multilayer-Difference of surrounding landscape_(MD), Single layer-Same as the surrounding landscape_(SS), Single layer-Difference of surrounding landscape_(SD), and a Desolate type which based on vegetation layers and environment-friendly. Potential vegetation recovery was identified based on the structural stability and revegetation potential of the tunnel. The factors includ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lope height and slope gradient were selected. Revegetation potential was identified as a growth potential. This factor was used in the step to classify vegetation recovery potential of a tunnel. The result, which investigated the types of tunnel entrances and exit parts has found that the most typical in 33 places was a Wall closed type with 61.1% of the total ones. The case of vegetation landscape types was created but different from the ones surrounding it with 85.2% of the total ones. It is judged that the currently constructed vegetation of tunnel entrance and exit parts had put convenience on the safety and management before landscape consideration. In addition, tunnel entrance and exit parts with excellent potential for vegetation recovery were all Protruding type.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slope stability can easily obtain growth. Therefore, entrance and exist of the highway tunnels, which will be constructed in the future, should reflect location and the result of the natural and ecological survey in design by performing it in advance and their types, which minimize the damage area range, should be applied to the local characteristics suitably. In addition, the ecologically healthy tunnel construction should be done by introducing active vegetation recovery techniques based on its saf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7) 터널설계기준. (사)한국터널공학회.
  2. 국토해양부(2009) 도로비탈면녹화공사의설계및시공지침. 국토해양부.
  3. 권오일, 백용, 구호본, 배규진(2004) 터널갱구사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개발.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1484-1488.
  4. 김경석(2002) 도로 비탈면의 환경친화적 녹화방안. 국토연구원. pp.61-68.
  5. 김남춘(1998) 경관훼손지의 생태적 복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1(1): 24-44.
  6. 김보현, 이경재(2000)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2): 127-138.
  7. 김영민(2007)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도서출판 조경. pp.204-223.
  8. 김종온, 이민성(2003) 터널이야기. 시그마프레스(주).
  9. 김종호, 양계승, 지길용, 금기정(2004) 도로터널 갱구부의 경관설계 고려 요소 개발. 한국도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387-392.
  10. 박상현(2007) 경관을 고려한 각종 개발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pp.174-186.
  11. 백용, 구호본, 유기정(2002) 터널 갱구부 붕괴사면의안정성해석 및보 강공법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공학회지 12(4): 367-378.
  12. 백용, 권오일, 구호본(2004) 터널 갱구사면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 및 상태평가 기법 연구.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pp.2502-2503.
  13. 송호경,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권혜진, 이지혜(2007) 백두대간 도로 절토비탈면의 녹화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0(3): 52-59.
  14. 오구균(1998) 경관 및 군락식재설계 개념과 기법. 환경과조경 128: 72-78.
  15. 위용곤, 김도형, 김영근, 김일환, 권재석, 이원우(2004) 도로안정성을 고려한 친환경적 터널 갱문 설계 및 시공사례. 한국암반공학회춘계학술발표회. pp.199-217.
  16. 유병옥, 전기성, 심재원, 장현익(2009) 고속도로 절토비탈면의 친환경 녹화공법 적용. 한국지반환경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58-69.
  17. 이지혜, 권혜진, 전기성, 김남춘, 박관수, 송호경(2008) 백두대간 도로사면의 생태적 녹화를 위한 자생 수종 선정.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11(4): 67-74.
  18. 이풍희, 신재상, 김일환, 김우성, 김영근(2003) 도로안전성을고려한 친환경적 터널 갱문부 설계기준. 한국터널공학회지 5(4): 18-33.
  19. 전기성(2004) 도로비탈면의 환경인자를 고려한 식생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7(2): 12-20.
  20. 정관식, 박지훈, 김건호, 이완재(2005) 지형과 사교하는 갱구부의 비탈면 최소화 방안 연구. KTA 2005 Annual Conference. pp.359-371.
  21.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8) 터널건설 환경영향 최소화 기술(V).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2. 한국조경학회(2007) 조경설계기준. p.365.
  23. Kates, R(1967) The pursuit of beauty in the environment. Landscape 16: 21-25.
  24. www.ex.co.kr
  25. www.bekkoame.ne.jp
  26. www.index.go.kr

피인용 문헌

  1. Evaluating Erosion Risk of Revegetated Cutslope with Seed Spraying vol.19, pp.6, 2016, https://doi.org/10.13087/kosert.2016.19.6.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