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organic matter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25초

영양염과 식물성플랑크톤 그리고 식물성플랑크톤과 유기물의 상관관계의 평가 (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Phytoplankton; and Phytoplankton and Organic matter)

  • 김우항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7-120
    • /
    • 2006
  • 영양염과 식물성플랑크톤 그리고 식물성플랑크톤과 유기물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질소가 제한 영양염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제한이 되고 있는 계절은 여름으로 DIN/DIP의 비가 4.7로 나타났다. Chl.-a는 겨울철인 2 월에 비해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79%, 9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농도는 COD로 나타내었으며 2월에는 0.84 mg/l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8월인 여름철에 가장 높은 1.12 mg/l를 나타내었다. 영양염과 Chl.-a 의 상관관계는 DIN과의 상관에서 $r^2$가 0.93, DIP과의 상관에서 $r^2$가 0.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이 영양염의 감소에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Chl.-a 와 COD 의 회귀분석에서 상관계수 $r^2$가 0.78 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생산량은 겨울철에는 25%, 여름철에는 40% 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해산패류 증식을 위한 간석지 개척에 관한 연구 (1) 경기만 간석지의 토성과 화학적 조성에 관하여 (AN ATTEMPT TO IMPROVE TIDELANDS FOR MARINE BIVALVES (1) Soil textures and chemical properties of tidelands in Kyunggi Bay)

  • 이춘구;장남기;이정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5-119
    • /
    • 1968
  • 1. 미개척상태인 간석지를 패류양식장으로 개척하기 위하여 4종의 패류 고밀도 양식지에 있어서 저질의 토성, 보수능, 수소이온농도, 치환성 칼슘, 그리고 유기물 함양에 관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2. 비쭉이, 동죽, 가무락, 그리고 바지락의 각 고밀도 서식지간에서는 토성에 차이가 있었다. 3. 보수능, 수소이온농도, 치환성 칼슘의 함양은 4종 패류의 각 고밀도 서식지간에 유의차가 없었다. 4. 유기물의 함량은 비쭉이와 가무락 서식지간을 제외한 다른 모든 서식지간에서 매우 유의한 차를 볼 수 있었다. 5. 본 조사 결과로서는 아직 판단키 어려우나 패류양식장의 적지선택에 간석지 토양의 토성과 유기물의 함량이 중요한 요인으로 생각된다.

  • PDF

Potassium ferrate(VI)를 이용한 자연유기물질 제거 (Removal of Natural Organic Matter using Potassium ferrate(VI))

  • 임미희;김명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2호
    • /
    • pp.1337-134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산화제, 소독제, 응집제로서 동시에 작용하는 potassium ferrate(VI)를 합성하여 자연유기물질(NOM, HA와 FA)로 오염된 강물을 처리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Ferrate 주입량($2\sim46$ mg/L as Fe)에 따른 낙동강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10 mg/L HA의 제거효율을 $UV_{254}$로 알아본 결과, $20.7\sim73.6%$ 제거효율을 보였고 10 mg/L FA에 대해서는 $52.6\sim77.5%$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제거효율을 TOC로 분석한 결과는 HA에 대해 $0\sim20.3%$, FA에 대해 $0\sim26.6%$의 낮은 효율을 보였다. pH와 반응온도에 따른 영향을 보면, pH가 낮을수록 ferrate에 한 NOM 제거효율이 높게 나타났고, 온도가 높을수록 HA 제거효율이 높아졌다. 응집제로서 ferrate 효과를 기존 응집제들과 비교해 본 실험에서 ferrate는 $Al_2(SO_4)_3{\cdot}18H_2O$, $FeSO_4{\cdot}7H_2O$, FeO(OH)와 비슷한 정도의 효율을 보였다. Ferrate와 HA의 반응은 60초 이내에 완결되어 정상상태에 이르렀고 반응시간에 대해 1차 반응을 보였다. 그리고 소량의 ferrate를 주입하여 HA를 전처리한 후 기존 응집제로 처리하였을 때 ferrate로 전처리하지 않았을 때보다 효율이 향상되었다.

Patterns in solute chemistry of six inlet streams to Lake Hövsgöl, Mongolia

  • Puntsag, Tamir;Owen, Jeffrey S.;Mitchell, Myron J.;Goulden, Clyde E.;McHale, Patrick J.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3권4호
    • /
    • pp.289-298
    • /
    • 2010
  • A number of characteristics of the Lake H$\ddot{o}$vsg$\ddot{o}$l watershed, such as the lake's location at the edge of the Central Asian continuous permafrost zone, provide a unique opportunity to evaluate possible anthropogenic impacts in this remote area in northern Mongolia. In this study, we compared stream solute concentrations in six sub-watersheds in the Lake H$\ddot{o}$vsg$\ddot{o}$l watershed.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ummer months between 2003 and 2005. Concentrations of $Cl^-$ ranged from 9.8 to $51.3\;{\mu}mol/L$; average nitrate concentrations were very low and ranged from undetectable to $1.1\;{\mu}mol/L$ and average ${SO_4}^{2-}$ concentration at sampling stations with minimal animal grazing ranged from 66 to $294\;{\mu}mol/L$. Averag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oncentrations ranged from 642 to $1,180\;{\mu}mol$ C/L. We did not fi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OC concentrations among the six streams, although DOC concentrations tended to be higher in the two northernmost streams, possibly related to differences in the active layer above the permafrost. Dissolved organic nitrogen (DON) concentrations were correlated with DOC concentration, and followed the same spatial pattern as those for DOC. In streams in this remote watershed, total dissolved nitrogen was made up of mostly organic N, as has been found for other regions distant from anthropogenic N sources. Overa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future research on the dynamics of DOC and DON in this watershed will be especially insightful in helping to understand how changes in climate and land use patterns will affect transformations, retention, and export of dissolved organic matter within these sub-watersheds in the Lake H$\ddot{o}$vsg$\ddot{o}$l region.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on the Surface Sediment and Its Origin in Gamak Bay, Korea)

  • 노일현;윤양호;김대일;박종식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3
    • /
    • 2006
  •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 공간적 분포 특성 및 기원을 파악하고자 2000년 4윌부터 2002년 3월까지월간격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강열감량(IL)은 $4.6{\sim}11.6%(7.1{\pm}1.6%)$, 화학적산소요구량(CODs)은 $2.25{\sim}99.26mgO_2/g-dry(30.98{\pm}19.09mgO_2/g-dry)$, 총 황화물량(AVS)은 $nd{\sim}10.29mgS/g-dry(1.02{\pm}0.58mgS/g-dry)$, 식물색소량은(phaeopigment) $6.84{\sim}116.18{\mu}g/g-dry(23.72{\pm}21.16{\mu}g/g-dry)$, 입자성유기탄소(POC)는 $5.45{\sim}23.24 mgC/g-dty(10.34{\pm}4.40C\;mgC/g-dry)$, 입자성유기질소(PON)는 $0.71{\sim}2.99mgN/g-dry(1.37{\pm}0.58mgN/g-dry)$, 함수율(water content)은 $43.1{\sim}77.6%(55.8{\pm}5.6%)$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펄 함량(mud content)은 모든 정점에서 95% 이상의 값을 나타냈다. 유기물질의 공간적인 분포는 북서 내만역, 만 중앙부와 동쪽해역 그리고 남쪽만 입구역으로 대별되어, 북서 내만역과 남쪽 만 입구역은 만 중앙부와 동쪽해역 및 백야도 인근해역보다 대부분 항목에서 높은 유기물 농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북서 내만역은 과도한 양식활동에 따른 과잉의 유기물 공급, 육상으로부터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 유입, 분지형태의 지형적 특성에 의한 물질의 장기체류로 유기오염이 매우 심각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그로인한 하계 수온약층에 의한 저층의 무산 소 환경이 형성되고 있다. 경시적인 변동양상은 북서 내만역과 남쪽 만 입구역에서 저수온기보다 고수온기에 주로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만 중앙부와 동쪽해역은 각 항목에서 변동양상의 일정한 규칙성은 보여지지 않으나 황 화물을 제외하면 주로 저수온기에 더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황화물 농도는 모든 정점에서 고수온기에 더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만 중앙부와 동쪽해역은 화학적산소요구량이 $20mgO_2/g-dry$을 넘는 경우 고수온기를 중심으로 일시적인 황화물 증가양상이 나타났다.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질의 기원은 C/N 비가 평균 8 이하로, 육상기원보다 해양기원 유기물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POC/phaeopigment 비로부터 유기물 조성에 있어서 살아있는 식물플랑크톤보다 유기쇄설물이 우점하며, CODs/IL 비로부터 유기쇄설물은 해양자체 순환에 의해 생산되는 것보다 양식활동에서 발생하는 잉여사료와 생물의 배설물 등 인위적 활동에 의한 부분이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농촌배수처리용 습지의 생물상 및 유기물 제거율 (Distribution of Biota and Removal Efficiency of Organic Matter in Natural Wetland)

  • 김범철;전만식;정근;정연숙;황길순
    • 환경생물
    • /
    • 제17권4호
    • /
    • pp.407-414
    • /
    • 1999
  • 농촌배수처리용 자연습지내의 생물상 및 유기물 제거효율을 조사하였다. 습지내에서 출현한 수생식물의 종조성은 13과 22종으로 나타났으며, 현존량이 가장 많은 종은 갈대로 약 35%, 고마리, 애기부들, 가막사리 및 돌피가 12~19%의 고른 분포를 보였으며, 나머지가 1%를 차지하였다. 습지 내에서 출현한 대형무척추동물은 복족강, 빈모강, 거머리강, 거미강, 갑각강, 곤충강이 조사되었으며, 그 중에서 곤충강이 7목 18과로 나타났다. 채집된 개체수로는 곤충류가 76%, 비곤충류가 24%로 곤충류의 개체수가 현저히 많았다. 이중 깔따구류(Chironomidae)는 58%를, 빈모류는 19%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곤충류의 과(family)수는 파리목에서 7과로 가장 많았다. 많은 모기와 깔따구의 유생이 발견된 것으로 보아 습지가 모기의 좋은 서식처를 제공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습지로 유입되는 유입수 BOD및 DOC 농도는 각각 1.8~13.4 mgO$_2$/l, 2.6~22.8mgC/1의 큰 변이 폭을 보였으며, 습지 내에서 수생식물에 의한 연순생산력은 3,350 kg dry wt./yr로 나타났다. 습지에 의한 BOD 제거효율은 약 50%로 나타났으나, DOC는 거의 제거되지 않았다. DOC의 제거효율이 낮은 이유는 습지내 수생식물의 고사체 분해에 의해 난분해성 DOC가 생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 PDF

Performances of submerged membrane photocatalysis reactor during treatment of humic substances

  • Halim, Ronald;Utama, Robert;Cox, Shane;Le-Clech, Pierre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권4호
    • /
    • pp.283-296
    • /
    • 2010
  • During the disinfection of potable water, humic substances present in the solution react with chlorine to form potential carcinogenic compounds. This study evaluates the feasibility of using a submerged membrane photocatalysis reactor (SMPR) process for treatment of humic substances through the characterization of both organic removal efficiency and membrane hydraulic performance. A simple SMPR was operated and led to the removal of up to 83% of the polluting humic matters. Temporal rates of organic removal and membrane fouling were found to decrease with filtration time. Using tighter membrane in the hybrid process resulted in not only higher organic removal, but also more significant membrane fouling.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tested, optimum $TiO_2$ concentration for humic removal was found to be 0.6 g/L, and increasing initial pollutant concentration expectedly resulted in a more substantial membrane fouling.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t nature and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this type of treatment was also assessed as various water sources were tested (model humic acid solution vs. local wate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ters). Results from this study revealed the promising nature of the SMPR process as an alternative technique for organic removal in the existing water treatment system.

활성탄 공정과 생물여과 공정에서의 자연유기물질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Organic Matters in Activated Carbon and Biofiltration Process)

  • 손희종;최근주;김상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05-213
    • /
    • 2007
  • 입상활성탄 및 생물여과 공정에서 활성탄 종류별 DOC(dissolved organic carbon) 흡착능은 석탄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야자계, 목탄계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활성탄 종류별 부착 미생물의 생체량과 활성도는 석탄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목탄계, 야자계, 안트라사이트 순으로 나타났다. 안트라사이트를 이용한 생물여과 공정에서 OM(natural organic matters)의 생분해율은 15분 이상의 EBCT(empty bed contact time)가 주어져야 bed volume에 따라 평균 $10\sim17%$, 최대 $18\sim24%$ 정도의 생분해율을 얻을 수 있었다. NOM의 활성탄 흡착은 주로 친수성 보다 소수성 유기물질과 10,000 Da 이하의 유기물질의 제거가 용이하였으며 HAA5FP(haloacetic acid 5 formation potential) 보다 THMFP(trihalomethane formation potential), BDOC(biodegradable dissolved organic carbon)$_{rapid}$ 보다는 $BDOC_{slow}$의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생물여과 공정에 의한 유기물질 제거 특성은 주로 친수성과 1,000 Da 이하의 유기물질 제거가 용이하였으며, THMFP 보다는 HAASFP, $BDOC_{slow}$ 보다는 $BDOC_{rapid}$의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Vermicompostiong에 의한 농산부산물 처리 -사과박과 분뇨 슬러지의 혼합비율이 지렁이의 생육과 분립의 화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 (Treatment of Agricultural By-Products by Vermicomposting-Effects of Mixture Ratio of Apple Pomace and Nightsoil Sludge on the Growth of Earthworm(Eisenia Foetida) and the Chemical Composition of Worm Casts)

  • 이용세;이주삼;조익환;전하준;이영옥;김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01-109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treating the different mixture ratios of apple pomace and nightsoil sludge by vermicomposting was performed and the stability of worm casts, and availability of worm casts as plant growth media was evaluated by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1. The value of cast production at 100% apple pomace treatment was higher than those of other mixture ratios of apple pomace and nightsoil sludge. 2. The highest values of increasing rate and reproductive efficiency were obtained at mixture ratios of 60% apple pomace with 40% nightsoil sludge. 3. The value of increasing rate at 100% nightsoil sludge treatment was lower that those of other mixture ratios of apple pomace and nightsoil sludge. 4. Organic matter, available inorganic nutrients and stability of worm casts showed high values in all treatments. It means that worm casts are an excellent plant growth media source with a high chemical composition and their stability.

  • PDF

하폐수처리장 유래 방류수유기물질의 물리화학적 및 독성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Toxicological Properties of Effluent Organic Matters from Sewage and Industrial Treatment Plants)

  • 유지수;이보미;허진;정진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0-86
    • /
    • 2014
  • Unlike to natural organic matters (NOMs), effluent organic matters (EfOMs) are not well understood due to their complexity and heterogeneity. In this study, EfOMs from sew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effluents and Suwannee River NOM (SRNOM) were isolated into hydrophobic (HPO), transphilic (TPI) and hydrophilic (HPI) fractions. Specific ultraviolet absorbance (SUVA) and 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matrix (FEEM) analyses were used to characteri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addition, acute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to Daphnia magna were evaluated to characterize toxicological properties. EfOMs showed similar properties to microbially derived organic matters having low hydrophobicity, which are totally different from SRNOM having high hydrophobicity. Moreover, acute toxic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in D. magna was largely dependent on fraction types of EfOM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OMs have different physicochemical and toxicological properties compared with those of NOMs, which needs to be further identified with various sources of Ef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