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Phytoplankton; and Phytoplankton and Organic matter

영양염과 식물성플랑크톤 그리고 식물성플랑크톤과 유기물의 상관관계의 평가

  • Kim, Woo-Hang (Faculty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ural Maritime University)
  • 김우항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6.05.12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phytoplankton; and phytoplankton and organic matter. In order to examine the limiting nutrient for phytoplankton, Redfield ration was used and revealed nitrogen limitation. Nitrogen limitation was greatest with a 4.7 DIN/DIP ratio especially during the summer season. Chl.-a increase by 79% and 97% in spring and summer, respectively, compared to winter. COD was lowest with 0.84mg/l in winter and highest with 1.12mg/l in summer.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nutrients and Chl.-a was high. Relationship coefficient$(r^2)$ between DIN and Chl.-a, and DIP and Chl.-a were 0.93 and 0.89, respectively. This suggests Nutrients might be utilized at the increase of phytoplankton. Also, Relationship coefficient$(r^2)$ between Chl.-a and COD was 0.78. COD production rate was calculated with Regression Equation. The COD production rate was 25% in winter and 40% in summer.

영양염과 식물성플랑크톤 그리고 식물성플랑크톤과 유기물의 관계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 결과 질소가 제한 영양염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제한이 되고 있는 계절은 여름으로 DIN/DIP의 비가 4.7로 나타났다. Chl.-a는 겨울철인 2 월에 비해 봄과 여름인 5월과 8월에 79%, 97%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물의 농도는 COD로 나타내었으며 2월에는 0.84 mg/l로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8월인 여름철에 가장 높은 1.12 mg/l를 나타내었다. 영양염과 Chl.-a 의 상관관계는 DIN과의 상관에서 $r^2$가 0.93, DIP과의 상관에서 $r^2$가 0.8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증식이 영양염의 감소에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Chl.-a 와 COD 의 회귀분석에서 상관계수 $r^2$가 0.78 로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유기물의 생산량은 겨울철에는 25%, 여름철에는 40% 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