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mordant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3초

선인장 열매의 색소 추출물에 의한 양모섬유의 염색 (Dyeing of Wool Fabric by the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 이세희;조용석;최순화
    • 한국염색가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4
    • /
    • 2006
  • The pigment extraction of Opuntia ficus-indica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useful natural dyes in place of synthetic dyes which are suspected to bring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s. The dyeing ability on wool fabric by addition of ascorbic acid and several mordants were investigated by means of color measurement. In addition, the fastness of washing, perspiration, rubbing, light, dry cleaning, effect on bacterial reduction and UV-B protection were also investigated. From these investig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igment extracted from Opuntia ficus-indica can be used as a source of natural dyes and the obtained result are as follows. 1. Maximum absorption band (${\lambda}max$) of Opuntia ficus-indica extract is 533nm. 2. The wool fabric dyed with Opuntia ficus-indica extract has stable color by the addition of ascorbic acid and is achieved with addition of 0.1% ascorbic acid, 0.5% several mordant, and three repeated dying at $50^{\circ}C$ for 1.5hr. 3. The wash fastness of the dyed wool fabric when it is washed with neutral detergent is more effective than alkaline detergent. The dry cleaning fastness of the dyed wool fabric is more excellent. In addition, the perspiration fastness of the dyed wool fabric is increased by mordanting method. And than the rubbing fastness of the dyed wool fabric is showed excellent under dryness and wetness. Light fastness of the dyed wool fabric, however is showed inferiority. 4. The wool fabric dyed with Opuntia ficus-indica extract is showed effective bacterial reduction and UV-B protection is increased remarkably.

16~17세기 출토염직품의 염료와 매염제 분석 (Analysis of Dyes and Mordants of 16~17th Century Textiles Excavated from Daejeon)

  • 백영미;권영숙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9
    • /
    • 2012
  • 출토복식은 조선시대 복식문화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다. 그 중에서도 염직물들은 복식의 문화사적 연구뿐만 아니라 보존과학적 연구 및 유물복원을 위해 꼭 필요한 자료들이다. 그러나 매장환경에서 오랜 기간 동안 영향을 받으면서 색은 변퇴색되었으며 발굴 후에도 점차 퇴색되어가므로 본래의 색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적색, 황색, 자색, 청색의 천연염색포 표준시료를 제작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이하 HPLC-PDA)에 의해 분석하고, 같은 방법으로 출토염직물에 남아있는 색소를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출토직물의 염료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당시의 색을 추정하기 위해 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이하 SEM)에 연결된 에너지 분산형 원소분석장치(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이하 EDX)를 이용하여 매염제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16~17세기 출토직물편으로 대전시 송천동 출토 은진송씨 송문창 출토직물 2점과 대전시 목달동 출토 여산송씨 송희종 출토직물 1점 등 3점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alizarin, purpurin, indigo, ellagic acid 등의 색소가 검출되어 꼭두서니-쪽의 중복염색, 꼭두서니 염색, 석류-쪽의 중복염색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매염제로는 모든 유물에서 Al이 검출되었다.

매염제인 ZnSO4의 피부독성에 대한 멍석딸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Antioxidative and Whitening Effects of Rubus parvifolius L. Extract on Dermal Cytotoxicity of ZnSO4, Mordant)

  • 손영우;유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9-205
    • /
    • 2021
  • 본 연구는 매염제인 황산아연(ZnSO4)의 피부독성을 배양 피부세포주인 SK-MEL-3 세포를 재료로 산화적 손상측면에서의 조사와 함께 ZnSO4의 독성에 대한 멍석딸기(RP)의 영향을 항산화와 미백효과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본 실험을 위하여, 세포생존율, DPPH-라디칼 소거능 및 melanin합성 저해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ZnSO4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XTT50값이 173.3 uM로 중간 독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ascorbic acid는 ZnSO4에 의하여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ZnSO4의 독성에 대한 RP 추출물의 영향에서, RP 추출물 처리는 유의한 세포생존율의 증가와 함께 DPPH-라디칼 소거능과 melanin합성 저해능을 통하여 항산화와 미백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RP 추출물과 같은 천연성분은 향후 항산화제와 미백제로서의 대체물질 개발에 있어 활용적 가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 한지의 천연염색 특성 (Natural Dye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 최태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3호
    • /
    • pp.90-98
    • /
    • 2006
  • 일반적으로 동물성 섬유(견, 모)는 단백질 섬유로서 매염제를 쓰지 않고도 염색이 잘되는 편이지만, 식물성 섬유인 면, 마 등은 섬유소이므로 색소의 흡착이 불량하여 염색성이 우수한 염색 보조제로 전처리 한 다음, 주매염제를 처리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식물성 섬유의 일종인 인피섬유로 이루어진 한지의 천연염색 효과 향상을 위해 염색 보조제로 콩즙, 탈지분유 및 키토산을 한지에 전처리를 한 다음, 황벽나무 수피, 찔레나무 지엽, 꼭두서니 및 자초 뿌리로부터 염료를 추출하고 $Al_2(SO_4)_3$$Fe(OH)(CH_3COO)_2$를 매염제로 사용하여 염색한 한지의 염색특성과 견뢰도를 분석하였다. 천연염색 한지의 색상 및 색차 분석결과 염색 보조제를 사용한 것이 모든 염료에서 무처리 시료보다 염색이 양호하였으며, 사용한 염색 보조제 중에서는 콩즙으로 전처리한 시료가 가장 우수한 염색 효과를 나타내었다. 촉진노화 시험을 통한 천연염색 한지의 견뢰도를 분석한 결과 자초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꼭두서니가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염료로서 복숭아나무 전정가지의 이용성 (Utilization of Pruning Branch of Peach tree as a Natural Dyeing Material)

  • 박윤점;장홍기;김태춘;허북구;박용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1-77
    • /
    • 2005
  •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 포에 비해 색차(${\Delta}E$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 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천연염색 표준화와 정확성을 위한 매염제의 적용 및 데이터 확립 (Mordants Application and Data Establishment for Natural Dye Standardization and Accuarcy)

  • 정석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35-41
    • /
    • 2021
  • 천연염색은 전통적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서 사용되어 왔으며, 천연염색이 다양해짐에 따라 염색 패턴의 다양성도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4가지 천연염료에 대한 염료와 매염제의 색상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분석하여 사물인터넷에 정량화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표준화를 마련하고자 했다. Juglans regia Linn에서 추출한 염료에 구리 아세테이트, 철 II 황산염 및 중크롬산 칼륨을 첨가하면 갈색의 원래 색상이 각각 보라색, 카키색 및 암갈색의 다른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Sophora japonica L. 또는 Phellodendron amurense Ruprecht에 첨가된 중크롬산 칼륨을 제외하고는 다른 매염제의 농도는 감소되었지만 염색된 실크의 색상 차이는 매우 컸다. 그러나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초산구리와 황산철은 각각 35%와 15%의 색변화를 유도하였다. 종합해볼때, J. regia Linn, S. japonica L.과 P. amurense Ruprecht에는 copper acetate 15 gram을 Phytolacca americana에는 150 gram의 iron이 정확히 첨가된 것이 가장 높은 색상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고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매염제에 의한 정확한 색상 변화가 염료 및 매염제에 의한 보다 정확한 색상 유도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생성 천연색소의 섬유 염색 효과 (Dyeing effects of natural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Microbulbifer sp. PPB12)

  • 이가은;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7-533
    • /
    • 2017
  • 의류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염료를 이용한 염색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합성색소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인하여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미생물 색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가 생산하는 보라색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다섬교직포에서 염색 효과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보라색 색소는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를 Marine broth 2216을 이용하여 3일 동안 배양 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20% 에탄올에 녹인 보라색 색소는 다섬교직포의 면, 아세테이트 특히 나일론에 우수한 염착력을 나타내었고, 최적의 염색조건은 염색온도 $80-90^{\circ}C$, 염색시간 1시간 이상, pH 4-6, 욕비 1:25로 나타났다. 매염처리는 $Na_2SO_4$를 사용하여 염색 10분 후 후매염 처리 하는 것이 색상 발현에 더 적합하였으나 매염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라색 색소는 B. subtilis에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본 해양 세균 색소는 항균성이 부가된 천연 섬유 염색제로 이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매리골드 식물체 추출액 및 분말 색소가 견과 면직물의 염색성과 항균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igold Extracts and Powdered Colorant on the Dyeabil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Silk and Cotton Fabrics)

  • 박윤점;이상필;김현주;장홍기;최정락;허북구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48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make a search for the usefulness of marigold plants (Tagetes erecta) as a natural dye. And we have also examined into the dyeability and antifungal activity of silk and cotton fabrics dyed with 2% powdered colorant and 1% liquid colorant. Almost surface colors of silk and cotton fabrics dyed with 2% powdered colorant and that dyed with 1% liquid colorant except for that treated Cu and Fe with mordants were shown by Y-level. $L^*$ values of silk fabrics dyed with 2% powdered colorant were 66.2 to 86.39, those $a^*$ values were -1.97 to 6.09, and those $b^*$ values were 13.69 to 35.97. And $L^*$ value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2% powdered colorant were 78.97 to 89.62, those a values were -3.39 to 0.38, and those $b^*$ values were 5.63 to 15.61 $L^*$ values of silk fabrics dyed with 1% liquid colorant were 34.37 to 85.57, those a values were -7.79 to 12.33, and those $b^*$ values were 15.13 to 82.91, And $L^*$ value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1% liquid colorant were 44.12 to 87.90, those $a^*$ values were -8.37 to 6.18, and those $b^*$ values were 11.65 to 78.87. Colorfastness of silk fabrics against light treated nothing with mordants and that dyed with 1% liquid colorant decreased for a little by second grade, however, that against washing, rubbing, perspiration and dry cleaning were increased over fourth grade. Colorfastness of cotton fabrics in terms of rubbing, light, and dry cleaning, except for washing and perspiration, were shown by over third grade, when that was treated nothing with mordants. Antifungal activities of silk fabrics treated nothing with mordants and dyed with 1% liquid colorant of marigold extracts were shown by 28.9%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However, those of Al, Ca, Cu and tartaric acid mordanting were more than 25.5%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Klebsiella pneumoniae.

  • PDF

천연염료로서 복숭아나무 전정가지의 이용성 (Utilization of Pruning Branch of Peach Tree as a Natural Dyeing Material)

  • 박윤점;박용서;장홍기;허북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16-222
    • /
    • 2005
  • 복숭아나무 전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절지의 천연염료로서 이용성을 조사하였다. 복숭아 가지 추출물로 견과 면직물을 염색한 결과 견직물의 표면색은 매염제에 따른 차이가 있는 가운데 무염색포에 비해 색차(${\Delta}$값)가 11.63에서 30.86까지 나타났다. 면직물은 무매염시 17.71에서 황산철 매염시 40.41로 견직물 보다 염색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염제에 따라서는 소석회와 가성소다 매염시 a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황산구리와 명반, 식초 매염시는 b값이 높게 나타났다. 세탁을 3회 실시한 뒤 표면색을 조사한 결과 매염제에 따른 차이는 다소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무염색구와의 사이에 색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세탁 견뢰도는 다소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pH가 다른 수세액에 의한 수세 및 일광처리 후 표면색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처리 전후간에 차이가 적어 pH에 대한 견뢰도 및 일광 견뢰도는 비교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삼 추출액을 이용한 견직물의 천연염색 (Natural Dyeing of Silk Fabrics with Dansam (Salvia miltiorrhiza Bunge) Extract)

  • 남정란;이정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874-881
    • /
    • 2013
  • Dansam (Salvia miltiorrhiza Bunge) is a perennial plant that belongs to the Labiatae family and is characterized by red pigment found in the epidermis of its roots. Research on the dyeability of Dansam extract was performed with repeated trials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time, and mordant treatment. Silk fabrics were dyed with Dansam extract and mordanted with various agents such as Al, Fe, Cu, and Sn to evaluate the dyeability and functionality of Dansam extract; subsequently, the K/S value and the change of surface color were analyzed using a colorimeter. In addition, the dyeability of dyed fabrics (such as color fastness to washing, dry cleaning fastness, rubbing fastness and light fastness) and functionality (such as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were analyzed. The surface colors of all dyed fabrics were recorded and the results showed the presence of mostly YR series of colors; in addition, a GY color series appeared in the Fe pre-mordants of the silk fabric. The highest K/S values were recorded in Fe post-mordants. The washing fastness were Level 3 and Level 4; in addition, the dry-cleaning fastness showed excellent results at Level 4 and Level 5. The rubbing fastness was satisfactory at Level 3 and Level 4 and the light fastness was satisfactory at Level 4.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s (that pertained to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fabrics dyed with Dansam extract) showed a 99.9% bacteria reduction rate of Staphylococcus aureus and Klebsiella pneumoniae. In regards to deodorization ability, dyed fabrics were found to have higher deodorization rates than those not dyed. The dyed fabric demonstrated exceptional deodorization qua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