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discharge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41초

ASSESSMENT AND CONTROL OF TOTAL NUTRIENT LOADS IN WATERSHED AND STREAM NETWORK IN SOUTH-WEST TEXAS

  • Lee, Ju-Young;Choi, Jae-Young
    • Water Engineering Research
    • /
    • 제7권1호
    • /
    • pp.1-8
    • /
    • 2006
  • Recently, the population growth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are rapidly undergoing in the South-West Texas. The junction of three river basins such as Lavaca river basin, Colorado-Lavaca Coastal basin and Lavaca-Guadalupe Coastal basin, are interesting for non-point and point source pollutant modeling: Especially, the 2 basins are an intensively agricultural region (Colorado-Lavaca Coastal/Lavaca-Guadalupe Coastal basins) and several cities are rapidly extended. In case of the Lavaca river basin, there are many range land. Several habitat types wide-spread over three relatively larger basins and five wastewater discharge regions are located in there. There are different hazardous substances which have been released. Total nutrient loads are composed of land surface load and river load as Non-point source and discharge from wastewater facilities as point source. In 3 basins region, wher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poll Jtion may be a big concern, because increasing fertilizers and pesticides use and population cause. This project objective seeks to how to assess and control the accumulation of non-point and point source and discuss the main impacts of agriculture and environmental concern as non-point source with water quality related to pesticides, fertilizer, and nutrients and as point source with wasterwater discharge from cities. The GIS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to aid in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 analysis of impacts to natural resource within watershed. This project shows the losses in $kg/km^2/year$ of BOD (Biological Oxygen Demand), TN (Total Nitrogen) and TP (Total Phosphorus) in the runoff from the surface of 3 basins. In the next paper, sediment contamination will show how to evaluate in Estuarine habitats of these downstream.

  • PDF

Assessment of Rainfall Runoff and Flood Inundation in the Mekong River Basin by Using RRI Model

  • Try, Sophal;Lee, Giha;Yu, Wansik;Oeurng, Chantha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191
    • /
    • 2017
  • Floods have become more widespread and frequent among natural disasters and consisted significant losses of lives and properties worldwide. Flood's impacts are threatening socio-economic and people's lives in the Mekong River Basin every ye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d hazard areas and inundation depth in the Mekong River Basin. A rainfall-runoff and flood inundation model is necessary to enhance understanding of characteristic of flooding. Rainfall-Runoff-Inundation (RRI) model, a two-dimensional model capable of simulating rainfall-runoff and flood inundation simultaneously, was applied in this study. HydoSHEDS Topographical data, APPRODITE precipitation, MODIS land use, and river cross section were used as input data for the simulation. The Shuffled Complex Evolution (SCE-UA) global optimization method was integrated with RRI model to calibrate the sensitive parameters. In the present study, we selected flood event in 2000 which was considered as 50-year return period flood in term of discharge volume of 500 km3. The simulat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observed discharge at the stations along the mainstream and inundation map produced by Dartmouth Flood Observatory and Landsat 7. The results indicated good agreement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discharge with NSE = 0.86 at Stung Treng Station. The model predicted inundation extent with success rate SR = 67.50% and modified success rate MSR = 74.53%. In conclusion, the RRI model was successfully used to simulate rainfall runoff and inundation processes in the large scale Mekong River Basin with a good performance. It is recommen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input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imulation result.

  • PDF

임상이 다른 3개 산림소유역의 장기 증발산량과 유출량의 변화 (Variations of Annual Evapotranspiration nnd Discharge in Three Different Forest-Type Catchments, Gyeonggido, South Korea)

  • 김경하;정용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74-182
    • /
    • 2006
  • 이 연구는 임분구조가 다른 3가지 임상에서 장기 증발산량과 유출량의 변화를 분석하여 증발산량, 첨두유출량 및 유출량에 미치는 장기 임상변화의 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지는 경기도 광릉에 소재한 국립산림과학원 유역수문시험지로서 인공침엽수 유령림과 천연활엽수 장령림 그리고 경기도 양주에 소재한 혼효 사방복구림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문자료는 1982년부터 1999년까지 양수댐에서 측정한 유출량과 강수량을 분석하여 각 시험지별로 약 110개의 홍수수 문곡선을 선별한 후 첨두유출량과 그 시점까지의 강수량 합계를 분석하였다. 강수량과 유출량의 관계로부터 증발산량을 추정한 결과, 증발산량은 인공침엽수 유령림에서 679mm, 천연활엽수 장령림에서 580mm이었으며 혼효 사방복구림에서는 368mm이었다. 또한, 유역의 유출량조절효과를 보여주는 유출량-지속기간 곡선에 대한 분석 결과, 임상이 가장 불량한 혼효 사방복구림에서 곡선의 기울기가 가장 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산림이 생장함에 따라 그 기울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수량과 첨두유출량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공침엽수 유령림과 혼효 사방복구림의 경우 각각 강수량 100mm 및 50mm에서 첨두유출량의 증가율이 높아지는 역치값을 보이는 반면에 천연활엽수 장령림은 200mm로 나타났다. 장기간에 걸친 홍수수 문곡선의 비교 결과, 인공침엽수 유령림에서는 10년이 경과한 후 첨두유출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이 생장함에 따라 홍수유출조절 효과가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금강 하구역에서 영양염류, 엽록소, 부유물질과 염분변화에 대한 500일간의 연속관측 (500-days Continuous Observation of Nutrients, Chlorophyll Suspended Solid and Salinity in the Keum Estuary, Korea)

  • 이용혁;양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권1호
    • /
    • pp.1-7
    • /
    • 1997
  • 군산 하구역에서 해양학적 환경의 시간적 변화양상을 이해하고 하구언 축조 이후 갑문의 조작에 의한 환경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5년 6월부터 1996년 9월까지 약 500일간 매일 관측을 하였다. 조사대상 항목은 해양환경의 일반적인 조사대상인 영양염, 엽록소, 부유현탁물질 그리고 염분이었으며, 이들 자료를 설명하기 위하여 일차적으로 조석자료를 이용하였고, 또한 보조자료로서 기온, 강우량, 풍속등 기상 자료와 금강 하구언의 담수 방출량과 같은 하구언의 갑문조작 효과도 그 관련성을 조사하였다. 조석 위상에 따른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4월에 26시간, 7월에 19시간에 걸쳐 시간별로 연속조사를 병행하였다. 시간별 조사에서 염분의 변화양상은 조위에 비례관계를 보였으며, 부유현탁물질과 엽록소는 창 낙조 사이에서 높은 농도를 보였다. 영양염류는 염분에 반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500일 연속 관측에서 염분은 당수 방출량과 반비례하며, 엽록소는 봄철에 높은 농도를 보였다. 각 영양염류는 변화양상이 유사하였고, 염분과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내었다. 부유현탁물질은 15일 주기인 조석 주기(neap-spring tide cycle)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으며, 홍수기에는 담수 방출량에 의하여 주로 결정되었다. 금강 하구언의 갑문을 조작하기 이전과 비교해 볼 때 담수의 방출은 우기에 집중되고 있으며, 조류의 감소, 부유물질의 감소, 영양염류와 엽록소의 증가를 보였다.

  • PDF

실시간 총유사량 모니터링을 위한 H-ADCP 연계 수정 아인슈타인 방법의 의사 SVR 모형 (A SVR Based-Pseudo Modified Einstein Procedure Incorporating H-ADCP Model for Real-Time Total Sediment Discharge Monitoring)

  • 노효섭;손근수;김동수;박용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3호
    • /
    • pp.321-335
    • /
    • 2023
  • 자연하천에서의 유사량 계측은 하천공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지만 계측 방법의 비용 문제로 유사량 실측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소류사량 계측의 어려움으로 인해 주기적인 유사량 모니터링의 대부분이 부유사 농도 계측에만 제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는 자동유량관측소에 설치된 횡방향 도플러 유속계(H-ADCP)의 후방산란값과 부유사 농도의 상관관계를 이용해 실시간으로 부유사 농도를 산정하고 총유사량을 산정하는 서포트벡터회귀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실시간 총유사량 모니터링 시스템은 부유사 농도 모형과 수정 아인슈타인 방법을 모사하는 총유사량 산정 모형으로 구성된다. 각 모형의 매개변수와 입력변수는 K겹 교차검증 기반 격자검색 방법과 재귀적 특징 제거법을 이용해 결정되었다. 교차검증에서 부유사 농도 모형과 총유사량 산정 모형의 R2가 각각 0.885와 0.860으로 유사량-유량 관계곡선에 비해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유사량 관측을 통해 새로 제시되는 실시간 총유사량 관측 시스템이 자연하천에서 발달하는 유사량-유량 이력관계와 미세한 유량 변화에서 나타나는 유사량 변화를 성공적으로 관측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마찰경사나 부유사 입도 등의 수리 조건을 가정할 필요 없이 H-ADCP의 원시자료만으로 부유사 농도와 총유사량을 산정할 수 있어 기존 방법에 비해 불확도가 적으며 경제적이다. 본 방법은 H-ADCP가 설치된 유사량 관측소에 광범위하게 적용 가능해 유사량 모니터링의 시간적 해상도를 경제적으로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연하천에서 오염물질의 횡확산에 관한 수치모형 (Numerical Investigation of Transverse Dispersion in Natural Channels)

  • 서일원;김대근
    • 물과 미래
    • /
    • 제28권5호
    • /
    • pp.151-162
    • /
    • 1995
  • 자연하천에서 오염물질의 횡확산과정은 정확하게 모의하기 위하여 2차원 유관확산모형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에서는 독립변수로서 횡방향거리 대신에 횡방향누가유량을 도입하였고, 하천의 주흐름을 따라 좌표축을 설정하는 자연좌표계를 사용하였다. 유도한 유관확산방정식을 풀기 위한 수치방법으로서 Eulerian-Lagrangian method를 이용하였다. 유관확산방정식을 연산자분리방법을 이용하여 이송을 지배하는 방정식과 확산을 지배하는 방정식으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이송방정식은 Eulerian 계산격자상에서 특성곡선법을 이용하였고 확산방정식은 중앙차분법을 이용하여 수치모의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송방정식의 풀이에서 사용되는 보간다항식으로 cubic spline 보간다항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적용하여 실제 자연하천에서 행해진 정상상태의 색소실험 결과를 모의한 결과개발된 모형이 우수한 거동을 보이고 있음이 밝혀졌다.

  • PDF

Approach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River Restoration Technology

  • Kazumasa, It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50
    • /
    • 2006
  • About 50% of the population and 75% of the properties concentrate on the flood plain in Japan. The rivers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our lives. Those conditions have been seen after modern river improvement projects that began about a century ago. The technology which wa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was improved in conformity with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 climate condition of our nation, and has redeveloped as a Japanese original technology. In 1940's, Japan had serious natural disasters that were caused by large- scale typhoons. Those typhoons wiped out everything completely. Even though the government realized the importance of flood control and management after those natural disasters, civil work still aimed to economic development. Those construction works have become the one of factors for concentrating population and degrading natural environment in urban areas. Deterioration of river environment has become serious issue in urban development and main cause of pollution. The approaches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s which were started about 30 years ago aimed to harmonize with nature environment and cities and human lives. There have been going on many projects called 'river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the 'nature friendly river works' and 'natural restoration projects.' The society has tried to find a way to live in harmony with nature. As for societies symbiotic with habitats will form the safe country in the history and the spectacle. Such as the symbiotic of the river or the basin where discharge, water quality, nature, the history, landscape, the local society and also for culture were built in is achieved. Examples of working, applied to restoration technologies and the one to describe the mechanism construction are been shown in the paper. Furthermore, write for an international spread of the river technology of Japan to attempt.

  • PDF

황기의 성분연구 (3);Triterpenoids and Sterols (Phytochemical Studies on Astragalus Root (3);Triterpenoids and Sterols)

  • 정혜실;이은주;이제현;김주선;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86-193
    • /
    • 2008
  • Astragali Radix, known as Huangqi, is the most important tonic in the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It reinforces 'qi' (vital energy), strengthens the superficial resistance and promotes the discharge of pus and the growth of new tissue. It has long been used as an anti-perspirant, anti-diuretic or a tonic. Eleve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hexane and EtOAc fractions from the roo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Leguminos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four triterpenoids [lupenone (1), friedelin (2), lupeol (3), soyasapogenol E (9)] and seven sterols [${\beta}-sitosterol$ (4), stigmastane-3,6-dione (5), $7{\alpha}-hydroxysitosterol$ (6), $5{\alpha},6{\beta}-dihydroxysitosterol$ (7), $7-oxo-{\beta}-sitosterol$ (8), ${\beta}-sitosterol$ glucoside 6'-O-palmitate (10), ${\beta}-sitosterol$ glucoside (11)].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Among these compounds, lupenone (1), friedelin (2), lupeol (3), stigmastane-3,6-dione (5), $7{\alpha}-hydroxysitosterol$ (6), $5{\alpha},6{\beta}-dihydroxysitosterol$ (7), $7-oxo-{\beta}-sitosterol$ (8), soyasapogenol E (9), and ${\beta}-sitosterol$ glucoside 6'-O-palmitate (10)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자연하천 현장자료를 이용한 저항계수의 결정 (Determination of Resistance Coefficients Using Field Measurements in Natural Rivers)

  • 이종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2B호
    • /
    • pp.139-147
    • /
    • 2012
  • 본 연구는 자연하천의 모래 179개, 자갈 992개, 조약돌 651개, 호박돌 53개 수로로 구성된 현장실측 1,875개 하천자료를 사용하여 흐름 저항에 대한 Darcy-Weisbach 마찰계수와 Manning의 조도계수 및 무차원 유속의 관계식을 각각 유도하였다. 멱함수 형의 이들 관계식은 유량, 수로경사 및 상대 잠수비에 대한 함수식으로 회귀분석과 반 경험적 방법에 의해 제안하였다. Box-Whisker 분석에 의한 Manning 조도계수의 실측치 분포는 각각 모래자료에서 0.004~0.151, 자갈자료에서 0.008~0.250, 조약돌 자료에서 0.015~0.327 및 호박돌 자료에서 0.023~0.444로 나타났다. 이들 반 경험적 관계식과 저항계수는 수공분야의 정보제공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자발성 뇌실질내혈종 환자에서의 뇌압변화와 임상증상과의 관계 (Correlation of Changes of Intracranial Pressure and Clinical Manifestations in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 정을수;고삼규;김오룡;지용철;최병연;조수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35-44
    • /
    • 1991
  • 저자들은 1990년 3월부터 1991년 2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외과학교실에서 뇌정위적 수술을 시행하여 뇌실질내 출혈부위와 뇌실내에 모두 도관을 삽입한 자발성 뇌실질내 출혈 환자 30례에서 뇌압변화와 임상증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자발성 뇌실질내 출혈은 40-60대에 주로 발생하였고, 여자가 2.3배로 많았으며, 출혈위치는 피각부, 시상부, 소뇌부 등의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고혈압의 기왕력을 가진 사람이 많았으며, 고혈압과 연관된 심전도 소견을 보인 경우가 많았다. 평균 동맥혈 이산화탄소분압이 높은 환자에서 뇌압이 높았으며, 뇌압과 재출혈 및 퇴원시 ADL과는 유의한 관계는 없었다. 수술후 72시간경에 뇌압이 가장 높았으며, 뇌실질내 출혈 부위에 6000 IU 유로키나제 세척을 시행한 결과 유로키나제 세척후는 전에 비하여 평균 63.2%의 감압이 있었다. 뇌압이 높은 경우 Natural drainage를 많이 시행 했으나, Natural drainage 횟수와 퇴원시 ADL과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처음 GCS이 높을수록 수술후에 GCS이 높았으며, 평균 뇌압이 높을수록 평균 GCS이 낮아 환자 상태가 나쁜 경우가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