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and Water Resources

검색결과 1,464건 처리시간 0.038초

한강 팔당하류의 갈수 시 댐 용수공급 가능유하량 분석 (The Analysis of Potential Discharge by Dam in Han River Basin at Dry Season)

  • 김영규;최계운;함명수;김남원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1호
    • /
    • pp.1143-1152
    • /
    • 2008
  • 우리나라는 강우량의 편기 현상으로 6월부터 9월중에 전체 강우량의 2/3가 내리고 있으며 갈수기에는 극히 적은 강우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갈수기에는 물 부족으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는 문제까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갈수기에 발생하는 수질 악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저수지로부터 하천 유하량을 증가시켜 희석을 통한 수 질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한강유역을 총 33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소유역에서 발생되는 자연유출량을 모의하였다. 또한 용수수요량은 과거 용수 사용량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한강유역에서 유량을 공급하는 대규모 저류지는 남한강과 북한강에서 각각 한 개씩의 다목적댐(충주댐, 소양강댐)이 있는 것으로 고려하였으며, 각각의 댐에서 물을 공급하는 경우와 동시에 공급하는 경우에 대하여 댐 용수공급 가능유하량을 분석하였다.

UF/MF막을 이용한 고도수처리 (Advanced Water Treatment by UF/MF Membranes)

  • 김기협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제5회 하계 Workshop (97 한,카 국제공동 Workshop, 고도 수처리를 위한 막분리 공정)
    • /
    • pp.105-142
    • /
    • 1997
  • We know very well the importance of water. Recently, we perceive the truth that water influence the quality of products and we must pay for it. Besides, we recognize why the water treatment is indispensable for life as well as industries. The variation of environment changes the natural resources and threatens the human life. Now, we cannot get water freely from nature. We should find new processes which are effective and inexpensive. We believe that the membrane technology can suggest the new way of water treatment. I'd like to explain the situation of water resource and the membrane processes by UF/MF membranes. I'll also introduce several case studies in this lecture. Till now, about 10 MF/UF systems were established in Korea. Of course, the usage of MF/UF for water treatment is beginning stage in Korea. But the future prospect is very good. Korean government has been developed various kinds of membrane processes for the purpose of drinking water, water reuse, development of new water resources and water related technologies, etc. In near future, maybe we will meet serious water problems, water deficiency and contamination. Fortunetely, we can suggest the membrane process for solving those problems. Membrane technology will be the base of clean technology.

  • PDF

분석단위 세분화에 따른 한강권역의 물수급 분석 비교 및 고찰 (Comparison and discussion of water supply and demand forecasts considering spatial resolution in the Han-river basin)

  • 오지환;김연수;류경식;배영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7호
    • /
    • pp.505-514
    • /
    • 2019
  • 우리나라는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 지역의 문제와 물이용 현황, 특성, 지형, 기후 등을 고려한 유역을 세분화한 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강 권역을 대상으로 MODSIM 모형을 활용하여 중권역과 표준유역단위 물 수급 체계를 구축하고 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49개년(1967-2015)간 발생하는 평균 물 부족량은 중권역 단위 129.98 백만$m^3$, 표준유역단위 2,229.24 백만 $m^3$으로 약 21 억$m^3$ 가량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물 부족이 발생하는 시기와 물 부족 발생 공간 분포에 대한 경향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중권역 단위 분석의 경우, 모든 수량을 이용할 수 있다는 가정으로 대표 자연유량 값에 대한 생활, 공업, 농업용수 수요량에 대한 물 부족량이 산정된다. 그러나, 표준유역단위 분석에서는 분할된 공급량과 수요량의 차이로 인해 본류와 이격되어 있는 지류는 가용할 수 있는 수자원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물 부족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본류는 오히려 회귀수량의 파급효과로 인해 물 부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분석 단위의 세분화 뿐만 아니라 실제 물이용체계가 모형 내 고려된다면 지역적 특성이 반영된 물수급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천연염색 폐수처리시설의 세균 군집 (Bacterial Community of Natural Dy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y)

  • 황영민;김대국;이지희;백근식;박철;성치남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3-402
    • /
    • 2014
  • 천연염색폐수시설 폐수의 세균 군집분석을 위해 배양 가능한 세균을 분리하는 방법과 비배양 방법인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방법을 이용하였다. 3개의 폐수 공정단계로부터 분리된 104개(폐수유입수, 48균주; 접촉포기조, 25균주; 침전조, 31균주) 균주들의 16S rRN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104개의 분리균들은 Proteobacteria 문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 하였으며, Actinobacteria, Firmicutes 와 Bacteriodetes 등 4개 문에 속했다. DGGE profile중 각 시료의 우점 군집을 대표하는17개의 band를 선택하여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분리균과 동일한 4개의 문에 속했다. 배양기법을 이용한 결과와 배양하지 않고 분석하는 방법인 DGGE결과 모두 Proteobacteria 문이 우점하였으며 Alphaproteabacteria강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천연염색 폐수처리시설의 세균 군집들은 인간을 비롯한 동식물의 기생균, 다당류와 난분해성 화합물을 분해하는 세균 그리고 세포외 다당을 형성하는 세균들이 우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과 홍수저감효과에 대한 댐 영향 분석 I (Dam Effects on Spatial Extension of Flood Discharge Data and Flood Reduction Scale I)

  • 김남원;정용;이정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3호
    • /
    • pp.209-22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유역의 홍수 유출자료를 생성하는 공간확장법에 대한 주변여건 변화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특히, 댐이 있는 곳에서의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 가능성을 보이고 공간확장 된 자료를 활용한 자연유량의 생성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댐의 설치로 유역동질성이 손실된 미계측 유역의 유출자료생성을 위한 시도이다. 댐의 영향을 받는 유역의 홍수 유출자료 공간확장을 위해서 남한강에 위치한 여주 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양평 수위관측소까지를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 삼았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성을 분석하기 위해 1986년부터 2010년까지의 여주수위관측소의 홍수유량을 중심으로 41개의 홍수사상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 유출자료 공간확장성과 댐 영향을 제거한 자연유량을 산정 하였다.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 작업에서 여주의 관측유출량을 중심으로 공간확장 했을 때 77%이상의 사상이 Nash-Sutcliffe efficiency의 만족도 범위 내(NSE>0.5)로 분포 하였으며, 확장된 양평 수위관측소의 첨두홍수량(peak discharge)에 대해 0.84 NSE를 얻을 수 있었다. 홍수 유출자료의 자연유량은 여주수위관측소를 중심으로 구하였으며 충주댐의 영향이 횡성댐의 영향보다 커 충주댐의 유입량을 중심으로 자연유량을 확보하였다. 충주댐이 존재하는 1986년 이후의 자연유량은 관측 유량보다 첨두홍수량이 크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댐과 같은 구조물의 설치가 있는 곳에서도 홍수 유출자료의 공간확장이 가능하며 홍수 유출자료 공간확장된 자료를 활용하여 자연유량을 구할 수 있음을 보였다.

Approach for International Exchange of River Restoration Technology

  • Kazumasa, Ito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6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50
    • /
    • 2006
  • About 50% of the population and 75% of the properties concentrate on the flood plain in Japan. The rivers have intimate relationship with our lives. Those conditions have been seen after modern river improvement projects that began about a century ago. The technology which was introduced from foreign countries was improved in conformity with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 climate condition of our nation, and has redeveloped as a Japanese original technology. In 1940's, Japan had serious natural disasters that were caused by large- scale typhoons. Those typhoons wiped out everything completely. Even though the government realized the importance of flood control and management after those natural disasters, civil work still aimed to economic development. Those construction works have become the one of factors for concentrating population and degrading natural environment in urban areas. Deterioration of river environment has become serious issue in urban development and main cause of pollution. The approaches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s which were started about 30 years ago aimed to harmonize with nature environment and cities and human lives. There have been going on many projects called 'river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s', the 'nature friendly river works' and 'natural restoration projects.' The society has tried to find a way to live in harmony with nature. As for societies symbiotic with habitats will form the safe country in the history and the spectacle. Such as the symbiotic of the river or the basin where discharge, water quality, nature, the history, landscape, the local society and also for culture were built in is achieved. Examples of working, applied to restoration technologies and the one to describe the mechanism construction are been shown in the paper. Furthermore, write for an international spread of the river technology of Japan to attempt.

  • PDF

도시화에 따른 도시 및 농촌 지역의 국지적 기후변화 비교 분석 (Assess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in Urban and Rural Areas Based on Anthropogenic Climate Change and Urbanization)

  • 남원호;윤동현;홍은미;김태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5-25
    • /
    • 2017
  • 국지 혹은 지역적인 기후의 특성은 지구규모 또는 종관규모에서의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온난화와 동시에 도시화 (urbanization)에 따른 열섬 현상 (heat island effect)을 포함한 인위적인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날 수 있다. 도시화에 따른 지면피복의 변화는 관측된 온난화 신호에 일정부분 기여하며, 도시 지역은 농촌 및 산림 지역과 비교하여 수문 및 기후학적 측면에서 지역 내 에너지수지 및 물수지의 특성이 상이하기 때문에, 지구온난화에 의한 전 지구적 현상과 도시화에 의한 국소적 현상을 구분하여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향후 도시/비도시에 따른 도시화 편향 영향으로 인한 기후변화 예측의 편이를 분석하는데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인위적인 기후변화 (anthropogenic climate change)와 종관규모에서의 자연적 기후변화 (natural climate change or climate change)에 기인한 부분을 정량적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도시화의 정도가 서로 다른 도시 지역 및 농촌, 산림 지역을 선정하여 최근 50년간 (1966~2015년) 기상청 관측소의 기상자료와 각 관측지점별 인구수 및 인구증가/감소 추세를 비교함으로써 도시화율의 변화가 기상요소에 미치는 영향의 지역별 차이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 PDF

복분자의 효소 추출 공정의 최적화 및 성분 변화 (Optimization of Macerating Enzymatic Extraction Process and Components Change of Extract of Rubus coreanus Miq. Fruit)

  • 류일환;권태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97-104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timal condition for macerating enzymatic extraction process that leads to the highest yield and the largest extracted amount of bio-active contents from Rubus coreanus Miq. fruit.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found as the following: The initial amount of the water added to the fruit was 20 ~ 30% by weight. The mixing ratio used for the macerating enzyme was 4 : 1 : 2 (w : w : w) for cellulase:pectinase:amylogucosidase, and the amount of the macerating enzyme added was 2% by weight. The extraction process was done at a temperature of $45{\sim}50^{\circ}C$ for 10 hours. The extraction yields on Rubus coreanus Miq. fruit by macerating enzymatic extraction process was increased by 84.3% compared to that of hot-water extraction process. The amounts of organic acids and vitamin found in the extract were also higher. The amount of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in the extract were 185% and 257% of those from hot-water extraction,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cerating enzymatic extraction is an effective method to boost extraction yield and to increase the amount of extraction of bio-active contents from Rubus coreanus Miq. fruit.

관개취약성 평가모형 및 군집분석을 활용한 용수공급 위험도 평가 (Water Supply Risk Assess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Irrigation Vulnerability Model and Cluster Analysis)

  • 남원호;김태곤;홍은미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1호
    • /
    • pp.59-67
    • /
    • 2015
  • Because reservoirs that supply irrigation water play an important role in water resource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this particular water supply resour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water supply risk maps of agricultural reservoirs in South Korea using irrigation vulnerability model and cluster analysis. To quantify water supply risk, irrigation vulnerability indices are estima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water supply on the agricultural reservoir system using a probability theory and reliability analysis. First, the irrigation vulnerability probabilities of 1,346 reservoirs managed by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KRC) were analyzed using meteorological data on 54 meteorological stations over the past 30 years (1981-2010). Second, using the K-mean method of non-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pre-simulation approach, cluster analysis was applied to classify into three groups for characterizing irrigation vulnerability in reservoirs. The morphology index, watershed area, irrigated area, and ratio between watershed and irrigated area are selected as the clustering analysis parame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water supply risk map be utilized as a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risk management measures, and could provide effective information for a reasonable decision making on drought risk mitigation.

가시오가피 추출물의 항당뇨 활성 및 GLUT4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tidiabetic and GLUT4 gene Expression of Acanthopanax senticosus Extracts)

  • 정의수;박종필;최한;장경순;강신호;강세찬;지옥표
    • 생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28-232
    • /
    • 2008
  • Antidiabetic effects of an aqueous and solvent extract prepared from the root, stem and fruit parts of Acanthopanax senticosus, were investigated in experimental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model. The n-butanol and water extracts of A. senticosus were orally administrated once a day for 6 days. The n-butanol extracts of fruit (FB) showed highest efficiency than other groups (water extracts of stem, root and fruit; butanol extracts of stem, root) on serum glucose values in the STZ-induced diabetic rats. We have studied gene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genes in C2C12 skeletal muscle cell line during differentiation treated by the n-butanol and water extracts of A. senticosus, SW, RW, FW, SB, RB and FB. The GLUT4 gene was high expressed by FB trea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FB of A. senticosus have GLUT4 gene expression activity for glucose homeostasis and may have beneficial effects on blood glucose lowering in the diabetic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