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Preservative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7초

HPLC 및 GC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보존료 함유량 조사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Raw Materials of Functional Foods by HPLC-PDA and GC-FID)

  • 김정복;김명철;송성완;신재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8-36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 및 부원료에 대하여 천연 유래의 보존료(소르빈산, 안식향산, 프로피온산)의 문헌상의 함유량을 조사하며, 국내 유통 건강기능식품 원료 중 천연 유래 보존료의 검출 가능성이 있는 원료를 선정하고 수집하여 천연 유래 보존료의 함유량 조사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식품공전상의 보존료 시험법의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액체, 분말, 유지시료를 선정하여 이에 대한 직선성, 정확성, 정밀성, 회수율, 검출한계 및 정량한계에 대한 시험법 검증을 실시하였다. 3가지 유형에 대하여 직선성은 0.99 이상의 높은 직선성을 보였으며, 정밀성은 일간과 일내에서 0.5~9.2%, 정확성은 84.0~123.9%의 정확성을 보였다. 회수율은 각각의 보존료에서 88.7~98.9%를 나타냈고, 검출한계는 0.03~1.30 mg/kg, 정량한계는 0.10~3.80 mg/kg으로 산출되었다. 시료는 총 80품목 212건을 수집하여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48품목 85건의 시료에서 보존료 성분이 검출되었다. 전체 보존료 성분의 검출률은 40.1%였으며, 26건의 시료에서 중복의 보존료 성분이 검출되었다. 소르빈산은 7건의 시료에서 검출되었으며, 안식향산은 60건, 프로피온산은 47건에서 검출되어 안식향산이 가장 높은 검출률을 보였다. 검출된 보존료 성분의 함량 분포는 소르빈산의 경우 10 mg/kg 이하가 5건, 50 mg/kg 이하가 1건, 500 mg/kg 이하가 1건 검출되었으며, 안식향산의 경우 10 mg/kg 이하가 36건, 50 mg/kg 이하가 14건, 100 mg/kg 이하 및 500 mg/kg 이하가 각각 4건이었으며, 500 mg/kg 이상 검출된 경우도 2건이었다. 프로피온산의 경우 10 mg/kg 이하가 25건, 50 mg/kg 이하가 13건, 100 mg/kg 이하가 3건, 500 mg/kg 이하가 6건이 검출되어 시료에서 검출된 보존료의 함량은 10 mg/kg 이하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에 대한 천연 유래 보존료의 DB를 마련하고, 향후 건강기능식품 중 보존료의 천연 유래 여부 판단 시 근거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국가 간의 교역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등으로 인한 무역마찰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성 원료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 조사 (Monitoring of Preservatives Produced Naturally in Vegetable Raw Materials)

  • 이수빈;소지선;정금재;남혜선;오재명;이순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2-16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중 천연유래 보존료의 함유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안식향산, 소브산 및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분석하였다.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중 안식향산 및 소브산 함량을 정량, 정성 분석하기 위하여 액체크로마토그래프(HPLC-DAD) 및 액체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LC-MS/MS)를 이용하였고, 프로피온산 함량분석을 위하여 가스크로마토그래프(GC-FID) 및 가스크로마토그래프 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였다. 에탄올을 사용하여 용매추출 후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정제하는 방법으로 전처리 방법을 확립하였고, 직선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회수율 측정으로 분석방법을 검증하였다.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497건을 수거하여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검출 범위는 각각 불검출-27.3 mg/kg, 불검출-1,057 mg/kg, 불검출-175 mg/kg이었다.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평균 검출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품목은 각각 작약(337 mg/kg), 비자(12.1 mg/kg), 몰약(64.8 mg/kg)이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분석 방법은 다양한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을 대상으로 미량의 함량의 천연유래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을 분석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이며, 분석 결과는 식품 이외에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농·임산물 중 천연유래 안식향산, 소브산, 프로피온산의 함유량을 알 수 있는 근거자료로 향후 식품 검사 시 보존료 사용기준 위반 판정으로 인한 민원제기나 국가간 무역 마찰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항균 활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s of Propolis)

  • 손영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89-194
    • /
    • 2003
  • 기존에 식품의 저장성 향상을 우해 사용되어졌던 방법들의 문제점들을 최소화하고 보다 효과적인 식품저장을 위해 전통적으로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식용되어 왔으며 그 안전성이 확보된 프로폴리스를 대상으로 대표적인 식품 부패 미생물에 대한 생육억제활성을 탐색하고 건강 지향적인 식품보존제로서 이를 식품에 적용하여 보다 좋은 품질의 가공식품개발에 활용코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를 보면 19.41% 수분, 0.39% 조단백, 5.12% 조지방, 0.15% 조회분의 결과를 보여주었다. 프로폴리스는 에탄올 60%, 에탄올 80% 추출물에서는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프로폴리스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항균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로 실험한 처리구에서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어 이를 사용하여 유해 미생물들에 대한 농도별 항균 효과를 살펴보았다. 프로폴리스 추출물로 유해미생물을 처리했을 때 Bacillus subtilis, Micrococcus luteus는 1~2 mg/mL로 처리 시 생균수가 1~4log 감소하였고, E. coli는 3mg/mL로 처리 시, Bacillus cereus는 1~2 mg/mL의 노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해 생균수가 2log 감소하였다. Staphylococcus aureus와 Shigella sonnei의 사멸효과는 0.1~3 mg/mL의 농도에서 생균수가 2~4log 감소하였다. Erwinia rhapontici의 사멸효과는 2 mg/mL 농도로 실험했을 때 2 log 정도 생ㅇ육저해효과를 보였고, Salmonella choleraesuis, Vibrio parahaemolyticus에서의 사멸효가는 크게 관찰할 수 없었다. 프로폴리스는 그램양성균에 대한 사멸효과가 그램음성균에 대한 효과 보다 더 우수하였다.

약용식물 추출물이 저온식품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 양의주;한정;이인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10-114
    • /
    • 1999
  • In order to study the natural preservation of food, sixteen kinds of medicinal plants were extracted by 80% methanol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s was investigated against various kinds of microorganisms. The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showed good effects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acteria except Bacillus cereus, Escherichia coli O-157. Especially, the extracts of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virganrea shower good inhibitory effects on the growth of bacteria to the cooling preservation foods, and Artemisia annua was decreased of the TMA(Trimethylamine) test. the result thus indicate that Artemisia annua, Aster scaber, Solidago fischeri extract inhibitory effects on cooling preservation foods, so that it may be potential as a natural preservatives.

  • PDF

Cloning, Characterization, and Production of a Novel Lysozyme by Different Expression Hosts

  • Zhang, Haifeng;Fu, Gang;Zhang, Dawe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0호
    • /
    • pp.1405-1412
    • /
    • 2014
  • Lysozyme is a protein found in egg white, tears, saliva, and other secretions. As a marketable natural alternative to preservatives, lysozyme can act as a natural antibiotic. In this study, we have isolated Bacillus licheniformis TIB320 from soil, which contains a lysozyme gene with various features. We have cloned and expressed the lysozyme in E. coli.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lysozyme showed that it had a broad antimicrobial spectrum against several standard strains. The lysozyme could maintain efficient activities in a pH range between 3 and 9 and from $20^{\circ}C$ to $60^{\circ}C$, respectively. The lysozyme was resistant to pepsin and trypsin to some extent at $40^{\circ}C$. Production of the lysozyme was optimized by using various expression strategies in B. subtilis WB800. The lysozyme from B. licheniformis TIB320 will be promising as a food or feed additive.

Antimicrobial activities in the Korean Traditional Leaf Mustard, Brassica juncea Coss.

  • Kang Seong-Koo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96-102
    • /
    • 2005
  • As part of developing natural food preservatives, the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the Cruciferous vegetable was examined Korean traditional Brassica juncea Coss. was used widely as an ingredient of Kimchi, a natural flavoring and spice for a long time.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examined against 15 microorganisms which were food-born pathogens and/or food poisioning microorganisms and food-related bacteria and yeasts. Ethanol extract from leaf mustard showed an antimicrobial effect in most of the strains used in the present study. The lowest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were seen in Bacillus subtilis and Bacillus natto at 10 mg/ml. MIC of water extract was 40-60 mg/ml for bacteria and yeast.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was not disappeared by the heating at $121^{\circ}C$ for 15 min and not affected by pH.

  • PDF

Natural Extracts as Inhibitors of Microorganisms and Lipid Oxidation in Emulsion Sausage during Storage

  • Lee, Jeeyeon;Sung, Jung-Min;Cho, Hyun Jin;Woo, Seung-Hye;Kang, Min-Cheol;Yong, Hae In;Kim, Tae-Kyung;Lee, Heeyoung;Choi, Yun-Sa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060-1077
    • /
    • 2021
  • Food additives are required to maintain the freshness and quality of foods, particularly meats. However, chemical additives may not be preferred by consumers, and natural materials with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ects may be used as replacements for common chemical additive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natural compounds extracted with ethanol and hot water, and emulsion sausage prepared with natural ethanol extracts was analyzed for pH, color,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growth during storage.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49 natural extract candidates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 perfringens, Salmonella spp., and Escherichia coli were analyzed, and six natural material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ies, i.e., Elaeagnus umbellata Thunb. f. nakaiana (Araki) H. Ohba, Punica granatum L., Ecklonia cava, Nelumbo nucifera Gaertner, and Schisandra chinensis (Turcz.)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were evaluated to determine their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ethanol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hot water extracts, wherea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hot water extracts.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s storage time increased, and the TBARS values of emulsion sausages prepared with natural extracts were lower than those of control sausages. Natural extract-treated emulsion sausages showed a 99% reduction in bacterial contents compared with untreated sausages on day 2, with greater than 99.9% reduction after day 3. Thus,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natural extracts could have applications as natural preservatives in meat products.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extract mixtures on microbial growth and lipid oxidation of sausages during storage

  • Seung-Hye Woo;Jung-Min Sung;Heejin Park;Jake Kim;Yea-Ji Kim;Tae-Kyung Kim;Heeyoung Lee;Yun-Sang Choi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5권1호
    • /
    • pp.225-243
    • /
    • 2023
  • Large amounts of additives are used during meat product processing to maintain product quality and shelf life.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healthy foods, natural plant-based additives are being used as alternatives to synthetic additives. In this study, six types of natural extracts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were selected, and their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four types of pathogens were evaluated in various combinations. In addition, the pH, color, amount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growth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were analyzed during the storage of sausages treated with various combinations of these extracts. The natural extract mixtures exhibited different antibacterial activities, depending on the combination. Compared to grapefruit seed extract, a mixture of natural extracts extracted with ethanol (M4) reduced the Escherichia coli content by more than 99.9% after 8 days of storage and slowed the growth of Listeria monocytogenes and Salmonella spp. by more than 80% after 14 days. Compared to untreated (NC) and grapefruit extract (PC)-treated sausages, sausages treated with the natural extract mixture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CIE L* and an increase in CIE a* and CIE b* (p < 0.05). The pH value was significantly lower in sausages containing natural extract mixtures than in the NC and PC sausages (p < 0.05). The natural plant extract mixtures significantly prevented lipid oxidation (p < 0.05). In summary, different types of natural extract mixtures have a synergistic effect when used together, suggesting that natural preservatives can generally inhibi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oxidation of processed meat.

비수분산 특수 제형 화장품에 대한 방부력 시험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reservative Efficacy Tests for Water Non-dispersible Cosmetic Formulations)

  • 김용현;박성하;박병준;신계호;강학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9-2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수분산 제형에 사용되는 방부력 시험법과 PCPC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가이드라인 대체시험법, direct contact membrane method 및 surface mold test 사이의 차이점을 연구하여 비수분산 특수 제형 방부력 시험 진행 시 고려되어야 하는 사항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는 스틱 및 프레스트 파우더에에 대한 시험법 비교 시 대체 시험법을 사용했을 때 개선된 수준으로 방부력 시험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W/S 에멀젼과 루즈 파우더의 경우, 기존 시험법이나 대체 시험법간 결과 개선 차이가 크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각각의 제품에 대해 방부시스템 존재 시와 부재 시 결과들을 확인했을 때, 시험법별로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비수분산 특수 제형에 대한 방부력을 측정할 때 기존 및 대체 시험법을 병행 사용하여 개선된 수준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스틱 및 프레스 파우더의 경우, 소비자 사용방식을 적용하는 방식의 방부력 시험법을 적용하였을 때, 보다 더 유효성 있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인간 항균펩타이드인 LL-37 유래의 FK-13의 화장품보존제로 활용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Human Antibacterial Peptide LL-37-derived FK-13 as a Cosmetic Preservative)

  • 윤효숙;최용준;양재찬;민혜정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568-157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인체에 보다 안전한 천연 화장품보존제 발굴을 목표로 하여 인간유래 항균펩타이드 LL-37의 짧은 유사체인 FK-13을 화장품보존제로 사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1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FK-13 펩타이드를 고상 펩타이드 합성법로 합성하였고 reversed phase-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RP-HPLC)로 정제 후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를 이용하여 순도와 분자량을 확인하였다. 합성된 FK-13을 이용하여 미생물에 대한 방부력을 검정하였고 화장품에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FK-13은 3개의 그람-양성균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epidermidis)과 3개의 그람-음성균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aeruginosa), 그리고 진균인 Candida glabrata 에서도 높은 항균 활성을 보였으며 넓은 항균활성 스펙트럼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화장품보존제로서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FK-13은 고온에서 분자의 열안정성을 보였으며 기존의 천연 한방화장품 방부제 및 화학보존제들과의 항균활성 비교 실험에서도 보다 월등한 항균활성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FK-13 펩타이드는 인체 친화적이고 효과적인 항균활성을 나타내므로, 기존 화학보존제를 대체할 새로운 천연 화장품보존제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