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Omija extract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초

A Stud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strumental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 Sung, Ki-Chun;Kim, Ki-Jun;Kim, Yong-Ryul;Nam, Sang-Sung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5-232
    • /
    • 2013
  • Omija component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red-purple color of some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natural Omija extract were obtained as follow.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the number of microbial population showed negative reaction from 3 days after it cultivated.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antimicrobial effect. The result of dyeing experiment to add Omija extract, fiber dyeing effect showed with some ivory color after dyed to cotton and silk. Also, this phenomenon could confirm that Omija component affected to natural dyeing effect from observated dye state with biological microscope(BM). The result of instrumental analysis, inorganic components of K(109.60ppm), Na(3.500ppm), Ca(1.205ppm), Mg(0.900ppm), Li(0.350ppm), Si(0.380ppm), Cu(0.250ppm), Fe(0.125ppm), Zn(0.090ppm),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ICP/OES, and organic components of benzene(10.808), borny lacetate(11.289), phenol(14.183), ${\beta}$-terpinene(15.840), ${\alpha}$-terpinolene(17.616) etcs from Omija were ascertained with GC/MSD.

천연 오미자 추출물의 약리, 화학적 특성 및 분석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Natural Omija Extract)

  • 성기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90-298
    • /
    • 2011
  • Natural Omija belongs to magnoliaceae was known to possess natural odor, taste, color, and various pharmaceutical & chemical characteristics. Omija extraction was extracted using ethanol as a solvent. Omija extract showed a light red-violet color of viscous liquid state. Some conclusions from the result of characteristic experiment were obtained as follows. From the result of antimicrobial experiment, occurrence of staphylococuss aureus and aspergillus niger as microbes was decreased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Omija component is affected to antimicrobial effect. From the result of dye experiment, fiber dyeing showed with some ivory color after dyed to cotton and silk. This phenomenon could know that Omija component is affected to dyeing effect from observation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From the result of instrument analysis, inorganic components of K(107.30ppm), Na(2.110ppm), Ca(0.935ppm), Mg(0.891ppm), Li(0.270ppm) etcs from Omija were detected with ICP/OES, and aromatic components of benzene(10.808), a-pinene(13.996), phenol(14.183), ${\beta}$-terpene(15.840), a-terpinolene(17.616) etcs from Omija were also detected with GC/MSD.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항균활성 분석 (Analysis of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s)

  • 김정효;강근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09-11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Omija. Total phenol contents of Omija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ter were $53.4{\pm}2.2tannic\;acid\;equivalent/mg$, and $47.9{\pm}2.1tannic\;acid\; equivalent/mg$, respectively. Total flavonoid contents of Omija extracted with ethanol and water were $16.3{\pm}1.1naringin\;equivalent/mg$, and $13.1{\pm}1.4naringin\;equivalent/mg$, respectively.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ethanol extract ($1,000{\mu}g/mL$) of Omija was $5.1{\pm}0.4%$. This result was lower than the antioxidant vitamin (ascorbic acid: $96.4{\pm}0.6%$) and artificial antioxidant BHT ($70.0{\pm}0.5%$). Nitrite-scavenging abilities of Omija were lower than ascorbic acid and BHT. SOD-like activities of Omija extracts, natural antioxidant, and artificial antioxidant at 5 mg/mL were in the other of ascorbic acid ($99.0{\pm}0.5%$) > BHT ($72.6{\pm}0.5%$) > ethanol extract ($16.3{\pm}0.4%$) > water extract ($14.4{\pm}0.3%$). The order of O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mija extracts and natural antioxidant at 5 mg/mL was ascorbic acid ($98.9{\pm}0.6%$) > tocopherol ($85.4{\pm}0.6%$) > water extract ($59.1{\pm}0.5%$) > ethanol extract ($33.1{\pm}0.3%$). The results show that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Omija could not be detected at both concentrations and extraction methods.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With Omija Extract)

  • 김좌숙;최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43-50
    • /
    • 2008
  • This study used Omija extract as a natural congelation to compare and analyze soybean curd'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functional benefits and taste of soybean curd. When Omija extract concentration increased, protein content went up considerably while crude fat and yield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H change, the group with Omija extract were lower than control and the change was not much noticeable but slightly checked as the storage period was extended. The turbidity tended to increase as the storage period was longer. In the acidity change, the group with 0.5% Omija extract showed rapid increase on the 4th day after starting storage, and it can be interpreted that decomposition started at the moment. As the storage period was extended, brightness and yellowness remarkably decreased and redness considerably enhanced: higher concentration Omija extract worked to decreased brightness and to increase yellowness and redness. In accordance with the storage period, hardness, brittleness and gumminess increased and springness decreased, but there was no considerable change in cohesivenes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ntration, hardness, brittleness and gummines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here was no considerable change in cohesiveness. In terms of sensory quality, the group with 1% of Omija extract showed the best appearance, flavor, taste and after swallowing results. The group with 1% Omija extract was the most preferred, $4.89{\pm}0.32$ in the overall preference. In conclusion, adding Omija extract can improve soybean curd's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extracts can be expec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encouraging Omija's value and widening its appliances to various food.

오미자 물추출물이 나박김치의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Nabak Kimchi Preservation)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14-821
    • /
    • 2000
  • 나박김치의 저장성 향상을 위한 천연보존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오미자 물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시료의 농도를 0.5, 1.0, 1.5, 2.0%로 사용하여 항산화력 및 전자공여능을 측정하고 나박김치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산호력은 TBA값을 측정하였는데, 오미자 물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뚜렷이 나타났고, 시간이 경과할수록 그 효과는 현저하였다. 전자공여능 또한 오미자 물추출물의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냈고, 1.0% 이상이 높은 전자공여능을 보였다. 나박김치에서 잦산균을 분리한 결과 117균주를 1차 분리하였고, 이 가운데 성장이 우수하고 산 생성력이 강한 4균주를 2차 선별하여 Lactobacillus brevis, Lactococcus faecalis,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을 확인하였다. 이들의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Lactobacillus brevis를 제외한 세 균주 모두 오미자 물추출물 첨가에 의한 뚜렷한 성장 억제현상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나막김치 담금시에 항산화성과 항균활성이 있는 오미자 물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오미자 추출액을 응고제로 이용한 백태 및 서리태 두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aktae) and black (Seoritae) soybean curds coagulated by Omija extract)

  • 최찬익;문혜경;이수원;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2-48
    • /
    • 2016
  •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액을 천연응고제로 이용한 백태 및 서리태 두부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고 오미자를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두부의 개발 및 기존의 화학응고제에 대한 오미자 추출액의 대체가능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오미자 추출액 첨가 백태 및 서리태 두부의 수분 및 회분 함량은 $MgCl_2$ 첨가구보다 낮았으나,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은 오미자 추출액 첨가구에서 높게 관찰되었으며, 색도는 전반적으로 두부 제조에 사용된 콩의 색깔에 따라 영향을 받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pH는 오미자 추출액 첨가구에서 $MgCl_2$ 첨가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당도 및 염도는 오미자 추출액 첨가구가 대조군보다 낮은 값을 보였다. 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백태 및 서리태 시료에서 arginine이 가장 높게 관찰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오미자 추출액 첨가구(3.74 및 3.71 mg/100 g)보다 $MgCl_2$ 첨가구(9.01 및 7.99 mg/100 g)에서 더 높은 값을 보였다. 무기질 함량은 백태 및 서리태 두부 모두 Ca, K, Mg, Na의 함량이 두 첨가구 모두에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대체적으로 $MgCl_2$ 첨가구가 오미자 추출액 첨가구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들 두부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 모든 시료에서 오미자 추출액 첨가구가 색, 두부 고유의 향기, 두부 고유의 맛, 조직감에서 모두 $MgCl_2$ 첨가구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전체적인 기호도 역시 $MgCl_2$ 첨가구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액만을 첨가하여 두부를 응고시키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을 갖는 화학응고제의 대체재로써 오미자 추출액 천연응고제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오미자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 권후자;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87-592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천연 보존료나 기능성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오미자를 물과 70%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 생리활성(항균활성, 항산화능, 혈전용해능)을 측정하였다. 오미자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511.5, 696.6 mg/100 g이었다. 오미자의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은 식중독세균인 L. monocytogenes와 S. aureu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과 에탄올추출물 1,000 ppm 농도에서, 전자공여능은 각각 88.6%, 94.5%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51.2, 53.6%, 아질산염 소거능은 pH 1.2에서 70.2%, 76.2%였다. 폴리페놀함량이 높은 에탄올추출물이 물추출물에 비하여 항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였다. 반면에 오미자 추출물 $1.25{\sim}5.0%$의 혈전용해능은 물추출물이 에탄올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실험결과로 볼 때, 오미자 추출물은 건강식품 개발 소재 혹은 가공식품에서 천연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 조건에 따른 오미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혈당 강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under Variable Extract Conditions)

  • 김순임;심기현;주신윤;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1-47
    • /
    • 2009
  • 오미자의 전통식품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물과 에탄올, 그리고 추출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부터 항산화능과 혈당 강하능을 살펴보았다. 총 페놀함량은 추출온도에 따른 차이를 크게 나타내었다. 60$^{\circ}C$에서 추출하였을 때 실온에서 추출한 것보다 51${\sim}$68%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또한 물 추출보다는 6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더 높은 페놀을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을 비롯한 $ABTS^+$ 라디칼, Nitrite 소거능 또한 60$^{\circ}C$에서 60% 에탄올로 추출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환원력도 60%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오미자 추출물의 인슐린 비의존형인 제2형 당뇨환자들의 식후 혈당을 저하시키는 효능을 검토하기 위해 ${\alpha}$-glucosidase 의 활성 저해력을 살펴본 결과, 5가지 추출 조건중 60$^{\circ}C$에서 60%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물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저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오미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 60$^{\circ}C$에서 6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다양한 용매에 의해 추출된 오미자의 항산화능과 항유전독성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genotoxic Effect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 김민정;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87-493
    • /
    • 2010
  • 오미자 5 g에 100 mL의 세 가지 용매(아세톤, 에탄올, 메탄올)를 각각 가하여 추출하여 농축한 다음, DMSO 용매에 녹여 항산화활성과 항유전독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총페놀 함량에서 메탄올 추출물이 1183.3 mg/100 g으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활성을 50, 100, 250, 500, $10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을 때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은 각각 농도에 의존하여 결과 값이 향상되었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에서 높은 $IC_{50}$값을 나타낸 것은 에탄올 추출물로 $1411.1\;{\mu}g/mL$을 나타내었고, SOD 유사활성에서 $IC_{50}$값은 오미자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905.7\;{\mu}g/mL$, $970.3\;{\mu}g/mL$ 순으로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comet assay에서는 오미자 추출물을 1, 5,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H_2O_2\;200\;{\mu}M$의 농도로 처리하여 DNA 손상을 유도한 결과 손상된 $50\;{\mu}g/mL$ 농도에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tail DNA inhibition이 각각 AE(73.1%), ME(63.7%), EE(62.8%)로 $H_2O_2$ 처리 양성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오미자에 함유되어 있는 페놀 화합물 외에 lignan 화합물을 포함한 여러 가지 다른 생리활성 물질들의 항산화력으로 인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유사활성, 항유전독성 활성이 상호 의존적이 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오미자의 항산화 활성과 항유전독성의 메카니즘적 상호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향후 수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에서 오미자의 용매에 따른 추출물들은 각각 항산화 활성과 항 유전독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미자의 천연 생리활성 물질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Antimicrobial Effect of Phytochemicals to Listeria monocytogenes Isolated from Slaughterhouses

  • Kim, Hyeji;Oh, Hyemin;Lee, Heeyoung;Kim, Sejeong;Ha, Jimyeong;Lee, Jeeyeon;Choi, Yukyung;Lee, Yewon;Kim, Yujin;Yoon, Yohan;Lee, Soomi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55-25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도축장에서 분리된 Listeria monocytogenes를 저해할 수 있는 식물성 항균 물질을 탐색하고, 각 항균 물질의 최소살균농도(MBC)를 확인하였다. 잠재적인 항균 물질로 자몽종자 추출물, 감귤류 추출물, 생강 추출물, 배 추출물, 매실 농축액, 도라지 추출물, 대추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을 선정하였고, 대상 균주로는 국내 도축장에서 분리한 15 개의 L. monocytogenes 균주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MBC 확인 결과, 최대 $4.0{\mu}g/mL$ 농도의 생강 추출물, 배 추출물, 매실 농축액, 도라지 추출물, 대추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은 고농도의 L. monocytogenes (7 Log CFU/mL)에 대해 균 저해 효과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7 Log CFU/mL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의 MBC는 $0.002{\mu}g/mL$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3 Log CFU/mL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MBC를 시험해 본 결과,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의 MBC는 $0.001{\mu}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자몽종자 추출물과 감귤류 추출물은 L. monocytogenes를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