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Disaster

검색결과 975건 처리시간 0.024초

뉴스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복합재난 발생 동향분석 (Trend Analysis of Complex Disasters in South Korea Using News Data)

  • 신은혜;김도우;장성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50-59
    • /
    • 2023
  • As the diversity of disasters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cept of "complex disasters" has gained prominence in various policies and studies related to disaster management. However, there has been a certain limitation in the availability of the systematic statistics or data in advancing policies and research initiatives related to complex disaste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cro-level characteristics of the complex disasters that have occurred domestically utilizing a 30-year span of a news data. Initially, we categorize the complex disasters into the three types: "Natural disaster-Natural disaster", "Natural disaster-Social disaster", and "Social disaster-Social disaster". As a result, the "natural diaster-social disaster" type is the most prevalent. It is noted that "natual disaster-natural disaster" typ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cent 10 years (2011-2020). In terms of specific disaster types, "Storm and Flood", "Collapse", "Traffic Accident", "National Infrastructure Paralysis", and "Fire⋅Explosion" occur the most in conjunction with other disasters in a complex manner. It has been observed that the types of disasters co-ocuuring with others have become more diverse over time. Parcicularly, in recent 10 years (2011-2020),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five types, "Heat Wave", "Heavy Snowfall⋅Cold Wave", "Earthquake", "Chemical Accident", "Infectious Disease", "Forest Fire", "Air Pollution", "Drought", and "Landslide" have been notable for their frequent co-occurrence with other disasters. These findings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mplex disasters using long-term news data are expected to serve as crucial data for future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on complex disaster management.

Monitoring of The Impacts of the Natural Disaster Based on The Use of Space Technology

  • Kurnaz, Sefer;Rustamov, Rustam B.;Zeynalova, Maral;Salahova, Saida E.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0권1호
    • /
    • pp.98-103
    • /
    • 2009
  • The forecasting, mitigation and preparedness of the natural disaster impacts require relevant information regarding the disaster desirable in real time. In the meantime it is requiring the rapid and continuous data and information generation or gathering for possible prediction and monitoring of the natural disaster. Since disasters that cause huge social and economic disruptions normally affect large areas or territories and are linked to global change. The use of traditional and conventional methods for management of the natural disaster impact can 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for intial data col1ection with the further processing. The space technology or remote sensing tools offer excellent possibilities of collecting vital data. The main reason is capability of this technology of collecting data at global and regional scales rapidly and repetitively. This is unchallenged advantage of the space methods and technology. The satellite or remote sensing techniques can be used to monitor the current situation, the situation before based on the data in sight. as well as after disaster occurred. They can be used to provide baseline data against which future changes can be compared while the GIS techniques provide a suitable framework for integrating and analyzing the many types of data sources required for disaster monitoring. Developed GIS is an excellent instrument for definition of the social impact status of the natural disaster which can be undertaken in the future database developments. This methodology is a good source for analysis and dynamic change studies of the natural disaster impacts.

공공자연재해보험의 도입방안 - Microinsurance와 Index Insurance를 중심으로 (A Plan for a New Public Natural Disaster Insurance -With priority given to Microinsurance and Index Insurance)

  • 김정인;오경희
    • 환경정책연구
    • /
    • 제10권1호
    • /
    • pp.151-173
    • /
    • 2011
  • 기상재해는 해가 갈수록 증가하고, 엄청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반복적으로 매년 정부는 엄청난 액수를 들여 재난 피해를 복구하고 있다. 이제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재난에 대해서 정부가 모든 것을 다 부담할 수 없음으로 인해 민간 또한 재난을 준비하는 장기적이고 예방적인 자연재해보험정책을 논의할 때이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단순한 재해보험도입이 아니라 재해 발생 시 가장 큰 피해를 입는 저소득층의 미래에 대한 불안 감소와 빠른 복구를 가능케 하는 사회보장적 성격을 지닌 재해보험을 도입한다는 것이고,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방안으로 현재 시행중인 microinsurance(소액서민보험) 방식과 index insurance(지수보험) 방식을 혼용하여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폭염으로 인한 한반도 자연재해 현황 (The present state of natural disaster caused by extreme heat in the Korea Peninsula)

  • 김은별;박종길;김백조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23-326
    • /
    • 2007
  • Recently, occurrence frequency of natural disasters decrease but scale of damage increase remarkably by the Climate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Especially, extreme heat become more critical weather problem in the Korean Peninsula. But, we don't have exact threshold about extreme heat. Extreme heat does not classify into natural disaster. Therefore, we have compared death count of the natural disaster with the one of extreme heat at Seoul, Korea. As a result, the number of death by extreme heat don't smaller than one by the natural disasters and we knew extreme heat have also to consider as natural disaster.

  • PDF

지역방재성능평가를 위한 수리모형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Model for Regional Disaster Capability Assessment)

  • 기재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9
    • /
    • 2011
  • It is a significant issue for several country including Korea, where the natural and the weather conditions are severe, to keep the safety against disasters which occur frequently every year, especially in urban region crowded with population. In order to implement suitable and effective measures against various disasters in such area, development of method for evaluation of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based on various disaster risks and effective disaster damage mitigation technologies is independable. In this paper, methods for hazard evaluation, vulnerability evaluation and loss evaluation, and damage technologies are proposed targetting man-made disaster and natural one like flood, earthquake and tsunami and so on.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based on the research of USA and Japan for man-made disaster and natural disaster. The proposed method will be developed in detail in four years during research period funded by government.

A Study on the Inter-Korean Cooperation for Natural Disaster Damage Reduction Using Spatial Information

  • Lee, Sunmin;Song, Taejung;Lee, Moung-Ji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3-177
    • /
    • 2019
  • As inter-Korean relations progress, the issue of natural disasters which could directly affect the lives of the people in both Koreas, has not yet been discussed. Considering the current status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ongoing disaster-related damage in North Korea, it is imperative to establish a technical plan at the pan-governmental level to reduce the damage from natural disas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cure the Korea Peninsula against natural disasters by organizing South Korea's science and technologie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in order to reduce the damage, an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said technologies. The situation of natural disasters in North Korea for 17 years has been summarized and reclassified based on eight types of natural disasters. Technologies related to natural disasters in South Korea were also investigated and reclassified. Based on the data, a priority evaluation was performed and the prioritization of technology application for each natural disaster type in North Korea was calculated through a quadrant analysis. As a result, the three major categories of high-priority technologies were classified as natural disaster monitoring with remote sensing and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construction of research basis and database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and integrated management of complex natural disasters.

복합재난 예측 모형 설계를 위한 공통 입출력 파라미터 도출 연구 (A study of extract common I/O parameter for design of complex disaster prediction model)

  • 이병훈;이병진;오승희;이용태;김경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4-41
    • /
    • 2017
  • 본 논문은 기존에 개발된 자연재난 예측 모형과 사회재난 예측 모형을 통합한 복합재난 예측 모형을 구성하기 위하여 기존 예측 모형들의 입출력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복합 재난 예측 모형은 단일 재난이 아닌 다수의 재난이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을 나타낸다. 이러한 복합재난은 주로 자연재난으로 인해 발생한 사회재난으로 연계되는 경우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예측 모형의 연결방안에 대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에 개발된 예측 모형 중 재난 유형별로 몇 가지 예측 모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재난 유형별로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입출력 파라미터가 도출되었다. 본 논문은 향 후 진행되어질 복합재난 예측 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자연재해 증가 지역의 국제협력 지원 방안을 위한 방글라데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Bangladesh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n the Vulnerable Region of Natural Hazard)

  • 이자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40-351
    • /
    • 2013
  •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증가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를 중심으로 국제적인 기후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및 자연재해 저감에 관한 논의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의해 자연재해가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재해에 취약하게 노출되어 있는 방글라데시를 사례지역으로 재해의 유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재해저감 기술과 방재관련 기법 등을 응용하여 국제원조의 지원 방안을 모색하였다. 방글라데시는 국토의 1/3이 해수면보다 낮기 때문에 배수가 어려우며, 조수 파동과 해수 침투, 사이클론의 위험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지리적인 특성을 지니고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피해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피해가 집중되는 해안지역은 해수면상승의 위협과 3년 주기로 심각한 사이클론의 피해가 일어나며, 상대적으로 빈곤한 사람들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인명피해가 크게 일어나는 지역으로써, 재난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 국제적 원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선진화된 기술과 자연재해저감 기법을 지원함으로써 개도국의 자연재난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키는 데 일조를 하는 것은 국제사회에서 협력 구도를 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자연재해와 산지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의 변화경향 (Trends of Deaths and Missings Caused by Natural and Sediment Disasters in Korea)

  • 이창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4호통권161호
    • /
    • pp.252-257
    • /
    • 2005
  • 최근 재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재해에 대한 장기적인 변화분석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재해의 주범인 기상재해 및 산지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의 장기적인 변화를 분석하였고, 자연재해에 대한 산지토사재해의 비율 및 산지토사재해 발생면적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최근 강우강도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연재해 및 토사재해에 의한 희생자 수는 점차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재해는 1970년대 연간 250명에서 1990년대 연간 140명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토사재해는 1970년대 60명/년에서 1990년대 20명/년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토사재해의 경우 자연재해에 대한 감소비율이 1970년대 2/7에서 1980년대 이후 2/15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산사태 발생면적(1981년: 206ha $\rightarrow$ 1999년: 688ha)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므로 유역관리개념을 도입한 새로운 사방사업의 추진과 종합적인 산지토사재해 관리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Potential Disaster Damage and Perceptible Stress Influencing Evacuation Behavior)

  • 지영일;문유미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94-601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기도 지역의 재난피해가능성불안 및 지각된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연구방법:가설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연령, 지역별 재난피해가능성불안 간의 대응일치 유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안전취약계층피해 가능성불안과 재난시스템 붕괴피해가능성불안이 밀접한 위치에서 지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지각된 스트레스에 재난시스템붕괴, 피난생활, 자연재해 등이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대피행동에 스트레스와 자연재해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자연재해피해가능성불안과 스트레스가 대피행동에 영향을 미치므로 스트레스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최근 들어 강우량을 통한 재해에서 경험하였듯이 재해의 피해가능성불안은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예방차원의 계획과 심리적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