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9초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확대발전방안 수립 (The Establishment of Service Cloud Based Expansion and Developing Plan for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윤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67-373
    • /
    • 2016
  • 국가공간정보체계(NSDI)는 국가 공공기관의 공간정보를 통합 연계하여 공동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8년부터 추진되어 2012년 그 사업을 완료하였다. NSDI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각 기관의 공간정보와 NSDI의 공간정보가 동시에 갱신되지 않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최신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다. 공공기관의 공간정보를 활용한 서비스 사용현황을 살펴보면, 재활용이 가능한 비슷한 서비스가 중복 구축 및 운영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가 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이러한 이슈들은 전산자원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의 클라우드 시스템을 NSDI에 적용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확대발전 방안을 다룬다. 제안되는 NSDI의 확대 발전 방안은 공간정보 서비스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방안과 거버넌스 체계 수립방안을 포함한다. 시스템 구축방안에서는 서비스 시나리오, 목표 시스템의 개념도, 그리고 서비스 기능이 도출된다. 서비스 기능에서는 제안된 두 가지 모듈에 대한 단위 기능과 세부 기능을 도출한다. 거버넌스 체계 수립방안에서는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운영을 위한 서비스 라이프사이클 단계별 조직의 필요역할을 정의하고 업무 프로세스를 도출한다. 제안된 시스템 구축방안을 기반으로 상세 시스템을 설계하고 조직을 구성함으로써 서비스 클라우드 기반의 NSDI 체계가 구축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DB의 활용방안 및 품질 점검 기준 제안 (Proposal for application of spatial data and quality check criteria for estimating damage from storm and flood)

  • 원석환;김현덕;김상민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81-100
    • /
    • 2020
  • 본 연구는 풍수해로부터 발생 가능한 피해를 추정하기 위한 공간정보 DB 활용 방안과 공간정보의 품질 점검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 공개자료 목록을 대상으로 공간정보 DB 중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해 활용될 수 있는 데이터를 피해유형별로 매핑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활용하여 피해 분석을 위한 품질 점검 기준 항목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풍수해 피해 추정을 위한 공간정보 DB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품질 점검 기준을 통해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을 것이다.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 Hong, Sang-Ki;Shin, Dong-Bin
    • 동굴
    • /
    • 제82호
    • /
    • pp.13-16
    • /
    • 2007
  • Several research projects funded by National GIS Master Plan have started to produce several outcomes that need to be applied in the real world situation. To make the project results more useful and to improve upon the current results,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project outcomes produced under various circumstances into a consistent and coherent structure.

농촌 생활서비스 시설 분포와 인구감소지역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of Rural Living Service Facilities and Depopulation Areas)

  • 최진아;김상범;김수연;조한솔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77-84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each service facility per unit population(1,000 people) with population decline areas. For this purpose, major concepts such as living infrastructure services, Spatial Distribution of Rural Living Service Facilities, areas of declining population, and regional extinction were reviewed and trends in prior research.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Spatial Distribution of Rural Living Service Facilities' analysis criteria were set, and it was derived by 'the number of facilities per 1,000 population by township' using population data and rural space data. And the trend of each service sector was identifi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with 89 cities and counties in 'depopulation area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The derive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In the medical, leisure, and sports infrastructure sectors, 'rural areas with few service facilities per unit population' and 'depopulated areas' tended to coincide. In additi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rural and urban areas differed by sector, which is judged to depend on the inclusion of rural facilities and population density.

국가공간정보시스템 개편 추진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Reorganization of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 김정현;김순한;김선규;김상민;정재훈;허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73-383
    • /
    • 2015
  • 공간정보는 국토의 효율적 관리와 재해·재난·환경·시설물·기업마케팅·문화재 관리 등 사회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되고 있다. 이에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는 데이터 품질이 확보된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국가공간정보시스템(국토교통부 국토정보정책관실에서 관리하는 15개의 공간정보 관련 시스템) 체계를 구축해야하며, 이를 통해 정책결정이나 민원지원에서 공간정보의 활용과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국가공간정보시스템은 개별 업무처리 위주로 시스템을 구축하고, 분산된 연계 채널로 인해 데이터 중복구축과 품질 저하라는 문제가 발생하여 공간정보의 공개·개방이 소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공간정보시스템의 데이터 흐름에 가치사슬 모형을 적용하여 ‘생산·구축’, ‘통합·공유’, ‘응용·융복합’, ‘공개·개방’ 이라는 4단계의 공간정보 데이터 흐름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15개의 국가공간정보시스템에 대한 현황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국가공간정보시스템 개편 추진 방향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가공간 정보시스템의 개편 모델과 순환체계를 통해 최신성·일관성·정확성·연계성이 확보된 공간정보서비스를 제공하여 수요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공공활용 및 민간개방 활성화를 기대한다.

체계적인 공간정보표준 관리를 위한 정책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Policy Improvement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National Geospatial Standards)

  • 황병주;황정래;김병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25-237
    • /
    • 2016
  • 최근 들어 공간정보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보와 관련된 정책 동향은 개방과 공유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동향에 맞춰서 개별 시스템에서 관리하는 공간정보를 체계적으로 공유하기 위해서는 공간정보표준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공간정보표준을 준수할 경우, 정보에 대한 접근성과 가독성, 정보처리 및 시스템 간의 상호운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표준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공간정보표준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아 공간정보사업자들은 표준 적용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표준 제정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 공간정보표준이 갖는 표준의 중복성, 버전 간 불일치, 유사 표준 제정 등의 문제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가공간정보체계에서 공간정보표준의 관리 운영, 조직 구성, 법제도 개선 등을 위한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요인분석을 이용한 기본공간정보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ecting Geospatial Framework Data Using Factor Analysis)

  • 최병남;이지훈;박진식;강인구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5호
    • /
    • pp.53-64
    • /
    • 2015
  • 디지털시대에 다양한 분야에서 공간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여러 국가들은 NSDI를 구축하고 있다. NSDI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기본공간정보로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공간정보(콘텐트)를 의미한다. 여러 연구들이 공간정보 분야 전문가, 사용자 등을 대상으로 한 선호빈도 조사, 외국 사례조사 등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항목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기본공간정보 항목 선정결과에 대한 객관적인 검증이 미흡하다. 본 연구는 요인분석을 이용한 통계적 검증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공통으로 공유되는 실체로 공간정보(콘텐트)가 무엇인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국가기본도의 중분류 레이어 104개와 그 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는 지적, 영상 등을 포함해 총 109개 레이어의 활용행태를 조사한다. 조사내용은 기본공간정보 활용행태의 특성인 배경자료, 기준자료, 기초자료로서 각 레이어가 사용되는 정도이다. 그리고 이외 다른 목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기타의 경우를 조사한다. 요인분석 결과 각 활용행태에 따라 5-7개 요인집단들이 도출되었다. 각 활용행태의 요인집단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집단의 평균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활용행태에서 평균값이 높은 요인집단의 레이어 항목들은 거의 동일하다고 할 만큼 유사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통(도로, 철도), 건물, 수계, 고도, 행정구역, 영상, 측량기준, 지적 등 8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기본공간정보 구성체계를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본공간정보를 구성하는 주제정의는 공간정보 공유체계를 구축하는 시작의 단추로 의미가 있다. 제안된 기본공간정보가 다양한 분야에서 공유되기 위해서 실제 표준 형태로 구축되고 유통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세먼지 농도의 공간적 현황 및 잠재영향인자를 고려한 환경계획적 대응 방향 (Environmental Planning Contermeasures Considering Spatial Distribution and Potential Factors of Particulate Matters Concentration)

  • 성선용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9-96
    • /
    • 2020
  • Adverse impact of Particulate Matters(PM10, PM2.5; PMs) significantly affects daily lives. Major countermeasures for reducing concentration of PMs were focused on emission source without considering spatial difference of PMs concentration. Thus, this study analyzed spatial·temporal distribution of PMs with observation data as well as potential contributing factors on PMs concentration.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PMs have been decreased while the particulate matter warnings and aler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2018.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s in spring and winter was higher than the other seasons. Also, the spatial distribution of PMs were also showed seasonality while concentration of PMs were higher in Seoul-metropolitan areas in all seasons. Climate variables, emission source, spatial structure and potential PM sinks were selected major factors which could affects on ambient concentrations of PMs. This paper suggest that countermeasures for mitigating PM concentration should consider characteristics of area. Climatic variables(temperature, pressure, wind speed etc.) affects concentrations of PMs. The effects of spatial structure of cities(terrain, ventilation corridor) and biological sinks(green infrastructure, urban forests) on concentration of PMs should be analyzed in further studies. Also, seasonality of PMs concentration should be considered for establishing effective countermeasures to reduce ambient PMs concentration.

아틀라스 개념을 적용한 공간정보서비스 방안 - 토지피복지도를 사례로 - (A Study on the Strategies f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the Concept of Atlas - A Case Study of Land Cover Map -)

  • 홍상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53-159
    • /
    • 2012
  • 최근 들어 일반인의 공간정보 활용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토지피복지도를 비롯한 국가공간정보의 구축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공간정보서비스가 미비하여 일반인의 공간정보 활용 증대를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용 지리부도를 통해 우리에게 익숙한 아틀라스의 개념을 적용하여 일반인의 토지피복지도 활용을 증진할 수 있는 공간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서 국내 토지피복지도의 활용 현황 및 해외사례를 검토하여 콘텐츠, 사용자, 활용 시스템의 측면에서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한 공간정보서비스의 개선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도록 아틀라스 개념을 기반으로 하는 아틀라스정보시스템의 특성과 기능을 정의하였으며, 환경공간정보서비스 제공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토지피복지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공간정보에 적용 가능하므로 일반인의 국가공간정보 활용 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Landsat 열적외 영상자료를 활용한 대전시 열 환경 변화 모니터링 (Monitoring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Change in Daejun Using Landsat TIR Satellite Data)

  • 최진호;조현주;정환도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513-523
    • /
    • 2013
  • This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with the case of Daejeon. To do that, this work applied GIS Spatial Statistics to the LandSAT images gathered from 2000 to 2011.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at the time point of 2 showed high spatial autocorrelation. Therefore, it is judged that spatial autocorrelation is need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and explanatory power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In the case of the thermal in Daejeon, its positive clustering appeared high at the time point of 2, and its clustering in 2011 more gradually decreased than that in 2000 to 2011. In particular, given the decrease in the core H-H region, it was found that the thermal environment of Daejeon was greatly improved. However, since the rise in the region L-L means another changed like construction of a new city, it i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 proper plan. It is considered that this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in consider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L-L be useful for providing a fundamental material necessary for the policy and project of thermal environment impr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