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Museum

검색결과 1,551건 처리시간 0.027초

도면 분석을 통한 덕수궁미술관의 고전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cism in Drawings of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 김종헌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6호
    • /
    • pp.83-92
    • /
    • 2015
  •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was built in 1938 as the first professional art museum in Korea. In 2015,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ublished a book on architectural drawings of this building. This book, called Architectural Drawings of the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consists of 646 sheets, 23 types of documents, as well as other historical letters.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lassicism in Architectural Drawings. It shows that every dimensions of drawings were controled by 3 partition compos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architectural plan drawings, elevation drawings and even section drawings. Thus, Classicism for the museum is not about classical elements but the principle of composition of each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This paper further argues that Deoksugung Palace Art Museum exemplifies beautiful Classicism architecture which follows the principle of classical architectural composition.

로봇 박물관 "ROSIEUM" (A Robot Museum "ROSIEUM")

  • 윤중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36-1240
    • /
    • 2014
  • 본 새로운 개념의 박물관에 기초한 로봇 박물관 "ROSIEUM"을 제안한다. 제안된 개념에 기초한 박물관의 역할들을 조사한다. 박물관 소장물로서의 로봇 콘텐츠 분류 체계 또한 제안한다. 로봇 콘텐츠의 수집 전시를 위한 구성은 최초봇 관, 대표봇 관, 한국봇 관, 구성봇 관, 체험봇 관, 이벤트 관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로봇 콘텐츠들의 유형들이 기술되었다. 모색된 로봇 박물관 "ROSIEUM"을 위한 주요 개념들과 구성 시나리오가 제시되었다. 또한 "ROSIEUM"의 운영 방식이 설계되고 구현되었다.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포맷 연구(II) -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Metadata Formats for Integration of Cultural Contents : Focus on case to Library, Museum and Art Museum)

  • 조윤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01-219
    • /
    • 2004
  •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 문화유산기관에서 문화콘텐츠 정보의 조직에 사용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은 Dublin Core나 Object ID와 같이 단순한 포맷에서 CDWA나 MARC와 같이 복잡하고 풍부한 포맷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포맷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각 문화유산기관의 특성에 따라 요소간의 명칭, 표현, 의미가 상이하게 사용됨으로써 문화콘텐츠 정보시스템간 연동이나 협력망 구축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문화콘텐츠 통합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현재 각 문화유산기관에서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는 메타데이터 포맷에 관한 데이터 요소의 비교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문화유산기관인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박물관, 국립현대미술관의 메타데이터 사용 사례를 중심으로 각 포맷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이한 메타데이터 포맷의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하여 포맷별요소의 상호참조표를 작성하고 최소 수준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다.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소장 활옷의 조형성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Embroidery Panels of Hwarot at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 권혜진;김지연
    • 복식
    • /
    • 제63권7호
    • /
    • pp.176-188
    • /
    • 2013
  • This research examines embroidery panels of Hwarot belonging to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the V&A). There are a total of seven objects and are all disassembled into clothe pieces.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acquisition year. One group, four objects, was acquired by the Museum in 1920. Considering their materials, embroidery threads, techniques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it can be assumed that the objects formed an original dress, Hwarot. Although they look very similar to the embroidery patterns of Hwarot belonging to National Folklore Museum of Korea, they are more finely embroidered with very thin embroidery thread that uses the Jarisu technique.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used embroidery threads and embroidery skills between Hwarot artifacts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V&A. The embroidery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used thicker threads and longer (approximately 0.7cm) Jarisu stitch techniques. With these details, they would have been made in different time periods. Comparison of the V&A and Changdeok Palace' Hwarot objects show that their patterns' motifs are almost similar but the pattern units, expressions and embroidery techniques are different. Regarding the colors of their patterns, it is noticeable that the peonies are generally expressed in reddish and the lotus patterns are expressed in either bluish or purplish color. It seems that they are contrasted with red-colored flowers and show harmony between yin and yang symbolically. Three artifacts of another group were acquired in 1925. Two of them show patterns almost the same as those of the sleeves of Hwarot (no.33156, no.33158) in Chicago Field Museum collection. The pattern of the remaining object is very similar to Hansam of Hwarot (no.33158).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lay-Learning Model in Science Museum)

  • 권이영;정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1-20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학관 교육의 목적인 교육하기, 참여하기, 즐기기를 추구하고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과학관 학습 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존의 박물관 교육 모형을 '요인 중심 박물관 교육 모형'과 '과정 중심 박물관 교육 모형'으로 구분하여 고찰하고 과학관 교육의 특성화 방법을 고찰하였다.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과학관 학습 모형에서 전시물, 스캐폴딩과 소집단 내 상호작용, 놀이에 중점을 두었고, 개인적, 사회적, 물리적 요인을 포함하였으며, 각 요인들이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과학관 학습 모형은 놀이에 중점을 두고 있는 점을 반영하여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모형은 '준비', '전시물 탐색', '체험', '정리'의 교수 학습 단계를 중심축으로 양쪽에 학생과 교사의 활동이 나타난 형태이다. '준비' 단계는 개인적, 물리적 요인을 고려하고, 학생은 관련 지식을 형성하며 놀이를 준비한다. '전시물 탐색' 단계는 개인적, 사회적 요인을 고려하고, 전시물, 스캐폴딩과 소집단 내 상호작용, 놀이가 집약된 이 모형의 핵심 단계이다. 이 단계는 학생들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시물을 탐색하는 과정으로 이러한 활동을 묶는 수단이 놀이이다. 학생들은 소집단으로 활동하며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해결되지 않으면 교사의 도움을 받게 된다. '체험'과 '정리' 단계는 개인적 요인을 고려한 것인데, '체험' 단계에서는 '전시물 탐색' 단계의 활동과 연계된 조작적 활동을 하고, '정리' 단계에서는 놀이를 통해 학습 내용을 정리한다. 과학관 교육은 다양한 형태로 실행되므로 과학관 학습 모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국립중앙박물관 네비게이션시스템 이용자 만족도 연구: 플로우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in the Mobile Navigation Systems of National Museum of Korea : Focused on Flow Theory)

  • 김학희;이기동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3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flow concepts to the visitor's satisfaction in the mobile sensor-network navigation system. recently install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in Seoul. The satisfaction of visitor's on the facilities and services offered by the museum environment is crucial in that it provides a value-added learning experience for the visitor to immerse into the historical descriptions and cultural contents, often presented in digital formats. 200 subjects' data are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key results are presented. It is hoped thai our flow results show a new way of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pplied to the museum setting.

Understanding Visitor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 A Case of Dyadic Discourses

  • Lee, Sun-Kyung;Kim, Chan-Jo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4-143
    • /
    • 2007
  • This study explores visitor learning in a natural history museum from the perspectives of situate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visitors construct knowledge from museum experiences through dyadic discourses. The participants were two university students. They moved naturally through the exhibition with no predetermined path in a natural history museum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audio-recorded dyadic discourses at and between exhibits and were transcribed. The transcription was coded using the conversation coding scheme, and categorized into specific learning types. The findings included (1)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talks and (2) learning types created by dyadic discourses at and between exhibitions within learning contexts as museum learning experiences.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related to visitor learning in informal learning setting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국립과천과학관 전파망원경 성능개선 및 활용방안 (Performance Improvement and Application Plan of the Radio Telescope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 조재일;김정훈;한명희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40.1-40.1
    • /
    • 2021
  •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GNSM) has a 7.2m radio telescope, which is only one possessed by a science museum in Korea. In 2020, performance of the telescope had been improved in the way of a new antenna control system, receiver system, control and analysis software. New AC motors, limiters and encoders was installed and the new receive system can observe L-band(1.4GHz) and S-band(2.8GHz), L-band and Ka-band(33GHz) equipped previously. Using theses upgraded system we have developed educational programs, which are 'The Sun seen in radio' and 'The Universe seen in radio'. In the former, the sun is observed with several methods and show analysed data to participants. In the latter, various radio sources, the moon, supernova remnants and HI gas, and even signal from artificial satellites are observed. In addition, SETI demo data can be shown and demonstrates how to find artificial signal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could send.

  • PDF

중앙아세아벽화(中央亞細亞壁畵) 보존처리(保存處理)(II) - 壁畵(벽화)의 채색(彩色) 안료(顔料) 및 벽체(壁體) 조성(造成)에 사용(使用)된 초재류(草材類) 조사(調査) -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Central Asian Mural Painting(II) -An Investigation on the Pigments for the Mural Painting and of the Plants Used for Making the Original Wall -)

  • 이용희;유혜선;김수철;강형태;조연태;靑木繁夫;大林賢太郞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4권
    • /
    • pp.1-16
    • /
    • 2003
  • 용산 새 박물관에 전시될 중앙아시아 벽화의 보존처리를 위해 이들 벽화의 채색 안료 성분 분석과 벽체에 포함된 지푸라기의 식물종 식별을 위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1916년 우리 박물관에 반입되기 이전에 일본에서 시행된 보존처리 재료 및 방법을 검토하기 위하여 나무 보호틀의 목재수종 및 종이의 재질을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본4075, 4078의 검은색 안료는 carbon(C), 바탕의 흰색은 gypsum[Ca(SO)4(H2O)2], 적색 계통은 lead oxide(Pb3O4, PbO)와 hematite(Fe2O3), 녹색은 Cu, As, O 화합물 등을 채색 안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벽체를 조성할 때 흙벽이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섞어 넣은 지푸라기는 밀짚 또는 귀리짚 종류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현재 벽화를 둘러싸고 있는 나무 보호틀은 버드나무속, 사시나무속, 삼나무, 그리고 소나무 중 적송류로 만들어진 것으로 밝혀졌으며 벽화(본4054, 4097)의 보호틀 내부에서 발견된 종이는 뽕나무 껍질로 만든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선시대 금속제 탄환의 특징과 제작기법 검토 (An Examin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Joseon-era Metal Bullets)

  • 최보배;이혜진;김명훈;정현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8권
    • /
    • pp.65-88
    • /
    • 2022
  • 탄환의 특성과 거동은 화기 성능과 직결되므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전통 탄환과 관련된 연구 성과는 사실상 적은 편이다. 본고에서는 육군박물관 소장 조선시대 금속제 탄환의 재료와 제작 공정을 알아보기 위해 과학적 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탄환 직경에 따라 사용 가능한 조선시대 화기 종류를 분류하여 정리했다. 그 결과 탄환은 철환, 납환 및 수철연의환으로 구분되었다. 대부분의 철환과 납환은 주조로 제작되었다. 일부 철환은 단조로 제작되었다. 수철연의환은 철환을 주형에 넣은 후 용융된 납을 부어 주조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탄환은 재료에 따라 비중이 확연히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사 대상 탄환은 소형 총통, 조총, 불랑기포, 현자총통, 대위원포, 소포, 홍이포 등에 사용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