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Highway

검색결과 715건 처리시간 0.028초

기능 재분류와 지형특성을 이용한 도로 설계속도 적정화 방안 (Determination of Highway Design Speed Based on Reclassification of Highway Functions and Terrain Types)

  • 심관보;최재성;황경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8
    • /
    • 2005
  • 현재 우리나라의 설계속도는 도로의 기능, 지역특성, 지형에 의해 결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도로의 기능을 구분하는 뚜렷한 기준이 없어 적정 설계속도 결정에 설계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으며, 기능분류가 단순하여 설계에 반영되지 못하는 도로기능이 존재하고, 지역분류기준 또한 모호하여 주변지역의 토지이용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한편 도로가 통과하는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치 않고 단순히 교통소통 만을 강조하여 지나치게 높은 설계속도로 설계하여 도로의 건설비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도로 기능분류 및 설계속도 결정에 계획교통량 규모를 반영토록 하여 설계자의 주관적 판단소지를 줄이고 경제적 효율성을 기하였으며, 도시부 기능을 세분화하여 기능분류의 단순함과 설계에 반영되지 못하는 도로의 기능이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GIS의 지형고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형을 구분하는 구체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즉 기능, 지역, 지형요소를 보다 세분하여 고려하고, 보완기준으로 계획교통량을 추가한 새로운 기능분류와 설계속도 결정기준을 제시하였다.

일반국도의 교통소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raffic Noise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Highways)

  • 손현장;안덕순;백철민;권수안;이재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11-18
    • /
    • 2013
  • PURPOSES : This study presents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in the national highways with the consideration of various measuring conditions and/or methods. METHODS : The noise levels on the asphalt concrete pavement(ACP) and the jointed plain concrete pavement(JPCP) of the national highway were measured and analysed with respect to three variables, i.e., pavement type, surface condition, and measurement distance. The PASS-By method is utilized for the noise measurement and then using CPB spectrum analysis method with 1/3 octave bandwidth, the noise levels and frequency characteristics were calculated for two-second periods before and after the peak noise. RESULTS : Depending on the pavement type, the noise level was changed as the average noise levels are 73.3dB(A) and 78.3dB(A) for ACP and JPCP,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surface condition, the average noise levels for crack H(high), M(medium), and L (low) sections are 77.4dB(A), 77.4dB(A), and 78.1dB(A), respectively. Regarding the measurement distance, 1.2meter difference in measuring location reduces 1.6dB(A) of noise level; the average noise levels at 5.3m and 7.5m from the centerline of outer lane are 72.8dB(A) and 71.2dB(A), respec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the noise levels are slightly different as a function of vehicle speed and type. However, the overall trends for each case was similar. It was found that the domain frequency bands for ACP and JPCP were 400Hz~2000Hz and 500Hz~2000Hz, respectively. CONCLUSIONS : Based on the analysis with the measured noise date from national highway, it was concluded that the noise level and frequency band vary depending on the various conditions. It was also found that some variables significantly affect the noise level while others do not. With further systematic investigation, the comprehensive noise characteristics on the national highway can be achieved. Using such database,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fundamental noise reduction technology.

교통량 데이터의 실시간 보정 로직 - 국도 3호선을 중심으로 (Real-time Adjustment of Traffic Volume - Based on the National Highway Route 3)

  • 이지연;도명식;김성현;류승기
    • 응용통계연구
    • /
    • 제16권2호
    • /
    • pp.203-215
    • /
    • 2003
  • 교통량, 속도에 근거한 통행시간 추정은 국도교통관리체계(NHTMS)에서 운전자들에게 신속하고 정확한 교통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 작업이다. 이를 위해 기 구축된 교통시스템에서 수집된 교통량 데이터의 특징을 파악하고, 결측이 발생했을 때 원활한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실시간 보정 방법을 알아본다. 기존의 평균을 이용한 보정과 인근의 유사 검지기의 정상적인 데이터를 이용한 자기회귀 보정 등의 방법을 살펴보고 2000년도 국도 3호선에서 얻어진 실제 교통량 데이터에 적용하여 비교한다.

교통량이 적은 고속도로의 효율적인 건설 방안 연구 (A Study on a Plan to Efficiently Construct an Expressway with Low Traffic Volume)

  • 김진섭;홍석기;박규영;박남식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11-24
    • /
    • 2016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review a plan to reduce the shoulder width of a deformed round-trip two-lane highway with low traffic volume. METHODS : Installation of a passing lane on a round-trip two-lane (one-way one-lane) highway, and reduction of a shoulder for a round-trip four-lane highway. RESULTS :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sign criterion for various highways, because the plan to reduce the lane or shoulder width of a highway with low traffic volume was analyzed to have an economic efficiency of 6.8~7.0%.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seek for a plan to establish a national trunk net early by efficiently using the limited financial resources to cope with the traffic demand elastically.

AHP를 적용한 상시 교통량 조사 지점 선정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AHP to Select for Priority of Permanent Traffic Volume Survey Site)

  • 오주삼;임성한;조윤호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21-30
    • /
    • 2005
  • 교통량 자료는 도로의 계획, 설계 및 운영 등에 폭넓게 활용되는 자료이다.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1955년부터 전국 규모의 교통조사가 시행되고 있으며, 도로의 결절점을 기준으로 구간을 설정한 후 상시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 구간에서 상시조사를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방법론으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적용한 다기준 의사결정 기법 (MCDM :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을 적용하였다. 판단 기준변수로는 도로계획 [AADT, VKT, 첨두시간 교통량, 도시부유출입구간] 도로설계 [Volume(pcu), 방향별교통량, 중차량비], 그리고 도로운영 (속도, 밀도, V/C)으로 정의하였다. 평가자료를 정량화 및 규준화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쌍대비교 값들을 가지고 고유벡터 방법으로 계층별, 가중치를 구하였다. 교통량 조사구간에 대한 교통조사 우선순위 선정은 규준화 값과 계층별, 가중치를 곱하여 구한 대안 값의 전체 합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였다. 이를 통하여 상시 교통량 조사를 위해 다수의 구간으로 분할된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상시 교통량 조사 지점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 PDF

국내 일반국도 터널 갱구사면 특성 통계 분석 (Statistical Analysis about Characteristics of Tunnel Portal Slopes on the National Highway in Korea)

  • 권오일;백용;구호본;배규진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45-750
    • /
    • 2005
  • The demand of tunnels has been increased for the linear improvement of general national highway, and road construction and/or enlargement in Korea. Also, the collapses of tunnel portal slope have been increased in recent due to heavy rain caused by global warming. Therefore, it has been risen the requirement of system for the stability of tunnel portal slope in Korea as well as all over the world.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effective maintenance system for supervising the tunnel portal slope. This paper is a basic proposal to execute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and state of the tunnel portal slopes that were already installed along general national highways.

  • PDF

교통정보제공을 위한 노변방송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highway advisory radio system implementation for traffic information service)

  • 정성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53-164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첨단교통정보서비스(ATIS: Advanced Traffic Information Services)를 제공하는 일환으로 노변방송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노변방송은 소통 정보 제공을 통한 통행의 분산유도 뿐 만 아니라 전방의 홍수, 폭설, 낙석, 도로유실, 붕괴 등과 같은 자연재해 및 긴급상황 발생시 관련 정보를 시의 적절하게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한 도로운행을 지원하게 된다. 따라서 노변방송은 대부분의 국민들에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대국민 교통정보서비스 구축으로 안전지향형 도로관리체계에 일조할 것이다.

A Study on Innovative Design Approaches for Implementing an Intelligent ICT-Based Smart Highway

  • Bong shik Yun;Myong yun Kim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3권3호
    • /
    • pp.62-73
    • /
    • 2024
  • This research, conducted over a three-year period starting from 2020, was a collaborative project between practitioners in the field of VE design and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aimed at innovating the design VE project to construct an intelligent ICT-based smart highway and enhancing highway driving performance and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earch included R&D support for payment and management systems integrated with IOT technology,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prototype at highway sites, and analysis of user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the Innovation Work Roadmap of the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the research process involved collaboration between a public participation group and an expert group, considering the technical feasibility of data-based ICT technology through the National Idea VE Contest. The final VE design results were implemented at the Seongnam tollgate site with budget support from relevant departments, followed by a satisfaction survey. It is expected that the continuous contributions to achieving an ESG society, such a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ustomers using the tolling zone equipped with smart upgrades, along with their satisfaction rate, and the reduction in carbon emissions and total settlement time of highway users, will be sustained.

국도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공법 결정 기준 연구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Criteria of National Highway Pavement)

  • 김다혜;권수안;서영찬;임광수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7-44
    • /
    • 2009
  • 현재 국도 PMS(Favement Management System)에서 적용하고 있는 보수공법결정체계는 소성변형과 균열의 기준치값에 대한 설정 근거가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국도에서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보수 시 보수공법결정기준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일반국도 아스팔트 포장 구간을 대표할 수 있는 대표 구간을 선정하고, 포장전문가 패널(panel)을 선정하여 선정된 구간을 대상으로 패널이 대표구간을 평가하여 보수공법을 제안하였다. 포장전문가 패널이 대표구간을 평가한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이 보수공법 결정 기준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균열의 경우 절삭 덧씌우기를 요구하는 균열율은 35%, 덧씌우기 이상의 기준으로서 균열율 20%를 제안하였다. 소성변형의 경우 절삭 덧씌우기를 필요로 하는 소성변형 값은 13mm, 덧씌우기 이상을 요구하는 소성변형의 기준으로서 10mm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 PDF

일반국도의 교통수요 예측 정확도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of Traffic Demand Forecasting in National Highway)

  • 전우훈;임강원;조혜진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61-70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국도에서 계획 시에 예측한 교통량과 실제 개통 이후의 교통량을 비교하여 수요예측의 정확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계획된 총 10개 일반국도 구간을 선정하였다. 예측교통량과 실측교통량의 비교를 위해 계획 시의 보고서를 수집하였으며, 상시교통량 조사지점이 있는 구간을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비교를 위한 지표는 오차율을 이용하였으며, 고속국도 등 네트워크 연계성이 있는 구간과 사회경제지표에 의한 구간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네트워크 연계성이 있는 구간은 고속국도의 개통에 의한 영향정도에 대한 정확성이 높을수록 오차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시기에 따른 정확도는 개통 이후에 점차적으로 오차율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긍정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간별 단위길이에 따른 정확도는 단위길이가 길수록 오차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통 후 3년 시점을 기준으로 오차율을 고속국도와 비교한 결과 일반국도가 다소 안정적인 패턴을 보이고 있으나 개통연도에 따른 오차율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