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ing ability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지역사회 노인의 연령에 따른 이름대기 능력, 청력장애, 우울 수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Naming Abilities, Hearing Handicap, and Depression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 이현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97-10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연령집단별로 지역사회 노인의 대면이름대기 능력, 생성이름대기 능력, 청력장애 수준, 우울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들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마지막으로 지역사회 노인의 두 가지 이름대기 능력(대면이름대기와 생성이름대기)을 설명하는 요인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 65명을 65~74세 연소 노인, 75~84세 고령 노인,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대면이름대기 검사로는 K-BNT-15를, 생성이름대기 검사로는 동물 이름대기 검사를, 주관적 청력장애의 측정은 K-HHIE를, 주관적 우울 정도 측정은 GDS를 사용하였다. 첫째, 연령 집단에 따라 대면이름대기 능력과 우울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연령과 우울 수준, 청력장애 수준과 우울 수준 간에 정적 상관을, 교육 수준과 우울 수준 간에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대면이름대기 점수는 연령이, 생성이름대기 점수는 우울 수준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노년층의 이름대기 능력, 청력장애 정도, 우울 수준을 연령대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고, 이들이 단순히 노화의 결과가 아니라는 것과,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보다 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Word Recogniti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N Ability of the Korean Second-graders

  • Yoon, Hyo-Jin;Pae, So-Yeong;Ko, Do-Heung
    • 음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7-14
    • /
    • 200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ding ability of Korean second-grad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N (Rapid Automatized Naming) ability. A language-based reading assessment battery was used. Children at the end of the Korean second-grade were still at the developmental stage of decoding skill and seemed to be at Chall's stage 1. Finding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ability and phonological awareness and between reading ability and RAN abilit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phonological processing could be extended to syllable-based alphabetic languages.

  • PDF

노인의 대화기능과 작업기억력 및 이름대기 능력 간의 관련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Conversation Skills, Working Memory and Naming Ability in Aging Adults)

  • 문지윤;손은남;이옥분
    • 재활복지
    • /
    • 제22권4호
    • /
    • pp.103-121
    • /
    • 2018
  • 정상적인 노화과정에서 기억력의 감퇴, 단어인출력 저하에 따른 건망증, 청력 저하 등의 보편적인 이유들로 기능적인 의사소통능력에 제한을 겪게 된다. 이 연구는 언어장애가 없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대화기능을 알아보고, 연령증가에 따른 대화기능과 작업기억력 및 이름대기 능력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만 65세 이상의 건강한 노인 8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대화 샘플링은 대상자들과 친숙한 주제의 일상적인 대화 상황에서 수집되었다. 대화차례 주고받기의 분석요소로써 대화차례 총 빈도, 개시율, 유지율, 중첩율, 중단율이 포함된다. 작업기억력 평가를 위해 숫자외우기, 암산, 단어 따라말하기 과제를 실시하였고, 이름대기 능력 평가를 위해 한국판 보스턴이름대기 검사(K-BN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에 따른 대화기능에서 유의한 차가 없었다. 남성 집단에서 연령별 대화차례 주고받기를 비교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여성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대화기능 중 대화차례 주고받기와 총 발화빈도가 세 개의 연령대별 집단 간 유의한 차이(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80세 이상 집단 제외). 둘째, 대화기능 중에서 대화차례 유지비율을 이름대기 검사가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정상노인의 대화차례 주고받기 기술이 노화가 진행되더라도 비교적 손상을 적게 보인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유창성 실어증과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생성 이름대기 특성 연구 (A Comparison of Generative Naming Characteristics in Fluent and Non-fluent Aphasics)

  • 김애리;심현섭;김영태
    • 음성과학
    • /
    • 제11권4호
    • /
    • pp.151-161
    • /
    • 2004
  •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ve naming ability between fluent aphasiacs and non-fluent aphasics were investigated for 10 fluent aphasics (6 Wernicke's and 4 conduction type) and 10 non-fluent aphasics (6 Broca's and 4 transcortical motor type). Subjects were given 2 types of generative naming task and asked to generate lists of words to categorical ('animal', 'things at a supermarket') and phonetic ('ㄱ', 'ㅇ', 'ㅅ') cues. The total numbers of correct and incorrect response and error type ratios were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Fluent aphasics had higher generative naming scores than non-fluent aphasics. (2) A remarkable dissociation between performance on categorical and phonetic cue in both aphasic groups was observed. Both aphasic groups produced a large number of responses in the categorical cue. (3) There was no significant group-difference in the error type. (4) Any correlation between generative naming and confrontation naming in K - WAB was not found.

  • PDF

문맥적 상황중심의 그림 그리기 과업이 중증의 베르니케 실어증과 브로카 실어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ntext-based Drawing Task on the Language Expression of Severe Wernicke's and Broca's Aphasic Patients)

  • 이옥분;심홍임;정옥란
    • 음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37-45
    • /
    • 2003
  •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context-based drawing task on the language expression of a severe Wernicke's and Broca's aphasic. The subjects in this study showed a poor auditory comprehension and naming performance. They also showed paraphasia and perseveration. This study focused on improving language expression by a drawing task based on conversation at hand. Ten target words were chosen which were easily drawnable and familiar to the sub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ext-based drawing task was effective on improving the subjects' confrontation naming ability and expressive language ability in terms of explanation of sentences. In addition, the Broca's aphasic showed improved naming ability when the contextual cues were given and he was supposed to spontaneously name words.

  • PDF

Efficacy of a Hierarchical Treatment of Aphasic Perseveration (TAP) Program: A Case Study

  • Jeong, Ok-Ran;Lee, Sang-Heun;Cho, Tae-Hwan;Sohn, Jin-Ho;Yeh, Mi-Kyung
    • 음성과학
    • /
    • 제8권1호
    • /
    • pp.115-122
    • /
    • 2001
  • This paper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a hierarchical Treatment of Aphasic Perseveration (TAP) program on an aphasic in two regards: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perseveration and improvement in naming ability. The subject was a 54-year-old female with Transcortical Sensory (TCS) aphasia following a left ischemic Cerebrovascular Accident (CVA). It was concluded that the hierarchical TAP program was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in terms of decreasing perseveration and increasing correct naming performance. Within the data of the hierarchical TAP program, however, a substantial decrease in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erseverative behaviors did not necessarily result in proportionate improvement of naming ability. The probable causes and reasons were discussed.

  • PDF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의 단축형에 대한 노인 규준 연구 (Elderly normative study of the short form Korean-Boston Naming Test)

  • 박은희;최진영
    • 인지과학
    • /
    • 제11권2호
    • /
    • pp.59-68
    • /
    • 2000
  • 본 연구는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Boston Naming Test: K-BNT)의 실험적 단축형을 개발하여 그 규준을 제시하고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만 55∼84세의 건강한 장노년 인구를 대상으로 수행 자료가 수집되었다. 검사 수행에 미치는 인구 통계학적 변인들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 연령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확인되어 그에 따라 규준이 개발되었다. 두 개의 연령 수준(만 55∼64세, 만 65∼84세)과 각 연령에 따라 다시 두 개의 학력 수준(6년 이하, 7년 이상)으로 구분되어 총 4개의 하위 규준이 만들어졌다. 검사에 대한 정상 노인의 수행을 알츠하이머형 치매(Dementia of the Alzheimers type: DAT) 환자들의 수행과 비교했을 때 두 집단간 유의미한 수행 차이를 보여주었다(F(1, 158)= 23,216, p < .0001). K-BNT의 실험적 단축형의 노인 규준 자료는 임상 장면에서 치매 및 여러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들의 이름대기 능력을 신속하게 판별하는데 기여하리라 기대된다.

  • PDF

경도인지장애와 경도 치매의 감별을 위한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 성능 비교 (Prediction Performance of Naming Tests for Differentiating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Mild Dementia)

  • 변해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53-158
    • /
    • 2020
  • 본 연구는 정상 노인과 초기 단계의 노년기 인지 장애(경도인지장애(MCI), 경도 치매)의 선별검사인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의 예측력을 파악하였다. 노년기 인지장애로 진단을 받은 340명(정상 노인 203명, MCI 106명, 경도 치매 31명)을 분석하였다. 대면 이름대기는 단축형 한국판 보스턴 이름대기 검사로 측정하였고, 범주 이름대기는 통제연상단어검사의 의미검사와 음소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름대기 검사의 예측 성능을 비교하고자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면 이름대기와 범주 이름대기 검사 모두 일반노인에서 MCI와 경도 치매를 감별하는데 유의미한 효과가 확인되었다(p<0.05). 반면, MCI에서 경도 치매를 감별할 때, 범주 이름대기의 음소검사는 교차비가 유의미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MCI에서 경도 치매를 감별할 때, 범주 이름대기의 총점만을 측정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은 유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한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 단축형(K-BNT-15) 개발 (Development of Short Form of the Korean Version- the Boston Naming Test (K-BNT-15) Based on Item Response Theory)

  • 김향희;김수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321-327
    • /
    • 2013
  • 이름대기 능력의 손상은 신경학적 질환을 지닌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노화과정에 있는 노인에게서도 빈번하게 관찰된다. 이름대기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검사(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K-BNT)는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노인들은 노화에 따른 주의력 감소로 인하여 검사 소요시간이 길면 검사에 대한 집중이 어려워지므로, 검사 결과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문항축소가 바람직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을 적용하여, 60개 문항의 K-BNT를 일반노년층의 이름대기 능력을 가장 잘 평가할 수 있는 15개 문항의 검사(즉, K-BNT-15)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일반노인 175명을 대상으로 라쉬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적합도, 성별 차이, 문항난이도 등을 평가하였다. K-BNT-15의 실시 결과, 일반 노년층은 10년 단위로 수행력이 감소하였고,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는 일반 노년층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 평가도구의 단축형 개발 시, 특정 집단의 언어적 능력과 문항의 응답 결과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 집단에게 적합한 문항을 선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항반응이론이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K-BNT-15가 노화에 따른 대면이름대기 감소 및 환자군과의 차이를 잘 보여주는 검사임을 검증하였다.

The Effectiveness of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for Children at Risk of Reading Underachievement

  • Park, Hyun Jeong;Bang, Hee Jeong;Nam, Min
    • Child Studies in Asia-Pacific Contexts
    • /
    • 제4권1호
    • /
    • pp.47-6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reening test for children at risk of reading underachievement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early-stage intervention program.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we recruited 155 elementary first grade students for a screening test. Phonological deletion, digit naming, object naming, and sound-letter correspondence knowledge of a screening test, all assessed at the beginning of the school year, predicted the reading ability at the end of the school year. In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we analyzed the difference in the reading ability between fourteen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program and eighteen non-participating children. Reading ability was assessed by evaluating word recognition, oral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and pseudo-word recognition. The reading ability of intervention group improved more compared to control group,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entuated over time. However, final analysis conducted in November revealed that two group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oral reading fluency. This suggests that, unlike word recognition and comprehension, fluency might not dramatically improve in a short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