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me

검색결과 4,400건 처리시간 0.029초

의류학 관련 학과의 소속 단과 대학과 학과 명칭 및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 (Research on the Names of Colleges and Departments Affiliated with the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and Analysis of Curriculum)

  • 유화숙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8-169
    • /
    • 2020
  • The current status of the curricula of departments related to Clothing & Textiles was checked. The names of colleges and departments affiliated with Clothing & Textiles were also examined. Data on introduction of curricula and subjects disclosed on the website of 60 universities were collected, and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collected was 2,306.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departments related to Clothing & Textiles were the most frequently affiliated with the art/design schools. Depending on the name of the department, the colleges they belong to were different. It was found to be related to the name of the department and the name of the college. Second, According to a survey of the percentage of each major area in the curriculum, the portion of the fashion design area was the highest. The results of checking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major areas according to the department name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department name. Third, we looked for unusual subjects that were not found in other universities, which could be largely summarized into three: those for characterization, those for preparing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ose relate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department of Clothing & Textiles. Fourth, we examined subjects related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found that words such as 'sustainable', 'convergence', 'smart', 'knowledge property' and 'computer' were in common. However, the number of subjects was extremely low.

인용분석에서의 모호한 저자명 식별을 위한 방법들에 관한 고찰 (Review of Author Name Disambiguation Techniques for Citation Analysis)

  • 김현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17
    • /
    • 2012
  • 서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인용분석연구를 진행하기 이전에 이루어져야 할 과정 중 하나가 모호한 저자명의 식별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서지 데이터베이스에는 저자의 성(姓)과 이름의 이니셜만을 표기하는 경우가 많은데, 중국이나 한국 등 아시아 국가 출신의 연구자들은 같은 성을 가진 사람이 매우 많고, 이름의 이니셜까지 같은 경우도 상당히 많아서 이름검색만으로 찾고자 하는 저자를 식별해내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아시아 국가 출신의 학자들이 유난히 많은 연구분야들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이 더더욱 큰 문제가 되며, 인용분석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정보검색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 모호한 저자명을 식별해내는 방법에는 자동화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각각의 저자를 식별해내는 방법과 저자 클러스터링을 얻어내기 위해 일일이 수작업으로 데이터셋을 구축하는 방법, 그리고 두 가지 방법을 혼용한 반자동화된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모호한 저자명 식별"을 위해 개발된 여러 가지 방법들을 고찰해보기로 한다.

Verification on Cold-Tolerance of Some Fruit Trees as Species for Urban Greening Plants

  • Lee, Jin-Hee;Oh, Hee-Young;Kwon, O-Man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55-1166
    • /
    • 2017
  • This study selected commonly known species of fruit trees, and re-selected the species that endure the stress of extreme cold weather and physiologically restore themselves to the previous state until the following year. Then we could go ahead to propose the species that were appropriate as urban greening plants in weather condition of any part of the country. To do this, we conducted an experiments for six species of fruit trees based on the preference of the general public and recommendation of the experts; Morus alba (English name: mulberries), Diospyros kaki (English name: Persimmon), Prunus persia (English name: Peac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English name: Korean Autumn Olive), Malus domestica 'Alps Otome' (English name: Alps Otome), and Prunus mume (English name: Blue Plum). The experiment verifies whether the trees survive without any stress from the cold weather under the national climate condition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The experiment lasted for a year from August 2016 to August 2017. The levels of electrolytic efflux, chlorophyll content, plant height,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measured four times (on August of 2016, January, February, and August of 2017) for each tree planted bare ground outdoors. Results showed that Diospyros kaki, Prunus persia, and Malus domestica 'Alps Otome' were proven durable and resistant to winters of all three areas (one in the suburbs of Seoul: Yongin city, one in the central Chungcheong region: Daejeon city, and in the southern Gyeongsang region: Jinju city in Korea). Especially, the increase of chlorophyll content and the reduction of electrolytic efflux were noticeable in Prunus persia than in the other two species, proving itself as the most cold-tolerant among the six species used in the experiment. In addition, interpreting from the physiological restoration data of one-year span before and after getting through winterer, Prunus persia was proven to be the most cold-tolerant species.

우리나라 해양지명 표준화에 관한 연구 - 해양지명 명명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Marine Geographical Names in Korea)

  • 임영태;최윤수;윤하수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6호
    • /
    • pp.55-65
    • /
    • 2011
  •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는 이름 즉 지명이 있다. 바다 속 작은 바위에도 이름이 있다. 이를 해양지명이라 한다. 해양지명은 고유지명과 속성지명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서론에서 언급한 해협, 만, 포 및 암(岩), 초(礁), 퇴(堆)등은 해양지명의 속성지명이다. 속성지명의 경우 이름을 붙이는 데는 일정한 법칙이 있다. 이를 통하여 우리나라 주변 바다에 많은 항해장애물인 암(岩), 초(礁), 퇴(堆)에 어떻게 이름을 명명하고 있는지, 현재 사용되고 있는 해양지명에 관하여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 해양지명의 속성분류와 현재의 속성 분류를 비교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간행한 항해용해도에 사용되는 해양지명과 해양지명위원회에서 고시한 해양지명에 대해 조사 분석을 통하여 향후 해양지명의 표준화에 관한방안을 제시하였다.

초등학교 학생ㆍ예비 교사ㆍ현직 교사의 실험 기구 명칭과 용도에 대한 이해 (Elementary Students사, and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사 Understanding on the Name and use. of Labware)

  • 여상인;이병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44-49
    • /
    • 2004
  • This study was based upon the survey on the name of 13 basic experimental instruments used in elementary science class: Schale, evaporating dish, mortar & pestle, beaker, erlenmeyer flask, spuit(medicine dropper), graduated cylinder, balance, spatula, dropping bottle, gas collecting bottle, funnel, alcohol burner, and their uses. To implement this study, an open-ended, written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ubjects of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tur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attended at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elementary students in Ko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s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t knew correct name of experimental instruments were not hig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ates were especially very low. In this study, we found several reasons which they wrote inaccurately: the name to be represented at the textbook that they had studied, the confusion of the name about a fortis pronunciation, the recognition as the vocabulary like flask and cylinder to be meaningless, the habit to say in an everyday life, wrong expression in the internet and general book. All respondents had a wide range of perceptions of uses for the experimental instruments. Their understanding of uses for evaporating dish, erlenmeyer flask, balance, gas collecting bottle were very poor. And then most of them understood that graduated cylinder, beaker, and erlenmeyer flask were tools to measure the volume of solution or liquid, so they did not exactly distinguish the difference of their uses.

  • PDF

Nitric Oxide Impairs the Recovery from Hemorrhagic Hypotension in Conscious Rats

  • Park, Yoon-Yub;Lee, Young-Ma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권3호
    • /
    • pp.345-351
    • /
    • 1998
  • The role of nitric oxide (NO) in the hemorrhagic hypotension was examined using a NO synthase inhibitor, $N^{\omega}-nitro-L-arginine$ methyl ester (L-NAME), in conscious rats. The rats were bled at a constant rate (2 ml/kg/min) through a femoral arterial catheter until the mean arterial pressure (MAP) was reduced by 50 mmHg. We studied the responses to hemorrhage under normal condition (Control) and after the pretreatment with 3 doses of L-NAME (1.6, 8, 40 mg/kg i.v. of NOX1.6, NOX8, and NOX40, respectively). Intravenous bolus injection of L-NAME produced a sustained increase in MAP and decrease in heart rate (HR). During hemorrhage, the MAP fell faster in the NOX8 and NOX40-treated groups than in Control group, but the control group showed same response to NOX1.6. HR greatly increased in NOX groups. The recovery from hemorrhagic hypotension was slowed in the control group, which was not treated with L-NAME.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NOX8 and NOX1.6-treated groups registered a significant recovery in MAP during the 15 min recovery period, but NOX40 brought about only a slight increase in MAP. NO precursor, L-arginine (150 mg/kg i.v.), produced significant bradycardic responses before and after hemorrhage and significant depressor response only after hemorrhagic hypotension regardless of pretreatment with L-NAM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role of NO in blood pressure regulation is greater after hemorrhagic hypotension than basal condition, but the effect of NO can be detrimental to the recovery from hemorrhagic hypotension. In addition, the bradycardic response of L-arginine provides indirect evidence that NO may inhibit sympathetic activity, especially after hemorrhagic hypotension.

  • PDF

HTTP Host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인식에 관한 연구 (Web Application Awareness using HTTP Host)

  • 최지혁;김명섭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8호
    • /
    • pp.327-334
    • /
    • 2013
  • 네트워크의 고속화와 다양한 응용 서비스의 등장으로 오늘날의 네트워크 트래픽은 복잡해지고 다양해졌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 많은 응용들이 나타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고 있는데, 이러한 다양한 트래픽의 변화에 현재의 트래픽 분류 시스템은 빠르게 대처 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출현하는 응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응용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응용 인식 시스템은 빠르게 변화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응용프로그램들의 이름을 인식하여 새로운 응용의 출현과 기존 응용의 변화 추이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빠르고 정확한 응용 인식을 위해 HTTP 프로토콜의 Host 필드를 이용한다. Host 필드의 domain정보를 추출하여 응용의 이름을 임시로 정하고 추후 관리자의 개입을 통해 응용의 이름을 확정 짓는 구조이다. 단순히 응용의 이름만을 알아내는데 그치지 않고 응용마다 고유의 Client IP를 카운팅하여 분석 대상 망에서 많이 사용된 응용들을 알아 낼 수 있다. 또한 응용 인식을 통해 나온 응용들을 트래픽 분류 시스템에 등록하여 기존에 분석 되지 않았던 새로운 응용들에 대한 분석도 가능하게 된다. 제안한 방법은 학내 망에서의 실험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고 시나리오 별로 결과를 나눠서 분석함으로써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Deterministic Parallelism for Symbolic Execution Programs based on a Name-Freshness Monad Library

  • Ahn, Ki Y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1-9
    • /
    • 2021
  • 본문에서는 순수 함수형 언어인 하스켈로 작성된 심볼릭 실행의 병렬화를 위한 상태 모나드 기반의 라이브러리에 결정적 병렬화를 적용하기 편리한 API를 설계/구현하고 멀티코어 컴퓨터에서 벤치마크를 통해 실제 성능을 향상을 확인해 본다. 일반적으로 순수 함수형 프로그램은 병렬화가 쉽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 구현에서 핵심 알고리듬 외적인 부분에서 의도치 않은 순차적 데이터 의존성의 발생으로 병렬화가 어려워질 수 있다. 심볼릭 실행 구현에서는 지금껏 사용했던 변수와 겹치지 않는 새 이름을 생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범위의 이름이 같은 변수끼리 혼동하는 착오를 피하는 방식을 종종 활용한다. 그런데 이를 순차적 상태 관리로 구현한 경우가 많아 병렬화에 걸림돌이 된다. 이 논문에서는 하스켈의 범용적 이름 관리 라이브러리인 unbound-generics의 새 이름 생성 기능에 순차적 의존성을 회피할 수 있는 확장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병렬적 심볼릭 실행 구현을 간소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우리가 구현한 병렬화 확장의 특징은 기존 unbound-generics 라이브러리의 내부 구현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의 확장이라는 점으로, 기존에 unbound-generics로 작성된 순차적 심볼릭 실행기의 성능 저하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병렬화가 필요한 부분에만 확장 기능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여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갯기름나물 약재명(식방풍(植防風))의 연원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origin of herbal name, Sik-bang-pung, for the ro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 김정훈;김한영;도의정;이금산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9-84
    • /
    • 2023
  • Objectives : Sik-bang-pung (植防風, Peucedani Japonici Radix), the root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Apiaceae), has often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Bang-pung (防風, Saposhnikoviae Radix) in the past, but recently it is treated as a counterfeit of Bang-pung or a kind of 'Jeonho (Peucedani Radix)'. Hence,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he origin of herbal name to provide appropriate usage of Sik-bang-pung. Methods : The classic and contemporary literatures regarding to the herbal medicines and botanical nomenclature were searched to find the herbal and botanical origins of Bang-pung and Sik-bang-pung, respectively. Result : The botanical descriptions of Bang-pung (防風) were consistent throughout the classic literatures and its botanical species was determined as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Apiaceae) in the compendium. In the literatures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Byeong-pung-na-mul' was recorded as the medicinal plant of Bang-pung, but its botanical species could not be confirmed. In Japanese literatures, Bang-gyu (防葵) was confirmed as Mok-dan-bang-pung (牡丹防風); botan-bōfū in Japanese), which was determined as the herbal name of the root of 'Gaet-girum-namul (P. japonicum)'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The roots of Gaet-girum-namul was medicinally named as Mok-dan-bang-pung (牡丹防風), Sik-bang-pung (植防風), or San-bang-pung (山防風) in the past decades in Korea. Among them, Sik-bang-pung might be chosen as the herbal name, but its nominal origin could not be found. Conclusions : The herbal name, Sik-bang-pung, was presumably affected by Japanese botanical nomenclature. Although its medicinal application is still controversial, Sik-bang-pung should be considered an independent herbal medicine.

명승 제1호 「명주 청학동 소금강」에 대한 지명 재고(再考) (Reconsideration on the Place Name of the Scenic Site No.1 「Myeongju Cheonghak-dong Sogumgang」)

  • 노재현;김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3
    • /
    • 2014
  • 국내 명승 제1호 "명주 청학동 소금강"의 지명 유래와 변천과정 등에 대한 오류 검토의 일환으로, 관련 고지도, 지리지, 유산기 등의 고문헌 그리고 바위글씨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확인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지리지 분석 결과 '소금강'이란 지명은 17세기 중반의 "여지도서"에서 처음 등장한 이래, 20세기 초반 발간된 "증수임영지"에서 재현되고 있으나 고지도에서는 청학동 청학산 청학사 등의 지명 이외에 소금강이란 지명은 발견되지 않는다. '청학산'이란 지명이 최초로 발견되는 문헌은 "신증동국여지승람"이지만, 지명으로서의 최초 기록은 율곡의 "유청학산기"로 이 기록에는 소금강'이란 지명은 찾아볼 수 없고 단지 '청학산'이란 지명만 확인될 뿐이다. '이후 이순인의 "고담일고", 허균의 송별기, 허목의 "청학동구룡연기", 윤순거의 "파동일기" 그리고 이원조의 서간(書簡) 등을 볼 때 약 3세기 이상 이곳은 '청학산' 또는 '청학동'이란 지명으로 불려온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소금강'이란 지명이 확인되는 최초 기록은 18세기 중반 작(作)인 강재항의 시이다. 또한 금강사 앞 이능암(二能巖)에 새겨진 '소금강(小金剛)'이란 바위글씨의 주체는 크기, 서법, 전체적인 배치구도와 마모 정도 그리고 지리지의 기록 등을 고려할 때 1870년 또는 1930년에서야 동일한 주체인 이능계원(二能契員)에 의해 새겨진 것으로 보임에 따라 이곳 지명 유래의 탄탄한 근거였던 '소금강(小金剛)' 바위글씨를 율곡의 글씨로 단정할 만한 근거는 없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율곡의 "유청학산기" 이후 이곳은 줄곧 '청학산 청학동'으로 불려왔으며 '소금강'이란 지명은 18세기 중반 이후 "입재선생유고" 중 "오언고시조"와 "여지도서"를 시작으로 "동유일기" 등 유람기 등에서도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조선후기 소금강이란 이칭(異稱)이 일반화되면서 혼용되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요컨대 기존 명승 제1호 지명에 큰 오류가 있다고 보기는 곤란하지만 율곡의 유람과 관련된 명소로서의 장소성을 부각시키는 측면에서는 '청학동 소금강'보다는 '청학산 청학동'이란 지명이 보다 합당한 지명인 것으로 판단한다. 아울러 본 연구과정에서 확인된 1664년 윤선거 일행이 현 식당암에 각자한 '청학산(靑鶴山)', '경담(鏡潭)'의 지명 바위글씨는 고전적 유람 텍스트로서의 "유청학산기"의 영향력을 살필 수 있는 증표이자 기호학파 선비들의 율곡에 대한 숭모와 추념의식이 고스란히 담긴 표식으로 보존이 요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