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daecheon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Landsat 위성 영상을 활용한 강원도 양양군 남대천 연안 하구사주 갯터짐 환경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Estuary Sand Bar Related with Tidal Inlet in Namdaecheon Stream using Landsat Imagery)

  • 장지원;엄진아;정대교;이창욱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5_1호
    • /
    • pp.481-493
    • /
    • 2017
  • 강원도 양양에 위치한 남대천은 하구로 육상 환경과 해양 환경의 점이지대이다. 하구는 다양한 연안환경을 형성해 지구 생태계 중 생태적 가치가 높은 환경으로 남대천에 출연하는 종 중 일부 고유종은 우리나라에서 매우 희소하게 출현되어 보호가 필요하며, 모천 회귀어류인 연어는 우리나라에서 70% 이상이 남대천으로 회귀한다. 남대천과 같은 하구에서는 사주가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모양이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하구 사주의 변화는 생태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므로 지형 변화의 원인 분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대천 하구 사주에서 일어나는 지형 변화인 '갯터짐' 현상이 일어나는 조건과 그 위치 변화의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남대천 하구 사주의 지형 분석을 위해 미국 지질 조사국(USGS)에서 제공하는 Landsat 위성영상으로 1984년부터 약 40년간의 하구 사주의 면적과 갯터짐의 위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평균 해류 벡터, 강수량 그리고 조위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사주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그 위치와 형태가 계속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계절이나 연대별 특징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안류의 방향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강수량과 조위를 하구 사주의 면적과 비교한 결과 강수량과 조위가 증가할수록 사주 면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담수어류의 종생물지수를 이용한 강릉 남대천의 수환경 평가 (Water Environmental Assessment by the Species Biotic Index of Freshwater Fish in the Namdaecheon, Gangneung City)

  • 송호복;백현민;이춘원
    • 환경영향평가
    • /
    • 제14권4호
    • /
    • pp.237-245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water environmental assessment by the species biotic index (SBI) of freshwater fish at the Namdaecheon in Gangneung city, Gangweon-do during June and July in 2004 and June in 2005. In fish fauna, 29 species and 10 families were collected.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relative abundance 15.33%)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steindachneri (13.13%). Species biotic index (SBI) in station 1, 2, 3, 4 was 1.70, 2.85, 1.00 and 3.39 respectively and water environmental grade by SBI was all very good. Station 5 was 4.13 in SBI and good grade. Station 6 was 4.47 and fairly good. Station 7 was 7.25 and poor. And station 8 was 8.10 and very poor grade. Results of water environmental grade by SBI and water quality grade were very similar in this stream.

영향계수법과 유전알고리즘을 이용한 QUAL2K 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 (Parameter Optimization of QUAL2K Using Influence Coefficient Algorithm and Genetic Algorithm)

  • 조재현;이창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18권2호
    • /
    • pp.99-109
    • /
    • 2009
  • In general, manual calibration is commonly used for the stream water quality modelling. Because the manual calibration depends upon the subjectivity and experience of the researcher, it has a problem with the objectivity of the modelling. Thus, the interest about the automatic calibration by the optimization technique is deeply increased. In this study, Influence coefficient algorithm and Genetic algorithm are introduced to develop an automatic calibration model for the QUAL2K that are the latest version of the QUAL2E. Genetic algorithm, used in this study, is very simple and easy to understand but also applicable to any complicated mathematical problem, and it can find out the global optimum solution effectively. The developed automatic calibration model is applied to the Gangneung Namdaecheon. The calibration results about the 11 water quality variables show the good correspondence between the calculated and observed water quality values.

해금강과 금강상류 남대천 및 금산천 주변으로부터 야생효모의 분리 및 국내 미기록 효모들의 균학적 특성 (Isolation and Determination of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Wild Yeasts from Waters and Soils of Haegeumgang in the Southern Sea, and from Namdaecheon and Geumsancheon Upstream of Geumgang, Korea)

  • 문정수;이향범;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49-160
    • /
    • 2022
  • 남해안과 금강상류 주변환경의 야생효모들의 효모 종 분포특성을 조사하고 국내 미보고된 효모들을 선별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남해안의 해금강과 금강상류인 전북 무주의 남대천 및 금산의 금산천 주변의 물과 토양들로부터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해금강 주변 시료 35점에서 22종 52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고 무주의 남대천 주변 물과 토양 30점에서는 24 종 43균주의 야생효모들을, 금산의 금산천변 시료 60점에서 45종 79균주의 야생효모들을 분리, 동정하였다. 이들 지역에서 분리, 동정한 야생효모들중 Exobasidium rhododendri HHG10-5 (NNIBR2022633FG1), Udeniomyces pyricola NDC29-1 (NNIBR2022633FG2), Pichia scaptomyzae BAC2-3 (NNIBR2022633FG4), Diddensiella caesifluorescens GSC2-2 (NNIBR2022633FG5) 등 4균주들이 국내 미기록 야생효모들로 최종 선별되었다. 이들의 균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Udeniomyces pyricola NDC29-1 과Diddensiella caesifluorescens GSC2-2 균은 구형이었고 Exobasidium rhododendri HGG10-5 와 Pichia scaptomyzae BAC2-2 균들은 난형이었으며 Pichia scaptomyzae BAC2-3 균주만이 포자를 생성하였다. Udeniomyces pyricola NDC29-1 균주 외에는모두 vitamin-free배지에서도생육이아주양호하였고Pichia scaptomyzae BAC2-3, Diddensiella caesifluorescens GSC2-2 균주는 40% glucose 를함유한 YPD배지에서도생육하는내당성균이었다. Udeniomyces pyricola NDC29-1 균주를 제외한 나머지 균들은 Ca 등의 중금속등에 대하여 강한 내성을보였다.

강원도 동해안 3개 하천 하구역 일대의 식물상 (Flora of Three River Estuary Areas of the East Coast, Gangwon-do)

  • 정희진;천경식;옥길환;유기억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57-75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estuary regions, Namdaecheon, Jusucheon, and Maeupcheon, placed in the east coast of Gangwon-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441taxa, including 90 families, 277 genera, 388 species, 2 subspecies, 35 varieties, and 6 forms. Number of species in each investigated region was 271taxa of Namdaecheon, 247taxa of Jusucheon, and 285taxa of Maeupcheon, respectively. Among the investigated 441taxa, 7 Korean endemic, 5 rare plants and 37 specially designated plants by Ministry of Environment were also included. Aquatic and hydrophyte plants were collected 41taxa, and the thinophyte and halophyte plants were investigated 22taxa. The naturalized plants were 59taxa, and the percent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as estimated as 13.3%. Based on the floristic composition, Maeupcheon was estimated as well conserved estuary region among the investigated 3 rivers.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1997년 9월중 대형저서동물의 분포패턴 (Notes on the Benthic Macrofauna During September 1997 Namdaecheon Estuary, Gangneung, Korea)

  • 홍재상;서인수;윤건탁;황인서;김창수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341-350
    • /
    • 2004
  • 본 연구는 동해안에 위치하는 강릉 남대천 하구역의 대형저서생물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7년 9월 22일에 총 15개 정점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채집된 저서동물은 총 50종, 5,664개체, 312g WWt의 생물량을 나타냈다. 중요 우점종은 빈모류에 속하는 Oligochaeta unid., 다모류의 Hediste japonica, Rhynchospio Glutaea, Poecilochaetus trilobatus, Scoloplos armiger, Spiophanes bombyx, 단각류의 Platorohestia crassicornis 등이었다. 한편, 정점간 및 종간 유사도 분석 결과에서는 각각 두 개의 그룹으로 나뉘었다. 정점간 분석에서는 하구역 정점군과 해양역 점정군으로, 종간에서는 해양성 종군과 기수-담수성 종군으로 구분되었다. 염분농도 구배에 따른 조하대 저서동물의 분포 양상을 보면, 저서동물의 출현 종 수는 하구역의 12개 정점에서는 총 13종이 출현한 반면, 해양역의 3개 정점에서는 총 43종이 출현하였다. 개체수와 생물량도 해양역이 하구역과 비교해 높았다. 생태학적 지수로써 다양도는 하구역에서 1 이하로 낮았고, 해양역에서 2 이상으로 높았다. 결론적으로, 강릉 남대천 하구역 저서동물의 분포는 하구역 입구부분에 위치한 모래톱을 경계로 염분농도가 급격하게 변화하였으며, 이것을 경계로 두 개의 정점군과 종군으로 나뉘는 특징이 있었다.

연어의 정치생태학: 생태관광에서 나타나는 '자연'의 생산과 보존 (The Political Ecology of Salmon: Production and Conservation of 'Nature' in Ecotourism)

  • 장한별;지상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9-155
    • /
    • 2018
  • 본 연구는 양양연어축제를 통해 생태관광에서 '자연'이 '생산'되고 보존되며 이용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최근 관광지리 논의에서는 관광개발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의 신자유주의화와 이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재해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에서는 양양군을 중심으로 연어보존이 이루어져왔고, 연어축제 역시 연어보존이 나타내는 자연의 복원이라는 상징성을 담고 있다. 그러나 연어축제는 연어의 상품화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남대천은 연어의 생태계가 복원된 장소로 인식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연어회귀가 증가하지 않고, 축제의 외연적 확대가 어려워지면서 연어와 남대천 보존에 대한 지역의 관심은 예전과 같지 않다. 즉, 자연의 보존과 복원의 상징성을 강조하는 축제의 주장과는 달리 생태계를 위협하는 부정적인 요인들은 여전히 남아있다. 이로 인해 연어와 남대천의 보존과 관련한 행위자들 사이의 갈등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지역 주민들에서부터 지자체, 국가, 국제기구에 이르기까지 복잡하게 얽혀있다. 생태관광에서 이용되는 자연은 다양한 층위의 행위자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정의되고, 이용되며, 강조된다. 이는 정치생태학 연구에서 강조되는 '생산되는 자연'의 개념이 본원적인 자연개념보다 축제의 주제로 전용되고 상품화되는 자연의 모습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강원도 동해안 양양읍 남대천 하고 Spit Beach에 관한 연구 (Evolution and Sediment Facies of the Namdaecheon Spit, Yang-Yan Coast East Sea of korea)

  • 박용안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
    • /
    • 1998
  • 동해안의 강원도 양양읍 남대천 하구에 발달한 spit beach의 지형적변화(1979∼ 1996) 는 outlet의 위치변화와 해안선 모습의 변화로 규명되었는바 일차적인 변화는 해안에 평행한 spit의 성장이며 이차적인 변화는 spit폭의 변화(overwash across sedimentation)라 고 밝혀졌다. 해빈환경의 소환경(subenvironment)으로서 swash zone과 berm crest는 각각 의 특징적 퇴적상(조직매개변수)으로 구분되는바 이에 관한 분석결과가 기술되었다.

공간스케일 변화에 따른 생물다양성 평가 -강원도 백두대간 보호구역을 대상으로- (Evaluation of Biodiversity Based on Changes of Spatial Scale -A Case Study of Baekdudaegan Area in Kangwondo-)

  • 심우담;박진우;이정수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1호
    • /
    • pp.91-100
    • /
    • 2014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conservation area of Baekdudaegan, Kangwondo under the purpose of evaluating bio-diversity according to the changes of spatial scale, using GIS data and spatial filtering method. The diversity index was calcul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species of The $5^{th}$ forest type map using Shannon-weaver index (H'), evenness index ($E_i$) and richness index ($R_i$). The diversity index was analyzed and compar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12 spatial scales from Kernel size $3{\times}3$ to $73{\times}73$ and basin unit. As for H' and $R_i$, spatial scale increased as diversity index decreased, while $E_i$ decreases gradually. H' and $R_i$ was highest; each 1.1 and 0.6, when the Kernel size was $73{\times}73$, while $E_i$ was 0.2, the lowest. When you look at according to the basin unit, for large basin unit, 'YeongDong' region shows higher diversity index than 'YeongSeo' region. For middle basin unit, 'Gangneung Namdaecheon' region, and for small basin unit, 'Gangneung Namdaecheon' and 'Gangneung Ohbongdaem' region shows high diversity index. When you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index and Geographic factors, H' shows positive relation to curvature and sunshine factor while shows negative to elevation, slope, hillshade, and wetness index. Also $E_i$ was similar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 and Geographic factor. Meanwhile, $R_i$ shows positive relationship to curvature and sunshine factor, while negative to elevation, slope, hillshade, and wetness index. macro unit diversity index evaluation was possible through the GIS data and spatial filtering, and it can be a good source for local biosphere conservation policy making.

무주 남대천에 서식하는 조류의 공간적 분포특성 분석을 위한 공간자기상관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Spatial Autocorrelation for Analysis of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irds Observed in Namdaecheon River, Muju-gun, Jeollabuk-do, Korea)

  • 강종현;김용기;연명훈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5호
    • /
    • pp.467-47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characteriza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birds observed in river areas. Our bird survey was carried out 4 times at 31 sites from January to September in 2011. A total of 1,609 accumulated individuals belonging to 59 species, 28 families and 11 orders were observed. In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richness index of the maximum counts of each sites, we confirmed that the distribution of birds in Namdaecheon river was clustered and the tendency of spatial autocorrelation was apparent. The area of each sites within a 200m radius was classified in four biotope categories such as agricultural land, forest, residential area and water area, and the spatial autocorrelation was analysed about four types. In the result of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for four biotope categories, all types were showed the positive spatial autocorrelation, but the type of water area was higher than other types.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water area and water birds in statistical significance. However, the forest birds had non-significance value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focus on water birds except for forest birds, when researches of bird distribution in river ecosystem is conducted. The number of bird species and individuals increased as the riverside of water area was to widen. Thus, if the areas of riverside offering the feeding and roosting area increase, it will be accommodated many birds. Also, the areas of riverside should be maintained naturally because it is an important habitats of birds. Our study area is on the outskirts the city of higher rates of forest and agricultural land, it may be unreasonable to apply our results to the whole rivers. If the research about the river flowing around the city will be conducted, it is expected to be useful to the relation study area such as ecological river's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