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 river

검색결과 673건 처리시간 0.025초

낙동강 - 남강 합류부 대하천 규모 수리학적 혼합특성 연구 (Hydraulic mixing characteristics at a large-scale confluence of Nakdong and Nam River)

  • 최수인;김동수;김영도;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spc1호
    • /
    • pp.1015-1026
    • /
    • 2023
  • 하천의 합류부는 본류와 지류가 만나 복잡한 혼합거동을 보이는 지역으로 두 하천이 혼합되지 않은 채 하류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하천이 혼합되지 않고 유지되면 하천의 수질 관리에 어려움을 주거나 남강 합류부 인근 취수장(칠서)에서 취수되는 수체의 특성이 모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론 영상과 수질 인자 전기전도도, 수리 인자 2차류를 통해 낙동강과 남강 합류부에서의 혼합거동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2차류의 분석은 Rozovskii 방법을 기반으로 2중 나선형 구조의 확인이 용이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만곡의 영향으로 인해 혼합이 방해 받고 있음을 2차류 분포와 전기전도도 분포의 비교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낙동강-남강 합류부 하류의 칠서 정수장은 해당 시기 혼합되지 않은 남강 수체를 취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남강 상류유역의 하수도시설 확충으로 인한 하류 수계의 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quality improvement effects by construction of sewer systems in Nam River Basin)

  • 주진걸;이정호;김중훈;김응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771-778
    • /
    • 2008
  • 남강 상류에 하수도 시설의 보급률을 현행 20.8%에서 65.2%로 향상시켰을 경우 남강과 덕천강 그리고 진양호의 수질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QUAL2E 모형과 WASP 7 모형을 이용하여 목표연도인 2011년의 BOD, TN, TP의 농도를 모의하였다. 수질 예측시나리오는 3가지로 구분하였다. 1) 하수도 시설이 현재와 같을 경우, 2) 하수도 시설의 확충으로 BOD, TN, TP가 각각 사업 목표 저감량인 2350.5kg/d, 216.0kg/d, 44.0kg/d 저감되었을 경우의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3) 남강과 진양호가 1급수가 되기 위해 저감해야 할 오염물 배출량을 모의하였다. 수질 모의 결과 남강 상류에서 하수도 보급률을 향상시켰을 경우 하천의 수질은 평균적으로 BOD 7.69%, TN 2.10%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양호의 수질은 BOD 10.25%, TN 1.37%, TP 2.94%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하수도 시설의 확충으로 남강과 진양호의 수질을 1급수로 유지할 수는 없는 것으로 모의되었다. 남강과 진양호를 1급수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BOD의 배출량을 각각 27.2%, 37.05% 감소시켜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도시 수변공간 이용자 행태 및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남강, 태화강, 금호강을 중심으로- (A Study of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 and Users' Behavior on Waterfront in Local City -focusing on Nam river, Taewha river, Gumho river-)

  • 강석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3-61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esent condition and users' behavior on waterfront in local city. To analyze the current physical statues and behavioral issues, 3 cities including Jinju city(Nam river), Ulsan city(Taewha river), and Dae-gu city(Gumho river) has chosen as research areas, the questionnaire and field survey were conducted in research areas focusing on post occupancy evaluation.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ain behaviors of waterfront were rest and exercise and overall satisfactions of waterfront were related to the decision-making for revisitation. However, unsatisfactory physical factors of waterfront were the position and number of facilities related to the behaviors such as rest, exercise, and bicycle riding. Especially, most unsatisfactory factor was the inadequate lighting in respect of intensity of illumination and position although much people had been used each waterfronts at nighttime. In conclusion it was thought that it was necessary to reinforce the program related to culture and leisure such as public performance and to establish infrastructure related to life-time sport and various outdoor exercise for waterfront activation.

복원 및 경관생태학적 원리에 근거한 남산의 생태공원화 계획 (Restoration and Landscape Ecological Design to Restore Mt. Nam in Seoul, Korea as an Ecological Park)

  • 이창석;문정숙;김재은;조현제;이남주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723-733
    • /
    • 1998
  • Restoration to improve the ecological quality of Mt. Nam was explored in a viewpoint of restoration in both landscape and ecosystem levels. A restoration plan in landscape level was based on the result on the land-use pattern in Mt. Nam including its surrounding area and that in ecosystem level on the ecological quality of each landscape element. A plant to construct the green network, which extending from Mt. Nam to the Han river through the Yongsan family park and through the Eungbong urban park was prepared as a restoration project in landscape level to improve the ecological quality of Mt. Nam as an ecological park. On the other hand, a plan for restoration and creation of biotop as a restoration project in ecosystem level was also prepared to improve the ecological quality of each green area consisting green network. Green areas composing green network include keystone green area (Mt. Nam), green stations (Yongsan family park, Eungbong urban park, and the han river citizen's park), and green pathway (or ecological corridor) connecting those green areas.

  • PDF

선상지에 흐르는 하천

  • 명남재
    • 하천과문화
    • /
    • 제2권4호
    • /
    • pp.76-88
    • /
    • 2006
  • 선상지에 흐르는 하천은 어느 정도 하상이 안정되어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다만 하천에 의하여 조성된 퇴적지형중 선상지의 현황을 살펴보고, 과거 선상지를 흘렀던 구하도의 흔적들을 살펴보는 것도 나름대로 의미는 있을 것이다.

  • PDF

청주 무심천과 남석교에 관한 역사지리적 고찰 (Historical Geography of Mu-Sim River and Nam-Suk Bridge in Chongju City)

  • 예경희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7-460
    • /
    • 2003
  • 통일신라시대의 서원경성의 위치는 청주읍성 지역이 되고 있다. 청주의 매장 문화재인 남석교는 신라 진흥왕 19년 무인년(588년)에 수선했다는 기록으로 보아 남석교의 원조는 그 이전으로 소급될 수 있고 그 후에 수차에 걸쳐 개축되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조선시대 청주읍성의 남북 주축도로는 남문을 통과하고 있고 남문 밖의 시장의 발달로 인하여 남문 밖의 무심천에 위치한 남석교의 역할은 지대할 수밖에 없다. 남석교에서 유래된 대교천의 명칭은 조선 철종 12년(1861년)까지는 대교천으로 불렸고 고종 8년(1871년)에는 무성천으로도 불렸으며 광무 2년(1902년) 이후에는 무심천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짐작된다. 청주는 풍수지리와 무심천의 지명유래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를 지니기도 하였지만 점차 긍정적인 이미지로 변화되고 있다. "남석교 사적비"는 1907년까지는 존재하였지만 "표석"과 더불어 유실되었고 "남석교"는 $1931{\sim}1932$년 간의 석교동 제방공사 때문에 매몰되었으며 이러한 문화재들은 가치가 매우 크므로 복원되어야 할 것이다.

  • PDF

남강 및 금호강에서 유기탄소 존재형태와 분해속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actionation Characteristics and Decomposition Rate of Organic Carbon in Nam River and Geumho River)

  • 김호섭;김석규;오승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1-141
    • /
    • 2023
  •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c carb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decomposition rat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and biological degradation characteristics in water was investigated for the Nam river and Geumho river.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TOC in the Nam river and Geumho river were 2.7±1.2 mg/L and 5.0±1.2 mg/L, respectively, but the composition ratios for each type of organic carbon were similar. An average value of 80.9% of TOC was present as DOC and 72.8% of DOC consisted of Refractory-DOC (RDOC).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RDOC composition ratio according to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was the smalles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composition rate of organic carbon except for TOC by the site (p≥0.108, one-way ANOVA), and the decomposition rates of Labile-POC (LPOC) and LDOC were similar at 0.139±0.102 and 0.137±0.149 day-1, respectively (p=0.110, paired t-test).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CV) of the decomposition rate of DOC (average 8.1%), which had the smallest composition ratio of organic carbon, was 1.1, showing the largest temporal variation. The TOC, POC, and DOC decomposition rate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ratio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to the concentration after 25 days of decomposition (OC25/OC0) (r2=0.89~0.94, p<0.001), and the decomposition rates of LPOC and LDOC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atio of the initial concentration to the concentration after 5 days of decomposition (LOC5/LOC0) (r2=0.67~0.75). This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decomposition rate through the concentration of each type of organic carbon.

기후변화를 고려한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 재산정 (Revisiting design flood estimation of Nam River Dam basin considering climate change)

  • 이현승;이태삼;박태웅;손찬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8호
    • /
    • pp.719-729
    • /
    • 2016
  • 최근에 기후변화로 인해 극치호우사상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토지이용의 증가와 더불어 심각한 홍수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생명과 재산의 안전을 담보하기 위해 건설되는 댐 및 제방 등의 수리구조물에 대한 적절한 설계홍수량의 산정이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수문에 미치는 기후변화의 영향을 고려해서 남강댐 유역의 홍수량을 재산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시간강우로 상세화 시킨 RCP 4.5와 RCP 8.5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사용하였다. 현재 설계 빈도 값인 200년 빈도와 최대홍수량(PMF)인 10,000년 빈도의 홍수량에 초점을 맞춰 재산정하였다. 기후변화를 반영한 시나리오 값이 현재만을 고려한 값보다 현저히 큰 값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RCP 8.5값에서 가장 큰 값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남강댐지역의 안정성이 기후변화에 취약하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향후 하류지역인 사천만의 피해를 감소시키는 방안을 함께 고려하여 대책이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우량계의 밀도 및 공간분포 검토: 남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Evaluation of Raingauge Density and Spatial Distribution: A Case Study for Nam Han River Basin)

  • 유철상;김인배;류소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173-18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강우가 공간적으로 균질하며 아울러 그 공간상관구조도 지수함수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남한강 유역의 강우관측망을 평가하였고 아울러 WMO의 기준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남한강유역은 WMO의 기준으로 볼 때 산지도 평지도 아닌 중간적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남한강 상류부에서 관측된강우의 공간상관거리는 남한강 하류부에서 관측된 강우의 공간상관거리에 비해 짧게 나타나며 따라서 상류부와 하류부는 그 강우특성이 구별된다. (2) 남한강 유역의 강우관측망을 평가하는 기준은 대략 상위 50% 정도를 대표하는 상관거리 수준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 경우 적절한 우량계 사이의 거리는 상류부와 하류부 각각 18.2km와 21.1km로 추정된다. 단순히 강우계의 밀도를 평가할 때 남한강의 경우는 WMO의 산지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다. (3) 남한강 유역의 우량계 분포를 검토한 결과, 특히 WMO의 온대지역 산지기준을 적용한 결과 우랑계의 공간분포가 적절하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상위 50% 정도를 대표하는 상관거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략 5 - 6 지점 정도의 우량계 신설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